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차세대 통합망

Search Result 156,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A Correction Security Framework for Reliable Internet Services (신뢰성 있는 인터넷 서비스 제공을 위한 교정 보안 프레임워크)

  • Lee, Seung-Min;Nam, Taek-Yong;Sohn, Sung-Won;Han, Chi-Moon
    • The KIPS Transactions:PartC
    • /
    • v.10C no.6
    • /
    • pp.779-786
    • /
    • 2003
  • We propose a correction security framework as next generation security technology to provide secure and reliable Internet services. The framework guarantees durability of the services in spite of external attack, intrusion, vulnerability for fault tolerance, and network management technology that covers the set of techniques aimed at providing rapid service recovery. The improvement technology includes system itself improvement and synamic improvement preventing faults from being re-activated, in cooperation with other systems such as vulnerability anaysis system, NMS, ESM. It is expected that our framework will be applied to global networks as well as system alone, and be able to guarantee the network survivability and reliable Internet services.

Hybrid Buffer Structured Optical Packet Switch with the Limited Numbers of Tunable Wavelength Converters and Internal Wavelengths (제한된 수의 튜닝 가능한 파장변환기와 내부파장을 갖는 하이브리드 버퍼 구조의 광 패킷 스위치)

  • Lim, Huhn-Kuk
    • Journal of Internet Computing and Services
    • /
    • v.10 no.2
    • /
    • pp.171-177
    • /
    • 2009
  • Optical packet switching(OPS) is a strong candidate for the next-generation internet, since it has a fine switching granularity at the packet level for providing flexible bandwidth, and provides seamless integration between WDM layer and IP layer. Optical packet switching have been studied in two categories: OPS in synchronous and OPS in asynchronous networks. In this article we are focused on contention resolution of OPS in asynchronous networks. The hybrid buffer have been addressed, to reduce packet loss further as one of the alternative buffer structures for contention resolution of asynchronous and variable length packets, which consists of the FDL buffer and the electronic buffer. The OPS design issue for the limited number of TWCs and internal wavelengths is important in the aspect of switch cost and resource efficiency. Therefore, an hybrid buffer structured optical packet switch and its scheduling algorithm is presented for considering the limited number of TWCs and internal wavelengths, for contention resolution of asynchronous and variable length packets. The proposed algorithm could lead to the packet loss improvement compared to the legacy LAUC-VF algorithm with only the FDL buffer.

  • PDF

A Study on Scheme to Support QoS using Differentiated Services in MPLS Network (MPLS 망에서 Differentiated Services를 이용한 QoS 지원 방안에 관한 연구)

  • Park, Chun-Kwan;Jeon, Byung-Chun
    • Journal of IKEEE
    • /
    • v.5 no.2 s.9
    • /
    • pp.136-145
    • /
    • 2001
  • As with appearing new applications that requires QoS guarantee such as VoIP, VPN in Internet, problems of IP QoS has been one of most important issues in next-generation Internet. IETF has proposed integrated services model(Int-Serv) and differentiated service(Diff-Serv) to supply IP QoS in Internet. Int-Serv model uses the state information of each IP flow, so satisfies QoS according to traffic characteristics, but increases the amount of flow state information with increasing flow number. Diff-Serv model uses PHP(Per Hop Behavior), and there are well-defined classes to provide differentiated traffics with different services according to delay and loss sensitivity. Diff-Serv model can provide diverse services in Internet because of having no the state and signal information of each flow. As MPLS uses the packet forwarding technique based-on label, it implements the traffic engineering in the networks easily. The MPLS can set up the path with different traffic parameters, and assign each path to particular Class of Services.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upport the Diff-Serv model with well-defined classes. In this paper we investigate the performance improvement of Diff-Serv function in the MPLS network to guarantee class of services in Internet.

