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차세대 통합망

Search Result 156,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The Study on Next Generation Network Security Architecture in the BcN Environment (BcN 환경을 고려한 차세대 네트워크 보안 구조에 관한 연구)

  • 오승희;서동일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4.05b
    • /
    • pp.709-712
    • /
    • 2004
  • The BcN is applying from public networks to local networks and each terminal step by step under supporting MIC(Ministry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Repoblic of Korea) until 2007. The architecture of network sorority should considers BcN environment and evolves to manage Ipv6 traffics. The next generation network security architecture can manage not only Ipv6 environment but also wire and wireless integrated network. We suggest the next generation network security architecture for Ipv6 environment and wire-wireless integrated network environment and verify the performance of the suggested architecture using network security scenario.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Gateway for CC and SIP in Next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차세대 이동통신망에서 CC와 SIP 연동 게이트웨이의 설계 및 구현)

  • 김형국;이정준;정운영;김정훈;박석천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2.05c
    • /
    • pp.402-405
    • /
    • 2002
  • 차세대 이동통신망(IMT-2000 :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에서는 기존 통신망에서 제공하는 기능을 그대로 제공하면서 여러 향상된 기능을 제공하는 형태로 개발되고 있으며 기존 망 구조를 적절히 수용하면서 현재 제공하고 있는 음성 서비스를 수용할 수 있는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통신망의 구축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음성과 데이터의 통합 및 서비스의 확장성과 포괄성으로 인하여 미래의 각광받는 서비스로 예상되는 IP망에서의 음성 서비스와 차세대 이동통신망과의 연동 게이트웨이 개발은 필수적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차세대 이동통신망 환경에서 기존 망 구조를 적절히 수용해 줄 수 있으면서 음성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차세대 이동통신망의 CC(Call Control)와 IP 망의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를 이용한 연동 프로토콜을 설계 및 검증하고, 이를 구현하였다.

  • PDF

Standardization Trends and Prospect of Next Generation Internet Protocol (차세대 인터넷프로토콜 표준화 동향 및 전망)

  • Gang, Hui-Jo
    • 한국디지털정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11a
    • /
    • pp.281-288
    • /
    • 2005
  • 차세대 인터넷 주소체계인 IPv6는 BcN, 디지털홈, 유비쿼터스 컴퓨팅 등 21세기 국가경쟁력을 좌우하는 핵심 인프라로 자리 잡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차세대 인터넷 프로토콜(IPv6) 개념, 기술현황, 표준화 통향, IPv6의 적용 분야 등에 대하여 검토하기로 한다.

  • PDF

Next Generation Internet Based on Optical Switching Technology (광스위칭 기반 차세대 인터넷)

  • Hahm, J.H.;Kang, S.G.;Park, K.S.;Park, C.H.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16 no.2 s.68
    • /
    • pp.10-30
    • /
    • 2001
  • 본 고에서는 차세대 인터넷 구축을 위한 요소 기술에 대하여 전반적으로 살펴본다. 우리는 현재보다 1,000배 빠른 차세대 인터넷의 구축을 목표로 하고 있다. 따라서 과연 그만큼 빠른 인터넷의 구축이 필요할 것인가를 검증하는 차원에서 향후 5년 정도의 가까운 시일 내에 있을 인터넷 트래픽의 증대에 대한 수요를 서비스 측면에서 살펴본다. 차세대 인터넷은 풍부한 전송대역폭의 제공과 QoS를 기반으로 한 신뢰성 있는 데이터의 전달을 특징으로 하며, 이를 위해서 광스위칭 기반의 전송 하부구조 위에 MPLS 기술이 사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를 위한 요소기술로 DWDM 전송기술, MEMS 기반의 광스위칭 소자기술과 함께 광스위칭 기술에 지능을 부여하기 위한 표준화 동향에 대하여 살펴본다. 현재의 IP 기반 인터넷에서 제공하지 못하는 QoS 기능은 MPLS에서 가능하게 될 것이다. MPLS에서의 중요한 응용인 트래픽 엔지니어링과 VPN 서비스는 망이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지원하면서 기업들이 MPLS 망을 이용하여 자신의 망을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이다. MPLS 기술은 IETF에서 표준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라우터 개발업체 및 ISP의 큰 지원을 받고 있다. 차세대 인터넷을 위해서는 전달망의 구축도 필요하지만 이와 함께 차세대 인터넷 응용을 위한 컴퓨팅 인프라도 균형있게 개발되어야 한다. 따라서 현재 그 윤곽을 드러내고 있는 차세대 인터넷 응용 인프라 환경에 대하여 그 등장 배경과 관련 기술에 대하여 조망한다. 차세대 인터넷의 개발을 위해서는 광처리 관련 원천 기술, 프로세서 개발 기술, 라우터 설계 기술 및 서버 개발 기술, 어플리케이션 기반 기술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술들이 전략적으로 이음새 없이 매끄럽게 통합되어야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필요한 요소기술들을 다수 보유하고 있는 ETRI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리라 생각된다.

