• 제목/요약/키워드: 착색 용액

검색결과 45건 처리시간 0.029초

시판중인 구강양치용액의 법랑질 표면의 착색과 침식에 미치는 영향 (Erosive Effect and Color of Mouthrinsing Solutions on Enamel Surface)

  • 정경이;이혜진;박영남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1권5호
    • /
    • pp.397-404
    • /
    • 2011
  • 최근 구강관리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시판되고 있는 구강양치용액의 종류도 다양해지고 있고 휴대가 간편하여 쉬운 사용방법으로 활용이 급진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시판 중인 구강양치용액의 pH를 측정하여 고유 산도가 법랑질 표면의 색조변화, 미세경도, 미세구조 변화, 거칠기 측정 등에 관한 실험방법을 통하여 구강양치용액의 효과를 평가하였다. 1. 색조변화는 Nextcare와 Listerine에서 light-dark를 나타내는 $L^*$값은 0에 가깝게 어두워졌으며 yellow-blue를 나타내는 $b^*$값은 초기값과 비교하여 채도가 낮아졌다. 특히 Listerine에서 ${\Delta}L^*$, ${\Delta}b^*$ 각각 -6.70, -7.20으로 가장 큰 변화를 보였다. 2. 표면경도 측정에서는 Nextcare와 Listerine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p<0.05). 또한 표면의 형상과 거칠기에서도 Nextcare와 Listerine에서 다른 실험군과 비교하여 법랑질 표면의 붕괴 및 침식양상과 함께 거칠기가 매우 높아졌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현재 시판 중인 구강양치용액의 pH를 측정하여 고유 산도가 치아 경조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본 결과, 산성의 pH를 가진 구강양치용액을 장기간 사용시 치면 착색 및 법랑질 표면의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적절한 사용법을 숙지하여 단기간 사용하는 것이 안전할 것으로 사료된다.

참조기의 천연색소와 인위적으로 착색된 황색색소류 판별법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Rapid Discrimination of Yellow Pigments Colored on Yellow Croakers and Natural Yellow Pigment of Croakers)

  • 김희연;홍진환;김동술;한상배;이은주;이정성;강길진;정형욱;송경희;박혜경;박종석;권용관;진명식;박희옥;오세화;신일식;이창국;박희열;하상철;조재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977-983
    • /
    • 2002
  • 식용색소 및 공업용 염료의 인공적 착색여부를 조사한 결과, 심황색소, 식용희석황색소, 마리골드색소, 식용황색 4호, 안나토색소, 카로틴색소는 유사한 색으로 착색되었으며 다른 색소는 착색되지 않았다. 물에 의한 추출시험에서는 참조기 색소와 식용색소황색 제4호는 물에서 용출되지 않았다. 착색 후 색소의 물성실험을 한 결과 물 젖은 가제수건이나 휴지로 색소부위 표피를 문지를 경우 참조기 색소는 표면에 전혀 묻어 나오지 않으나 인공적으로 착색된 색소의 경우에는 물에 의해 색이 뚜렷하게 묻어 나왔으며 참조기의 착색 부위 표피를 아세톤으로 추출할 경우 참조기 색소는 아세톤에 옅은 황색용액으로 추출되었다. 또한, 참조기의 색소처럼 물에 용출되지 않도록 염착이 가능한 공업적 합성염료인 반응성 염료와 분산염료의 착색거동에 대해 실험한 결과, 반응성 염료는 조기에 착색되지만 물 젖은 휴지로 착색부위를 문지를 경우 색소가 용출되었고, 아세톤에는 추출되지 않아 참조기 색소와는 쉽게 판별되었으며 분산염료는 염료가 고르게 착색되지 않고 염료가 입자를 형성하며, 물 적신 휴지로 색소부위를 문지를 경우 색소가 용출됨을 알 수 있었다. 카로틴색소(참조기 색소와 구조가 유사한 색소)와 azo염료의 산화 환원 반응에 따른 소색 반응에서는 산화반응에서 azo염료는 sodium percarbonate와 peracetic acid에서는 소색이 되지 않았으나, fenton시약에서는 1시간 후 소색되었고, sodium hypochlorite에서는 바로 소색되었다. 이에 비하여 카로틴색소는 sodium percarbonate 및 fenton시약에서는 소색되지 않았으나, sodium hypochlorite에서는 2시간 후 소색되었고, peracetic acid에서는 바로 소색되었다. 또한, sodium hydrosulfite, sodium carbonate를 사용한 환원반응시험에서는 azo염료는 소색되었으나, 카로틴색소는 소색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두 색소의 특징적 group을 제거할 때 나타나는 소색 결과를 토대로 진품참조기와 모조참조기의 판별에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A5052 합금의 내식성에 영향을 미치는 CTSA처리의 영향 (The Effect of CTSA Treatment on the Corrosion Resistance of AA5052 Alloy)