  • PDF

자동차 분야의 CALS/EC 구축 방향

  • 김관영
    • Proceedings of the CALSEC Conference
    • /
    • 1998.10b
    • /
    • pp.585-594
    • /
    • 1998
  • 이미 전자상거래(EC)가 시간적ㆍ공간적 제약을 극복하고 국경을 초월한 새로운 교역시장 (Cyber Market)으로 등장하고 있으며 세계 자동차 산업은 표준부품의 공동개발 및 조달을 통해 중복투자 방지, 신차개발기간 단축 등 전략적 제휴를 통한 공조ㆍ공생체계 구축을 경쟁적으로 추진하고 있으나 국내 자동차업계는 제품개발, 부품조달, 판매 및 A/S 등 모든 부문을 독자적으로 해결함으로써 경쟁력 제고에 역행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자동차 선진국과는 달리 국제 경쟁력 강화를 위한 CALS/EC 정보 기반 기술의 실질적인 활용이 미흡한 실정이다. 이러한 현실을 개선하기 위해 최근에 자동차공업협회(KAMA)와 현대, 대우, 기아 자동차 3사는 자동차 산업 CALS 추진 모델(Autopia)의 구축을 추진하고 있다. 추진 내용은 자동차 산업의 전체 Life-Cycle인 제품기획 단계부터 설계, 생산, 구매/조달, 고객지원 단계등 전 분야를 3개 부문(신차개발 프로세스, 구매조달 프로세스, 고객지원 서비스)으로 구분되어 있다. 신차개발 프로세스 부문은 차세대 PDM을 통하여 제품개발 사이클 단축을 추구하며 STEP을 통한 범용적 설계정보 교환 체계 구현이 기반이 된다. 또한 업무 흐름의 불투명성으로 인한 업무의 불균형 현상 타파와 설계 변경의 효율적 대응을 위하여 Workflow Management가 동시공학에 바탕을 두고 도입 적용되어야 한다. CAD 데이터를 비롯한 방대한 데이터의 효율적 관리를 위해서는 각 프로세스별로 독립된 정보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통합 환경(Integrated Data Environment)을 구성하여 각 프로세스에 걸쳐 데이터의 처리효율을 증대하여야 한다. 신차개발 부문의 핵심 기술이면서도 현업 적용이 초기 단계인 Digital Mockup과 Virtual Reality의 적용을 위해서는 3D 모델링이 기본 설계 방법으로 적용되어야 하며 이를 통한 어셈블리 및 부품구조의 관리가 이루어져야 한다. 구매조달 프로세스 부문은 자동차 업계의 공통 EDI/EC 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경제적인 인프라 구조와 함께 부품 조달 체계의 간소화를 추구함으로써 자동차 산업의 대외 경쟁력 강화가 이루어 질 수 있다. 공개구매 시스템의 구축을 통하여 완성차별로 전속 계열화된 수직적인 부품조달 체계와 업체간 정보공유의 폐쇄성을 제거할 수 있고 완전 경쟁에 의한 우량 협력업체 발굴 기회의 확대가 용이하다. 이를 통하여 궁극적으로는 Global Vendor망의 구축이 실현될 것이다. 종합물류 시스템이 구현되면 판매는 경쟁체제, 물류는 공동화가 됨으로써 국가적으로 물류 비용의 절감이 엄청날 것으로 예상된다. 전국에 산재되어 있는 1,000여개의 대리점과 7,000여개의 정비업소를 대상으로 한 정비부품 EDI/EC 시스템이 구축되면 고객 서비스의 효율 향상과 함께 정비업소의 물류 및 재고 비용의 감소, 조달 속도의 향상, 조달 업무의 간소화 등의 효과를 보게 될 것이다. 고객지원 서비스는 정비정보 시스템, 산업정보 시스템, 쇼핑몰 시스템, 등록대행 시스템등을 통하여 일반 국민들이 피부로 느낄 수 있는 시스템으로 구축 되어야 할 것이다.