차세대 통신망 구조 및 프로토콜

  • 이경휴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19 no.6
    • /
    • pp.37-47
    • /
    • 2002
  • 차세대 통신망 구조란 다각도로 고려 되지만 일반적으로 방향은 "ALL OPTICAL 기간망 기반의 ALL IP 유무선 통합 네트워킹" 이라는 중장기적인 예측으로 볼 수 있다. 현재 NGN(Next Generation Network)라는 명으로 흐르는 중단기적인 관점에서 본고에 소개하고자 하며, NGN이라는 흐름에 포함되는 유무선 통합 구조 측면도 고려하였다. 여기에 대하여 여러 논의 대상이 많지만 어느 정도 공통된 방향의 특징 관점에서 제시하였다.점에서 제시하였다.

A Study on Security Technology in Next Generation Network (차세대 통신망에서의 보안 기술에 관한 연구)

  • Lee, Keun-Ho;Yi, Song-Hee;Kim, Jeong-Beom;Kim, Tai-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2.11b
    • /
    • pp.1135-1138
    • /
    • 2002
  • 최근 인터넷 관련 기술이 급속하게 발진하고 있다. 과거의 단순한 데이터 서비스에서 음성, 화상 등의 다양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모든 미디어가 인터넷으로 수렴되는 NGN(Next Generation Network)으로 발진되어 가고 있다. 개방형 네트워크는 다양한 유무선 통합망의 융합화에 따른 통신망간의 간섭이 증가하고 네트워크 접속점 중심의 통신망간 접속구조가 확대되어 지금까지의 시스템 보안 위주의 단순한 보안 기술을 적용하기가 어려웠다. 따라서 네트워크 노드간을 효율적으로 보호하는 네트워크 중심의 보안 기술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에 본 논문은 진화망을 중심으로 하는 통신 산업의 유 무선 데이터 서비스 증가로 원래 데이터 서비스를 위하여 설계된 것에 다양한 데이터 응용 서비스의 하나로 진화 서비스를 수용학 수 있는 새로운 통신 인프라를 구축하여 통합하는 차세대 통신망에 대해서 살펴보고 차세대 통신망(NGN)에서의 보안기술을 연구한다.

  • PDF

차세대 TMN 기술 및 통합관리구조

  • 이동면;김성범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13 no.12
    • /
    • pp.101-112
    • /
    • 1996
  • 본 고에서는 TMN 표준의 범위, 인터페이스 표준의 역할과 중요성, TMN 인터페이스의 주요 구성요소 등을 기술하고, TMN 개념을 보다 구체화하기 위해 필요한 차세대 망관리 구조와 핵심 응용기술의 저변확대를 위해 앞으로 추진될 표준화 연구방향을 고찰하고, TMN 실현을 가속화시키기 위해 추진중인 Pre-TMN 운용관리체제 구축현황과 BISDN 운용관리에 적용가능한 차세대 망운용관리구조 그리고 이를 실현하기 위해 필요한 핵심기술 연구개발 현황을 기술한다.