  • 구가영;배성화;손인준;정소영;백지연;임이근
    • 한국표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표면공학회 2018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91-91
    • /
    • 2018
  • 스마트폰 및 카메라 케이스 등에 널리 적용되고 있는 알루미늄은 내식성, 내마모성과 같은 물리적, 화학적 성질이 우수하지 못하여 이를 향상시키기 위해 양극산화법이 산업적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알루미늄에 양극산화법을 적용하면 강도, 내마모성 및 내식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알루미늄 표면에 규칙적으로 배열된 30nm~100nm 크기의 pore에 염료를 흡착시켜 다양한 색상의 외관을 가지는 양극산화피막을 형성시킬 수 있다. Pore간의 간격은 수십 nm~수백 nm 정도이며, pore의 크기와 간격 및 깊이는 양극산화조건(양극산화 전압, 전해액의 종류와 농도 및 온도)에 의해 크게 변화한다. 본 연구에서는 CTSA를 통한 AA5052합금의 양극산화 착색처리와 내식성의 개선 여부를 조사하였다. 알루미늄은 Al5052에는 Mg 외에, 소량의 Si을 포함하고 있다. 이 Si는 알루미늄 표면에 석출물 형태로 존재한다. 이 Si 석출물은 양극산화 시 기지상의 알루미늄 표면의 pore 형성을 방해하는 원인이다. 이러한 Si 석출물의 존재가 균일한 pore 형성을 방해하게 되고, 불균일한 포어를 가지는 표면은 착색처리 시 색상의 편차를 크게하는 원인이 되어 불량률을 높인다. 이러한 요인을 개선하기 위해 CTSA의 처리조건을 최적화 하였다. Al5052 합금을 이용하여 에칭, 디스머트, CTSA처리를 실시하였다. $55^{\circ}C$ 100g/L NaOH 용액에서 에칭을, $25^{\circ}C$ 10 vol.% $HNO_3$ 용액에서 디스머트를 실시한 다음, CTSA의 조건을 다르게 하고 SEM을 통해 Si 석출물의 감소율을 비교하였다. CTSA조건으로는 시간(60s, 180s, 300s), 농도(10%, 20%, 30%, 40%) 및 온도($25^{\circ}C$, $40^{\circ}C$, $50^{\circ}C$, $60^{\circ}C$)를 변화시켰으며, CTSA 처리 전과 후의 시편의 위치를 동일하게 하여 비교하였다. 결과 적정 시간, 농도, 온도 조건하에 pore를 불균일하게 하는 Si 석출물들이 제거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CTSA 처리는 온도가 높을수록, 시간이 길수록, 농도가 적당히 진할수록 석출물이 잘 제거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CTSA처리가 알루미늄의 내식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서 침적시험에 의한 무게감소율 및 전기화학측정을 실시하였다.