  • PDF

유리화 비정형 탄소(vitreous carbon)를 이용하여 제작한 전계방출 소자의 균일성 증진방법

  • 안상혁;이광렬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1999.07a
    • /
    • pp.53-53
    • /
    • 1999
  • 전계방출을 이용한 평판 표시장치는 CRT가 가진 장점을 모두 갖는 동시에 얇고 가벼우며 낮은 전력소모로 완벽한 색을 구현할 수 있는 차세대 표시장치로서 이에 대한 여국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여기에 사용되는 음극물질로서 실리콘이나 몰리 등을 팁모양으로 제작하여 사용해 왔다. 하지만 잔류가스에 의한 역스퍼터링이나 화학적 반응에 의해서 전계방출 성능이 점차 저하되는 등의 해결해야할 많은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탄소계 재료로서 다이아몬드, 다이아몬드상 카본 등을 이용하려는 노력이 진행되어 왔다. 이중 유리화 비정형 탄소는 다량의 결함을 가지고 있는 유리질의 고상 탄소 재로로서, 전기전도도가 우수하면서 outgassing이 적고 기계적 강도가 뛰어나며 고온에서도 화학적으로 안정하여 전계방출 소자의 음극재료로서 알맞은 것으로 생각된다. 유리화 비정형 탄소가루를 전기영동법으로 기판에 코팅하여 전계방출 소자를 제작하였다. 전기영동 용액으로 이소프로필알코올에 질산마그네슘과 소량의 증류수, 유리화 비정형 탄소분말을 섞어주었고 기판으로는 몰리(Mo)가 증착된 유리를 사용하였다. 균일한 증착을 위해서 증착후 역전압을 걸어 주는 방법과 증착 후 플라즈마 처리를 하는 등의 여러 가지 방법을 사용했다. 전계방출 전류는 1$\times$10-7Torr이사에서 측정하였다. 1회 제작된 용액으로 반복해서 증착한 횟수에 따라 표면의 거치기, 입자의 분포, 전계방출 측정 결과 등의 차이가 관찰되었다. 발광이미지는 전압에 따라 변화하였고, 균일한 발광을 관찰하기 위해서 오랜 시간동안 aging 과정을 거쳐야 했다. 그리고 구 모양의 양극을 사용해서 위치를 변화시키며 시동 전기장을 관찰하여 위치에 따른 전계방출의 차이를 조사하여 발광의 균일성을 알 수 있었다.on microscopy로 분석하였으며 구조 분석은 X-선 회절분석,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그리고Auger electron spectroscope로 하였다. 증착된 산화바나듐 박막의 전기화학적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리튬 메탈을 anode로 하고 EC:DMC=1:1, 1M LiPF6 액체 전해질을 사용한 Half-Cell를 구성하여 200회 이상의 정전류 충 방전 시험을 행하였다. Half-Cell test 결과 박막의 결정성과 표면상태에 따라 매우 다른 전지 특성을 나타내었다.도상승율을 갖는 경우가 다른 베이킹 시나리오 모델에 비해 효과적이라 생각되며 초대 필요 공급열량은 200kW 정도로 산출되었다. 실질적인 수치를 얻기 위해 보다 고차원 모델로의 해석이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끝으로 장기적인 관점에서 KSTAR 장치의 베이킹 계획도 살펴본다.습파라미터와 더불어, 본 연구에서 새롭게 제시된 주기분할층의 파라미터들이 모형의 학습성과를 높이기 위해 함께 고려된다. 한편, 이러한 학습과정에서 추가적으로 고려해야 할 파라미터 갯수가 증가함에 따라서, 본 모델의 학습성과가 local minimum에 빠지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즉, 웨이블릿분석과 인공신경망모형을 모두 전역적으로 최적화시켜야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최근 local minimum의 가능성을 최소화하여 전역적인 학습성과를 높여 주는 인공지능기법으로서 유전자알고리즘기법을 본 연구이 통합모델에 반영하였다. 이에 대한 실증사례 분석결과는 일일 환율예측문제를 적용하였을 경우, 기존의 방법론보다 더 나운 예측성과를 타나내었다.pective" to workflow architectural discussions. The vocabulary suggested

  • PDF

Research on the Implementation of the Virtual Interface on Multi-mode Mobile Nodes (멀티모드 단말을 위한 가상 인터페이스 구현 연구)

  • Lee, Kyoung-Hee;Lee, Seong-Keun;Rhee, Eun-Jun;Cho, Kyoung-Seob;Lee, Hyun-Woo;Ryu, Won;Hong, Seng-Phil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35 no.4B
    • /
    • pp.677-686
    • /
    • 2010
  •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virtual interface management scheme on the multi-mode mobile node for supporting multiple connections to various access networks in fixed mobile convergence (FMC) networks. The proposed scheme supports the virtualization of multiple physical network interfaces by presenting only the virtual interface to beyond IP layers and hiding physical network interfaces from them. In the proposed scheme, only one IP address is allocated to virtual interface without any IP allocations to physical network interfaces. Therefore, the proposed scheme does not change its IP address and keep it during the vertical handover, so that it can support the seamless handover of real-time multimedia services among heterogeneous access networks. The proposed scheme is implemented on the multi-mode mobile node with multiple network interfaces by using NDIS (Network Driver Interface Specifications) libraries. Through the mobility test-bed and the test application of virtual interface, we evaluate and analyze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sche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