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차익거래

Search Result 49,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KOSPI 200 옵션시장(市場)과 선물시장(先物市場) 사이의 일중 가격관계(價格關係)와 차익거래(差益去來) 전략(戰略)

  • Tae, Seok-Jun
    • 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Studies
    • /
    • v.7 no.1
    • /
    • pp.133-152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KOSPI 200 옵션과 KOSPI 200 선물의 상대적 가격 형성이 적정하게 이루어지고 있는가를 검증하였으며, KOSPI 200 옵션시장과 KOSPI 200 선물시장 사이의 상대적인 가격불균형을 이용한 차익거래(arbitrage) 기회 빈도 및 차익거래 수익성에 대한 실증분석을 시행하였고, 사후적(ex-post) 차익거래 수익성, 사전적(ex-ante) 차익거래 수익성, 동태적 차익거래 수익성에 대한 분석을 시행하였다. 분석기간 중 KOSPI 200 옵션시장과 선물시장 사이의 가격불균형을 이용한 차익거래 기회가 한국증권거래소 회원사에게 빈번하게 발생하였다. 한국증권거래소 비회원사의 경우에는 전체 관측도수 중 14.8%의 경우에만 차익거래 기회가 존재하였고 사후적 차익거래 이익 평균은 0.229이었으며, 한국증권거래소 회원사의 경우에는 61.8%의 경우에 차익거래 기회가 존재하였고 사후적 차익거래 이익 평균은 0.140이었다. 사전적 차익거래 수익성 분석 결과 한국증권거래소 비회원사의 경우에는 사전적 차익거래 이익 평균은 0.149이었으며, 한국증권거래소 회원사의 경우에는 사전적 차익거래 이익 평균이 0.121로 나타나 사후적 차익거래 이익 평균에 비하여 낮은 수준을 나타냈다. 동태적 차익거래 수익성 분석 결과 한국증권거래소 비회원사의 경우에는 동태적 차익거래 이익 평균은 0.561이었으며, 한국증권거래소 회원사의 경우에는 동태적 차익거래 이익 평균은 0.265로 나타나 동태적 차익거래 전략이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는 차익거래 전략임을 보여주었다.

  • PDF

한국(韓國) 주가지수(株價指數)옵션시장(市場) 내에서의 가격불균형(價格不均衡)과 차익거래(差益去來) 기회(機會)에 관한 연구(硏究)

  • Tae, Seok-Jun
    • 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Studies
    • /
    • v.6 no.1
    • /
    • pp.249-267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주가지수옵션시장 내에서 KOSPI 200 옵션들 사이의 가격불균형을 이용한 박스 스프레드 차익거래 기회와 수익성에 대한 실증분석을 시행하였다. 분석기간 중 한국증권거래소 비회원사의 경우에는 전체 관측도수 중 11.1%의 경우에 박스 스프레드 차익거래 기회가 존재하였으며, 사후적 박스 스프레드 매도 차익거래 이익 평균은 0.3468, 사후적 박스 스프레드 매입 차익거래 이익 평균은 0.3462이었다. 한국증권거래소 회원사인 증권회사들에게는 박스 스프레드 차익거래 기회가 자주 발생하였다. 한국증권거래소 회원사의 경우에는 전체 관측도수 중 61.4%의 경우에 박스 스프레드 차익거래 기회가 존재하였으며, 사후적 박스 스프레드 매도 차익거래 이익 평균은 0.1677, 사후적 박스 스프레드 매입 차익거래 이익 평균은 0.1815이었다. 사전적 박스 스프레드 차익거래 수익성 분석 결과 박스 스프레드 차익거래 전략을 실행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고려하는 경우에도 증권거래소 회원사와 비회원사 모두에게 수익성 있는 박스 스프레드 차익거래 기회가 존재하였다.