  • PDF

자근(紫根)으로부터 분리한 Naphthoquinone류 색소의 온도 및 금속에 대한 안정성 (Stability of Naphthoquinone Pigments Isolated from the Roots of Lithospermum erythrorhizon by Various Temperatures and Metal Ions)

  • 정미숙;이미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97-100
    • /
    • 1995
  •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야생 식용 식물자원 개발의 일환으로 예로부터 사용되어온 천연 착색료인 자근(Lithospermum erythrorhizon)으로부터 분리한 acetylshikonin과 isobutylshikonin을 천연착색료로 사용하기 위하여 온도 및 여러 가지 금속이온에 대한 안정성 연구를 실시하였다. 온도에 의한 영향을 조사한 결과, 두가지 색소 모두 최대흡수파장인 518 또는 520 nm에서는 안정하였으나 488 및 560 nm에서 흡광도의 변화가 나타났다. 즉, acetylshikonin은 $50^{\circ}C$까지 안정하였으나 isobutylshikonin은 $80^{\circ}C$에서 1 시간 열처리하여도 변색되지 않아 isobutylshikonin이 acetylshikonin 보다 비교적 안정함을 알 수 있었다. Acetylshikonin 색소용액에 $Fe^{++}$ 10 및 100 ppm이 첨가되었을 때 isobutylshikonin 색소용액에 10 및 100ppm의 $Fe^{++}$, $Cu^{++}$ 100 ppm을 첨가하였을 때 색소잔존량이 유의적으로 감소되었으며 $Mn^{++}$$Mg^{++}$ 등의 금속이온에 의한 영향은 나타나지 않았다.

  • PDF

수침목재유물보존처리 폐액의 재활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covery of waste fluids of the conservation treatment of waterlogged wooden artifacts)

  • 양석진;김종화;송주영;이수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08-115
    • /
    • 2012
  • 수침목재유물은 해저, 호저, 저습지등에서 발견되며 물속에서 외부로 아무런 조치 없이 나오게 되면 수축과 변형을 일으키게 된다. 따라서 보존처리는 목재내부의 물을 화학약품과 치환하고 강도와 치수의 안정화를 이루는 것이다. 이중 EDTA와 PEG는 수침목재유물 보존처리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약품중 하나이다. EDTA는 발굴출토된 목재의 흑화현상의 원인인 타닌산제2철에서 Fe-EDTA의 형태로 흑화현상을 제거한다. 보존처리 후 발생하는 폐 EDTA 용액으로부터 HCl을 첨가하여 Fe-EDTA에서 $Fe^{3+}$를 분리해 내고 강산성에서 EDTA가 석출되는 원리를 이용하여 EDTA의 침전물을 획득하여 재활용하였다. PEG는 수침목재유물의 강화처리에 사용되며 목재 내에서 추출되는 착색유기물에 의해 용액의 색이 검은색으로 변화하게 되며, 폐 PEG 용액을 $H_2O_2$를 이용한 산화작용으로 용액 내에 존재하는 착색유기물을 분해하고 색을 되돌려 재활용하였다.

식품첨가물의 분석에 관한 연구 - (I) 아질산근 정량법에 관한 검토 (Studies on Analysis of Food Additives- (I) Studies on the Determination of Nitrite in Foods)

  • 천석조;천석조;송인상;노정배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53-58
    • /
    • 1988
  • 현행 보건 사회부 고시 제 86-5호 식품 등의 규격 및 기준에 근거한 아질산근의 정량법에 대하여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온침 및 냉침에 의한 침출법에서 아질산근의 회수율은 종래의 온침법에 비하여 냉침법이 높았다. 2. 냉침한 경우 검체를 세절한 것이 균질화한 것보다 회수율이 좋았으며 지질함량이 높은 알젓류를 제외하고는 제단백제를 처리하지 않아도 거의 동일한 회수율을 나타내었다. 3. 침출시간은 30분 및 2시간에서 가장 높은 회수율을 나타내었으며 HgCl2를 첨가하지 않은 시험 용액은 침출시간 30분에서 최대 회수율을 나타내었다. 4. 침출용매로서는 냉침의 경우 물이 중성 완충액보다 좋았으며 완충용액에서는 혼탁현상이 나타났다. 5.시험용액이 착색 또는 혼탁되었을 때 증류조작을 하면 아질산근이 소실되어 회수율이 크게 저하하므로 시험용액으로 보정 할 필요가 없다. 6. Diazo화 반응에서 산성화제는 검토된 것 중에서 현행의 1N-HCl 이 가장 좋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7. Diazo화 및 Couopling제는 각각30% 초산용액으로 만든 sulfanilamide와 N-1-naphthylenediamine이 검토된 것 중에서 가장 양호하였다. 8. Coupling 시간은 종래의 20분에서 10분으로 단축시킬수 있었다.

