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차전자피

검색결과 47건 처리시간 0.024초

시간 마스킹이 음상정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 temporal masking on the sound laterlization)

  • 이채봉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5권4호
    • /
    • pp.352-356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선행음과 후속음의 영향이 음상정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실험을 하였다. 음원은 양귀간 시간차(Interaural Time Difference ; ITD)를 0.5ms로 한 기준음을 사용하였다. 이러한 기준음과 5종류의 레벨차를 가진 방해음(선행음 및 후속음) 및 기준음과 방해음의 시간차(Inter-Stimuli Interval ; ISI) 4종류를 조합하여 피실험자에게 제공하였다. 그리고 주파수에 대한 의존성을 알아보기 위해 기준음과 방해음을 2kHz, 4kHz, 백색 잡음을 이용하였다. 피실험자는 헤드폰을 사용하여 기준음이 좌우 어느 쪽에서 들리는지를 판단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 음상정위에 미치는 영향은 후속음보다는 선행음이 크게 나타났다. 이것은 시간 마스킹과 같은 경향이라고 생각되어 진다. 음상정위에 있어서는 기준음과 방해음 사이의 주파수 의존성은 적게 나타났다.

Quinclorac의 작용성(作用性)에 대한 연구(硏究) (Physiological and Anatomical Studies of Quinclorac Action)

  • 홍석영;이인중;김길웅;신동현;이정로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62-70
    • /
    • 1993
  • Quinclorac에 대한 벼와 피의 반응차(反應差)를 밝히기 위하여 벼 89품종과 피 30종들의 반응(反應), 단백질(蛋白質) 패턴에 미치는 영향, 약해(藥害) 발현부위(發現部位)의 해부학적(解剖學的) 관찰, 및 quinclorac을 흡수(吸收)한 벼와 피의 누출(漏出)이 토마토 생육에 미치는 영향 등을 조사하여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Quinclorac에 대한 피 종류간의 반응(反應)을 조사한 결과 Echinochloa crus-galli var. crus-galli가 E. crus-galli var. praticola나 E. oryzicola에 비해 상대적으로 내성(耐性) 반응(反應)을 보였다. E. crus-galli var. crus-galli 종내에서도 지방 수집종에 따라서 반응이 다르며 30g ai/ha 처리구에서 진주피가 무처리에 대한 신초길이가 90.5%, 건물 중이 37.8%인데 반하여, 이리피가 각각 19.1%, 14.4%로 가장 민감한 반응(反應)을 보였다. 한편, 벼는 추천처리약량(推薦處理藥量)과 추천약량(推薦藥量)의 10배량(300g ai/ha), 100배량(3,000g ai/ha) 처리시 나타나는 신초길이의 반응은 정규분포곡선(正規分布曲線)을 보였다. 2. Quinclorac은 같은 종내(種內)의 피간(진주피와 이리피)의 단백질(蛋白質) 패턴(SDS-PAGE) 변화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3. Quinclorac에 민감한 이리피의 약해부위(藥害部位)에서 생체막(生體膜) 와해현상(瓦解現象)이 전자현미경(電子顯微鏡)에 의해 관찰되었다. 4. 추청벼의 quinclorac 누출량(漏出量)이 피 보다 많았고 같은 종내(種內)의 피 간에서는 quinclorac에 내성(耐性)인 진주피에서 감수성(感受性)인 이리피보다 누출량(漏出量)이 많았다.

  • PDF

가시광선 영역에서의 선면 감지 센서 (Line Edge Detection Sensor using Visual Spectral Wavelength)

  • 최규남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7권2호
    • /
    • pp.303-308
    • /
    • 2012
  • 실린더 형태의 롤러에 감기는 원단들의 가장자리에 있는 선 이나 면들을 감지할 수 있는 1차원 선면감지 센서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선면감지 센서는 광학계의 정렬을 필요로 하지 않는 1안 렌즈를 사용한 1:1 광학계를 사용하였고 2분할 실리콘 수광소자를 사용한 두 개 채널로 부터의 차 및 합 신호를 처리하여 구현하였다. 측정된 결과는 다양한 재질 및 색상을 갖는 피사체에 대해서도 0.1mm 까지 선폭을 감지할 수 있었으며 감기는 원단은 0.2mm 편차 이내로 감기는 것을 보여주었다.