  • PDF

한국(韓國) 주가지수선물시장(株價指數先物市場)에서의 차익거래(差益去來)에 관한 연구(硏究)

  • Tae, Seok-Jun
    • 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Management
    • /
    • v.14 no.3
    • /
    • pp.289-318
    • /
    • 1997
  • 본 논문에서는 1996년 5월 3일에 한국에서 주가지수선물거래가 시작된 이후 선물가격 형성이 적정하게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검증하기 위하여 실제 선물가격과 이론가치를 비교하고 차익거래 기회와 만기간 스프레드거래 기회에 대한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KOSPI 200 지수선물시장에서 선물가격은 이론가치에 비하여 지속적으로 저평가되는 현상을 나타냈으며, 증권거래소 회원사 뿐만이 아니라 비회원사에게도 선물매입/현물매도 차익거래 기회가 빈번하게 지속적으로 발생하였으며, 선물가격과 차익거래 밴드와의 괴리율 수준이 크게 나타났다. 두번째 근월물(원월물) 선물가격이 첫 번째 근월물(근월물) 선물가격에 비하여 지속적으로 저평가되는 현상을 나타냈으며, 거래소 회원사에게 원월물 매입/근윌물 매도 스프레드거래 기회가 존재하였으나 원월물 선물의 낮은 거래량을 고려하면 스프레드거래 기회는 제한적이었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분석기간을 네 기간으로 구분하여 조사한 결과 첫번째 기간부터 세번째 기간까지(1996.5-1997.4)는 선물가격의 저평가 현상이 지속적으로 나타나고 차익거래 기회도 빈번하게 발생하였으나 네번째 기간(1997.5-1997.8)에는 선물가격과 현물지수 사이의 가격불균형이 크게 축소되었고 차익거래 기회 빈도 및 괴리율 수준이 크게 감소되었다.

  • PDF

국내 주가지수선물시장에서의 차익거래기회

  • Kim, Cheol-Gyo;Lee, Hyeon
    • 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Management
    • /
    • v.15 no.1
    • /
    • pp.95-116
    • /
    • 1998
  • 선물시장이 개설된 이후 최근까지 약 2년동안 거래된 주가지수선물 8개의 최근월물에 대한 실제가격과 이론가격과의 괴리율을 분석한 결과 한개의 결제월물을 제외한 1개의 최근월물의 선물가격이 평균적으로 이론가보다 낮게 형성되어 주가지수선물시장이 개설된 이후 대부분의 기간동안 선물가격의 저평가상태가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선물시장이 양적으로 성장한 97년 10월부터 괴리율의 편차가 더 심화되는 경향도 발견되었다. 가격괴리현상을 이용한 차익거래로 실제 수익을 올릴 수 있었는가에 대한 점증에서는 거래비용에서 유리한 위치에 있는 증권회사의 경우 분석대상 총거래일수 544일중에서 차익거래가 가능했던 거래일은 301일이었고, 거래비용측면에서 상대적으로 불리한 일반투자자의 경우에도 총 190일이나 차익거래가 가능했던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처럼 거래비용을 고려하고도 차익거래로 이익을 실현할 수 있는 기회가 즉시에 소멸되지 않고 상당기간동안 지속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기관투자가의 선물에 대한 인식 부족과 증권회사의 공매도 제약 둥과 같은 제도적 요인, 그리고 차익거래 수익의 불확실성 등에 따라 차익거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못한데서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가격괴리현상과 선물만기일까지의 잔존기간과의 관계는 유의적이어서, 선물만기일까지 잔존기간이 길수록 괴리율이 더 크고 만기일에 접근함에 따라 괴리율은 감소하였다.

  • PDF

Effects of Program Trading Halts on Information Asymmetry : Program Trading Stocks, Index Arbitrage Stocks, and Non-index Arbitrage Stocks (프로그램매매 중단장치가 차익거래종목과 비차익거래종목의 정보비대칭에 미치는 영향)

  • Park, Jong-Won;Eom, Yun-Sung;Chang, Uk
    • 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Management
    • /
    • v.26 no.3
    • /
    • pp.65-101
    • /
    • 2009
  • The effects of program trading halts system (sidecar) on information asymmetry of program trading stocks, index arbitrage stocks, and non-index arbitrage stocks in the Korean stock market are examined. Effective spread and number of program trade of each stock are used as proxy variables for information asymmetry.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we find that effective spreads of program trading stocks in the post-halt period decrease significantly following the halt period. This means that sidecar has the effect of reducing information asymmetry in the Korean stock market. Secondly, the mitigation effect of information asymmetry of program trading stocks works only in buy-program trading stocks, but not in sell-program trading stocks. Thirdly, the results show that there are no distinct differences for index arbitrage group and non-index arbitrage group surrounding the sidecar events. In other words, program trading halts system has a mitigating effect of information asymmetry in not only index arbitrage trading stocks but also non-index arbitrage stocks. Fourthly, this mitigation effect works only in buy-sample not in sell-sample like in program trading stocks. And lastly, the analyses result of number of program trade shows that number of program trade of almost of sample stocks increases after the sidecar events. This implies that the information asymmetry is not fully resolved during the halt period and the effect of news inducing sidecar is continuing after the event.