  • PDF

폐FRP의 층간분리를 위한 전처리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emical Pre-Treatments Suitable for the Layer Differentiation of FRP Waste)

  • 이승희;이정기;김영주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47-53
    • /
    • 2012
  • 중소형 폐 선박으로부터 생성되는 FRP를 재활용하기 위한 방법으로 층상으로 배열된 로빙층과 매트층을 분리하는 것은 친 환경적이면서도 경제적 재활용의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효율적으로 로빙층과 매트층을 분리하는 기술과 로빙층은 매트층에 비해 얇은 두께로 존재한다는 이유로 인해 로빙층을 매트층과 분리할 때 기계가 자동적으로 층간의 차이를 인식하는 방법은 아직 개발이 이루지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유리의 구성비가 다른 두 층의 화학적 성질의 차를 이용하여 광학적으로 층간 인식이 가능한 방법을 모색하였다. FRP에 대해 수지를 녹이는 진한 황산, 또는 유리를 녹이는 염기성 용액(KOH의 메탄올과 아이소프로판올 용액), 유리의 $SiO_2$와 반응하는 플루오르산(HF) 용액 등을 활용하여 두 층간의 차별화가 일어났다. 더 효율적으로는 HF 용액으로 처리한 후 수용성 물감으로 착색시킴으로써 광학적인 분별이 가능하였다. 층간 분별과 자동화된 층분리로 폐 FRP의 분리 공정이 단순화, 자동화를 달성하게 되었다.

알카리리그닌의 착색구조(着色構造)에 관(關)한 연구(硏究) (Chromophoric Structures of Alkali Lignin)

  • 윤병호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9권2호
    • /
    • pp.1-30
    • /
    • 1981
  • 알칼리 펄프화중(化中)에 생성(生成)되는 리그닌의 착색구조(着色構造)를 구명(究明)하기 위(爲)하여 바닐린알코올[${\alpha}-^{13}C$] 과이아실 글리세롤-${\beta}$-아릴에테르[${\alpha}-^{13}C$] 혹은 [${\gamma}-^{13}C$] 페닐쿠마란[${\alpha}-^{13}C$] 구조(構造)를 각각(各各) 165$^{\circ}C$에서 1.5~3시간(時間) 알칼리용액을 처리한 후(後) 반응생성물(反應生成物)을 단리(單離) 또는 반응혼합물(反應混合物)을 $^{13}C$-NMR로 조사(調査)한 결과(結果), 바닐린아코올의 알칼리 처리(處理)는 Ca-$C_1$ 및 Ca-$C_5$의 결합(結合)을 갖는 축합체(縮合體)(II-1~5)로 되며, 이들은 공기산화(空氣酸化)에 의(依)해 퀴노이드 공역형구조(共役型構造)(Fig 3-7)로 산화(酸化)되며, 과이아실글리세롤 -${\beta}$- 아릴에테르의 알칼리 처리(處理)는 ${\alpha}$-아릴-${\beta}$-아록시퀴논구조(構造)(IV-15, IV-16) 디과이아실-1, 4-펜탄디엔 ${\beta}$, ${\beta}$' -디아록시스티렌메탄(V-4) ${\beta}$-아록시스티렌메탄(V-6)이 생성(生成)되며 스티렌메탄 구조(構造)는 공기산화(空氣酸化)에 의(依)해 O-퀴논메티드구조(V-8, V-9)로 된다. 페닐쿠마란은 알칼리처리(處理)에 의(依)해 다량(多量)의 스틸벤유도체(誘導體)를 생성(生成)하지만 이스틸벤구조가 퀴논구조로 산화되기 보다는 2량체(量體)(IV-11)로 안정화(安定化)되는 경향(傾向)이 있다. 이상(以上)과 같은 착색구조(着色構造)는 반응기구의 견지에서 알칼리 펄프화중(化中)에 생산되는 중요한 착색구조(着色構造)라고 생각된다.