Nanopiezotronics 기술 (Nanopiezotronics Technology)

  • 이수재;유인규;추혜용
    • 전자통신동향분석
    • /
    • 제27권1호
    • /
    • pp.1-18
    • /
    • 2012
  • 미래 사회는 나노기술(NT)을 바탕으로 IT-ET-BT 기술이 융합된 유비쿼터스 사회로 진화하고 있으며, 미래 산업 사회로의 전환을 위해서는 성능개선이 아닌 성능한계 돌파의 패러다임 전환이 가능한 임계성능의 나노 소재/신소자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또한 차세대 단말기는 휴대성의 편리함, 융복합화/다기능화, 인간 친화형이 요구되고, flexible/stretchable/bendable한 형태로 발전하고 있는 상황이다. 나노 피에조트로닉스(nanopiezotronics) 기술은 역학적 에너지를 전기적 에너지로 변환하는 나노 발전 소자(nanogenerator)의 원리를 기반으로 하며 나노선, 나노벨트와 같은 1차원적 나노구조 소재의 압전성과 반전도성이 결합된 특성을 이용한 신기능의 미래 IT 융합 나노 전자/에너지 소자를 구현하는 기술로서 미래 유망 기술로 부각되고 있다. 현재 기술 수준은 압전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압전-다이오드, 압전 센서, 압전 나노 발전 소자 등과 같은 prototype 소자를 제작하는 수준에 머무르고 있으나 향후 초고감도 압전 센서, 자가발전 MEMS/NEMS 및 나노 시스템, 스마트 웨어러블 시스템, 건강 모니터링 시스템, 인체 삽입형 소자, portable 및 투명 유연 전자소자 등의 다양한 미래 융합 나노 소자 및 시스템에 광범위한 활용이 가능하며, 향후 신기능의 소자/부품/시스템 창출을 위한 기술로 자리매김할 것으로 전망된다. 본고에서는 압전 나노선, 나노튜브, 나노섬유 등의 1차원적 나노구조체 기반의 nanopiezotronics 기술과 최근의 연구결과들을 소개한다.

  • PDF

Fabry-Perot 레이저의 자기궤환 레이저 발진을 이용한 광섬유 길이 측정법 (Fiber Length Measurement Technique based on a Self-Seeding Laser Oscillation of a Fabry-Perot Laser Diode)

  • 윤기홍;송재원;김현덕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D
    • /
    • 제41권12호
    • /
    • pp.51-57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폐경로를 통한 Fabry-Perot 레이저의 자기궤환 레이저 발진 현상을 이용하여 새로운 광섬유 길이 측정 방법을 제안하였다. Fabry-Perot 레이저에 변조전류를 인가하여 생성된 광펄스를 피측정 광섬유를 포함하는 폐경로를 통과한 후 다시 레이저로 입사시키면 특정 변조주파수에서 자기궤환 레이저 발진이 유도될 수 있다. 제안된 측정법에서는 특정 모드에서 자기궤환 레이저 발진을 유도하기 위한 변조주파수들을 측정하고, 이 변조주파수들 사이의 차를 이용하여 광섬유의 길이를 계산하도록 한다. 제안된 측정법을 이용하여 0.1 ∼ 75 km 범위의 피측정 광섬유의 길이 측정을 수행하였고, 측정결과는 기존의 상용 계측기를 사용한 측정 결과와 잘 일치함을 실험적으로 검증하였다. 상용 계측기와의 상대 오차는 0.24 % 이하였고, 반복측정오차(repeatability)는 0.1 % 보다 작았다.