  • PDF

The Effects of Sidecar on Index Arbitrage Trading and Non-index Arbitrage Trading:Evidence from the Korean Stock Market (한국주식시장에서 사이드카의 역할과 재설계: 차익거래와 비차익거래에 미치는 효과를 중심으로)

  • Park, Jong-Won;Eom, Yun-Sung;Chang, Uk
    • 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Management
    • /
    • v.24 no.3
    • /
    • pp.91-131
    • /
    • 2007
  • In the paper, the effects of sidecar on index arbitrage trading and non-index arbitrage trading in the Korean stock market are examined. The analyses of return, volatility, and liquidity dynamics illustrate that there are no distinct differences for index arbitrage group and non-index arbitrage group surrounding the sidecar events. For further analysis, we construct pseudo-sidecar sample and analyse the effects of the actual sidecar and pseudo-sidecar on arbitrage sample and non-index arbitrage sample. The result of analysis using pseudo-sidecar shows that the differences between index arbitrage group and non-index arbitrage group are larger in pseudo-sidecar sample than in actual sidecar sample. This means that former results can be explained by temporary order clustering in one side before and after the event. Sidecar has little effect on non-index arbitrage group, however, it has relatively large effect on arbitrage group. These results imply that it needs to redesign the sidecar system of the Korean stock market which applies for all program trading including arbitrage and non-index arbitrage trading.

  • PDF

현금배당락조치 폐지 이후 배당락일의 주가행태

  • Kim, Seong-Min
    • 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Studies
    • /
    • v.9 no.1
    • /
    • pp.189-219
    • /
    • 2003
  • 본 연구는 한국증권거래소의 현금배당락조치 폐지 이전과 1998년 7월 현금배당락 조치 폐지 이후의 표본을 이용하여 인위적인 거래소의 배당락조치 변경이 배당락일의 주가행태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현금배당락조치 폐지 이후 거래소 배당락기준가격의 오차는 예상대로 더욱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두 기간 모두 배당락일의 주가가 금기예상실효배당금과 거래소가 배당락조치를 위해 인위적으로 산정한 배당금과의 차이인 거래소 배당락기준가격의 오차를 반영할 수 없었다. 또한, 김성민(1997)과 일관되게 단기차익 거래의 유용성은 표본그룹에 관계없이 금기예상실효배당금에 대한 정보소유자가 연말 폐장일에 배당부종가로 구입하여 배당락일인 연초 개장일에 배당락 종가로 매도하는 것이 배당락 시가로 매도하는 것보다 더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차익거래를 통한 보유기간 세후 수익률은 현금배당락조치 폐지 이전인 1997년(4.7%)에 비해 현금배당락조치 폐지 이후 현금배당락을 시키지 않은 $1998{\sim}1999$년(8.9%) 기간에 더 증가하였다. 단기차익을 위한 차익거래가 실질적으로 이루어 졌는지 연초 배당락일 주변의 초과거래량을 분석한 결과 $1997{\sim}1998$ 회계년도의 배당락일에는 유의적인 양(+)의 초과거래량이 발생하였지만 1999 회계년도의 배당락일에는 유의적인 음(-)의 초과거래량이 발생하여 이에 대한 결론을 내릴 수 없었다. 본 연구는 금기예상현금배당에 대한 완전예측을 가정함으로써 배당락일의 주가하락과 주주총회에서 실현될 주당배당금의 괴리는 차익을 제공할 수 있으나 무위험 차익거래 기회가 아님을 밝혀 둔다.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조사한 모든 일중 및 1일(overnight) 투자수익률에서 옵션 거래량의 상대적 비율에 의거한 투자전략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투자수익률의 차이를 가져왔다.e 측정치에 의해 평가했을 때, 회사채가 주식보다 더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으나 Treynor 측정치에 의한 평가를 했을 때는 정기예금이 가장 우수했다. 그리고 Jensen 측정치에 따라 투자대상을 평가했을 때는 회사채와 국채가 주식보다 앞섰다. 마지막으로, 종합적인 평가를 했을 때는 회사채가 주식보다 우수했고 정기예금은 주식과 동일한 수준으로 평가되었다. 유의성은 없었다.의 선도효과가 지배적임을 발견하였다.적 일정하게 하는 소비행동을 목표로 삼고 소비와 투자에 대한 의사결정을 내리고 있음이 실증분석을 통하여 밝혀졌다. 투자자들은 무위험 자산과 위험성 자산을 동시에 고려하여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 투자활동을 행동에 옮기고 있다.서, Loser포트폴리오를 매수보유하는 반전거래전략이 Winner포트폴리오를 매수보유하는 계속거래전략보다 적합한 전략임을 알 수 있었다. 다섯째, Loser포트폴리오와 Winner포트폴리오를 각각 투자대상종목으로써 매수보유한 반전거래전략과 계속거래 전략에 대한 유용성을 비교검증한 Loser포트폴리오와 Winner포트폴리오 각각의 1개월 평균초과수익률에 의하면, 반전거래전략의 Loser포트폴리오가 계속거래전략의 Winner포트폴리오보다 약 5배정도의 높은 1개월 평균초과수익률을 실현하였고, 반전거래전략의 유용성을 충분히 발휘하기 위하여 장단기의 투자기간을 설정할 경우에 6개월에서 36개월로 이동함에 따라 6개월부터 24개월까지는 초과수익률이 상승하지만, 이후로는 감소하므로, 반전거래전략을