  • PDF

구강 용액에 따른 구강 간호 수행이 요양병원 입원 노인의 구강건강상태와 치아착색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Oral Care on the Oral Health Status and Tooth Stain by Oral Solution Types for Elderly Patients Staying at Long-term Care Hospitals)

  • 배지숙;박희옥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278-289
    • /
    • 2017
  • Purpose: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whether there were differences among three oral care protocols on participants' oral health status (oral status, dry mouth, halitosis, saliva pH, microorganism growth in oral cavity) and tooth stain. The three protocols were: 1) oral solution of 4% normal saline, 2) 0.1% Chlorhexidine and 3) Tantum. Method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utilized. A total of 55 elderly patients residing at long-term care facilities(19 in the 4% normal saline group, 17 in the 0.1% Chlorhexidine group, 19 in the Tantum group) received oral care daily for four weeks.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WIN 22.0 program. Results: The halitosis (${\chi}^2=10.71$, p=.005) and saliva pH (${\chi}^2=6.84$, p=.033) scores were significantly improved after the oral care with 4% normal saline. Conclusion: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if elderly patients in long-term care facilities have complaint of the discomfort of using Chlorhexidine or Tantum, 4% normal saline is as effective at the other two. This can also be cost effective as there were no differences among the protocols in oral status, dry mouth, tooth stain or microorganism growth in oral cavity.

다목적 콘택트렌즈 용액에 대한 미용 칼라렌즈의 탈색 관찰 (Bleaching Observation of Cosmetic Color Lenses According to Multipurpose Contact Lens Solutions)

  • 김효진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95-303
    • /
    • 2014
  • 목적: 본 연구는 국내에서 유통되는 미용 칼라 콘택트렌즈에 대하여 렌즈 관리에 이용되는 다목적 콘택트렌즈 용액에 의한 탈색을 관찰하고자 하였다. 방법: 6개월용 착용렌즈로 굴절력이 0.00 D이며, 주변부가 다른 제조공법으로 착색된 세 가지 칼라 콘택트렌즈를 이용하였고(타입 1: pigment application method, 타입 2: chemical bonding process, 타입 3: sandwich method), 다목적용액은 성분이 다른 두 종류를 사용하였다. 각각의 칼라 콘택트렌즈는 다목적용액에서 20일간 보관하면서 1일 15초 동안 소용돌이 혼합(vortexing) 하였다. 소용돌이 혼합 전과 후에 형광흡광도, 표면사진 그리고 명도지수와 색좌표지수를 측정하여 탈색정도를 관찰하였다. 결과: 두 종류의 다목적용액에서 모든 타입의 미용 칼라 콘택트렌즈의 형광 흡광도 값은 소용돌이 혼합 전과 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표면사진은 렌즈의 전면은 모든 타입에서 매끄러웠고, 후면은 타입 3은 1과 2 보다 돌출된 정도가 적었다. 소용돌이 혼합 전과 후 렌즈 표면색의 색차 변화는 타입 3이 타입 1과 2보다 유의하게 변화도가 작았으나 모두 허용오차 안에 들었다. 결론: 소프트 콘택트렌즈 다목적 용액에 의한 미용 칼라 콘택트렌즈의 탈색은 형광 흡광도와 표면색 측정에서 관찰되지 않았다. 그러나 콘택트렌즈의 제조방법에 따라 렌즈 후면의 돌출된 정도는 달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