  • PDF

Next- Generation Cable Broadcasting Technology and Standardization (차세대 케이블방송 기술개발 및 표준화 동향)

  • Jung, J.Y.;Kim, T.K.;Bae, J.H.;Lee, J.H.;Cho, Y.S.;La, S.J.;Choi, D.J.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30 no.3
    • /
    • pp.9-20
    • /
    • 2015
  • 케이블방송망은 광대역을 가진 유선망이라는 매체 특성으로 동일한 망을 이용하여 방송뿐만 아니라 통신까지 제공할 수 있는 양방향 방송서비스를 가능케 하는 방송통신 융합을 위한 최적의 망으로 거론되고 있다. 서비스 관점에서 케이블방송망은 도입초기 단순히 지상파 방송의 난시청 해소를 위한 수단이었으나 프로그램 공급업자와 종합 유선 방송국의 등장으로 독립적인 방송 매체로 발전하였으며, 북미 주도하에 1990년대 중반 통신법이 개정된 이후 양방향 고속 데이터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방안으로 케이블 모뎀(CM: Cable Modem)을 개발하여 방송과 통신을 동시에 수용하는 통합망으로 발전시켜왔다. 최근 케이블방송은 전송 효율 고도화, 망 구조적 진화 및 대용량 콘텐츠 전송으로 크게 3개의 방향으로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각 발전 방향에서 제시하는 차세대 케이블방송의 기술개발 및 표준화 동향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 PDF

Trend Analysis of Research and Development Networks, and Case Study of Planning of Testbed Based on Broadband Convergence Network (첨단 연구개발망의 발전 동향과 BcN 기반 시험망 구축 방안 사례 연구)

  • Lee, J.K.;Lee, J.J.;Nam, S.S.;Lee, K.H.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19 no.3 s.87
    • /
    • pp.125-135
    • /
    • 2004
  • 차세대 통신망 기술은 개별망에서 단일망인 광대역통합망으로 발전되어 가고 있는 추세이며, 향후 유. 무선 통합 및 방송. 통신 융합이 가능한 IP 기반의 멀티네트워크로 통합될 것이다. 본 고에서는 우리나라가 주도하고 있는 국내, 국제 연구망과 해외 여러 나라들이 추진하고 있는 연구개발망에 대해 살펴보고 첨단 연구개발망을 활용하여 연구개발하고 있는 주요 사항들 즉, IPv6, Measurement, Multicasting, VoIP 같은 네트워킹 기술과 바이오, 나노, 의료, 기상, 교육, 환경 연구 등 과학기술 전반에 걸쳐 6T를 포괄하는 첨단기술을 연구하는 연구개발망에 대한 동향 분석과 IT 분야의 핵심기술과 인프라 제공을 위한 BcN 기반의 연구시험망 구축 방안에 대해 살펴본다. 이러한 첨단 연구개발망은 지속적인 성장과 글로벌시대의 고부가가치 창출을 위한 차세대 연구망으로 미래 선도기술을 배양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핵심기술개발과 상용화와 연구개발 기술간의 격차를 줄임으로써 개발기간의 단축과 가격경쟁력을 향상시킬 것으로 사료된다.

차세대 통합 네트워크를 위한 프로토콜 표준화 및 상호운용성 기술 동향

  • 김상완;김정윤;김성연;이경휴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20 no.3
    • /
    • pp.78-92
    • /
    • 2003
  • 본 고에서는 차세대 통합 네트워크를 위한 프로토콜들 중 소프트스위치(MGC)와 미디어 게이트웨이를 중심으로 사용될 수 있는 BICC, SIPT, Megaco/H.248 프로토콜과 VoIP용 프로토콜인 H.323, SIP 프로토콜 등의 표준화 내용에 대해서 살펴보고 차세대 등합 네트워크로 진화하는 중간 단계에서 필수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기존망들간의 연동 기술들에 대한 표준화 내용을 다루고자 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연동기술 동향으로써 MSF(Multiservice Switching Forum)에서 주관하고 있는 장비 간 상호운용성 시험인 GMI(Global MSF Interoperability)에 대해서 기술하도록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