  • PDF

An Empirical Study on Existence of Arbitrage Opportunities in the KOSPI 200 Futures Market (KOSPI 200 주가지수선물시장에서의 차익거래에 관한 실증연구)

  • Rhieu, Sang-Yup;Kim, Jae-Mahn
    • Korean Business Review
    • /
    • v.16
    • /
    • pp.145-168
    • /
    • 2003
  • This study is mainly aimed at analyzing the influence of the divergency(mispricing) between KOSPI 200 theoretical prices and its real prices of KOSPI 200 spot index, considering the existence of arbitrage opportunity from the mispricing. The data in this study are the daily prices of 1262 days, from 3 May 1996 to 14 December 2000. The results of our empirical study represent that the real prices in KOSPI 200 Stock Index Futures are continuously undervalued relative to their corresponding theoretical prices. Our study reconfirms the results from previous studies conducted at the domestic and overseas markets. We conclude that the undervaluation, especially in the market opening period, could come from fear of investors, whose experiences in the stock index futures market are limited, chiefly because of loss and uncertainty of prediction toward interest rates and dividends. Our study also represents that KOSPI 200 index shows more volatilities during days with mispricing relative to days without mispricing.

  • PDF

A Study on the Effects of Index Arbitrage Trades on Return Volatilities in the Spot Market and Index Futures Market (주가지수 차익거래가 주식시장 및 주가지수 선물시장의 수익률 변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Min, Jae-Hoon
    • 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Management
    • /
    • v.17 no.2
    • /
    • pp.175-209
    • /
    • 2000
  • 본 연구는 프로그램매매가 주가지수 선물시장 및 현물 주식시장의 수익률 변동성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서 일중 수익률 및 프로그램매매자료를 이용하여 분석을 시도하였다. 실증분석을 통해서 관찰된 결과를 살펴보면 대부분 선진국 시장에서 보고된 결과와 일치하였다. 우선 프로그램매매가 증가할수록 현물 주식시장에서의 변동성은 증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선물시장에서는 그러한 일관성 있는 관계를 발견하지 못하였다. 프로그램매매 발동 직후 선물 및 현물시장의 수익률은 반전현상을 나타냈으며 특히 현물시장의 가격변화가 선물시장에 비해서 큰 것으로 관찰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선물시장과 현물시장에 있어서의 가격반전 현상이 시장 유동성에 미치는 경제적 영향은 선물만기일과 같이 특정시간대에 프로그램매매가 집중되지 않는 한 경미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프로그램매매 특히 차익거래는 선물 가격과 현물 가격간의 균형 관계가 일시적인 수급상황에 따라 이발될 경우 이를 다시 균형 상태로 회복시켜 줌으로써 시장의 효율성을 증대시키는 주요한 연결통로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특히 두 시장간의 균형 상태는 선물 시장보다는 현물 주식시장에서의 활발한 매매 활동을 통하여 이루어짐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국내시장에서 차익거래는 시장의 위험을 증대시키는 부정적인 측면보다는 시장의 효율성을 증진시키는 긍정적인 순기능이 많은 것으로 관찰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