상백피 추출물중 Listeria monocytogenes 증식억제 물질의 분리 및 효과 (Growth Inhibition of Listeria monocytogenes by Pure Compound Isolated from Extract of Morus alba Linne Bark)

  • 안은영;한지숙;신동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1236-1240
    • /
    • 1997
  • 상백피를 75% 에탄올로 추출하여 얻은 조 추출물을 다시 용매별로 순차 분획 후 Listeria monocytogenes 5균주에 대하여 증식저해 효과를 비교한 후 항균활성 물질을 확인하였다. 활성이 있는 획분을 1차 및 2차 column chromatography를 통하여 활성 물질을 순수 분리하여 활성 물질 획분(F-5')을 얻었고 이 획분을 tryptic soy broth에 100 및 300 ppm을 첨가하여 Listeria monocytogenes를 증식시킨 결과 배양시간에 따라 뚜렷한 균수의 감소가 관찰되어 높은 살균효과가 인정되었으며 처리된 균체의 세포적의 비정상적인 형태가 전자현미경을 통하여 관찰되었다.

  • PDF

SiC 강화 알루미늄기 복합재료의 표면미소 피로균열 발생 및 진전 거동 (Initiation and Growth Behavior of Small Surface Fatigue Crack in SiC Reinforced Aluminum Composite)

  • 이상협;최영근;김상태
    • Composites Research
    • /
    • 제22권3호
    • /
    • pp.74-81
    • /
    • 2009
  • 본 연구는 SiC 입자 강화된 알루미늄기 복합재료와 SiC 휘스커 강화된 알루미늄기 복합재료를 이용해서 평면굽힘피로시험을 행했다. 표면미소피로균열의 발생 및 진전거동은 레프리카법으로 연속관찰을 했고 파괴원인과 파괴기구를 규명하기 위해서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했다. 두 재료 모두 da/dn - $K_{max}$ 관계에서 고응력 레벨에서는 $K_{max}$의 증가에 따라 da/dn이 증가 했지만, 저응력 레벨에서는 da/dn이 감소하다가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발전기 모델별 고정자 권선의 진동 특성 비교 (Comparison of Vibration Characteristics of Stator Windings by Generator Model)

  • 배용채;김희수;김연환;이현;김성휘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00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1810-1815
    • /
    • 2000
  • 발전기 회전자와 고정자 사이에 유기되는 전자력은 발전기 운전중 진동 피로 현상을 유발시켜 발전기 수명 저감의 요인이 된다. 특히 고정자 코어부에 비해 기계적 구속력이 비교적 약한 권선 단말부에서의 진동은 냉각수 누수, 권선 마멸등에 의한 2차 사고를 유발시킬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국내 발전소에서 운전중인 발전기를 중심으로 수행한 제작사별 고정자 권선의 진동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 PDF

성별에 따른 표면근전도의 중앙주파수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Median Frequency Analysis of Surface EMG on Gender Differences)

  • 이상식;이기영;고재욱;박원엽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5권1호
    • /
    • pp.20-25
    • /
    • 2012
  • 표면근전도의 중앙주파수 특징을 이용하여 근지구력시간에 대한 남녀 성별차별을 구분할 수가 있다. 중앙주파수는 근육의 피로속도를 측정하는데 주로 사용하는 인자이다. 본 연구에서는 상완이두근의 등장성 운동을 통한 근전도의 성별차이를 알아보았다. 등장성운동은 피실험자가 근육피로가 피곤해 질 때까지를 측정하였다. 남녀 성별차이는 근지구력시간에 대한 중앙주파수의 선형회귀선의 기울기로 구분되어지는 특성을 보였다.

153 FC-BGA에서 솔더접합부의 신뢰성 향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Solder Joint Reliability for 153 FC-BGA)

  • 장의구;김남훈;유정희;김경섭
    • 마이크로전자및패키징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31-36
    • /
    • 2002
  • PBGA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칩을 실장하는 고속 SRAM용 153 FC-BGA을 대상으로 2차 솔더접합부의 신뢰성을 평가하였다. 실험은 열사이클 시험에서 발생하는 단면과 양면 실장, 패키지 구조, 언더 필 재료, 기판의 종류와 두께, 솔더 볼의 크기에 따른 영향을 분석하였다. BT기판의 두께가 0.95mm에서 1.20mm로 증가하고, 낮은 영률 의 언더 필 재료에서 솔더접합부의 피로 수명이 30%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솔더 볼의 크기가 0.76 mm에서 0.89mm로 증가하면, 솔더접합부에서 균열에 대한 저항성은 2배 정도 증가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