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차세대 이동통신

Search Result 738,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4세대 이동통신 핵심기술 WiBro-Advanced 시스템 개발

  • Park, Yun-Ok;Hong, Eon-Yeong;Gwon, Dong-Seung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28 no.6
    • /
    • pp.84-90
    • /
    • 2011
  • 본 논문은 2011년 4월 IEEE SA에서 차세대 이동통신 규격으로 승인된 IEEE 802.16m의 구현에 관한 것이다. 승인된 규격은 ITU-R에서 4세대 이동통신 표준인 IMT-Advanced 표준 기술로 확정될 예정이며, 국내에서는 WiBro-Advanced, 해외에서는 Wireless MAN-Advanced 또는 WiMAX-2로 불린다. 이 규격을 기반으로 2009년부터 규격의 표준화 활동과 함께 시스템 개발을 시작하여, 2010년 12월 1차 개발을 완료하였다. 개발된 WiBro-Advanced 시스템은 ITU-R이 요구하는 4세대 이동통신의 요구사항을 만족하고 있다. 본 논문은 구현된 시스템의 핵심 기술에 대해 기술하고, 기술적인 특징들을 살펴본다.

Evolution of Context Aware Services in Next Generation Mobile Service Environment (차세대 이동통신 서비스 환경에서의 상황 인식 서비스 진화)

  • Bae, Jung-Sook;Sihn, Gyung-Chul;Lee, Jae-Yong;Kim, Byung-Chul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31 no.10A
    • /
    • pp.960-967
    • /
    • 2006
  • Mobile communication is evolving toward next generation system that is capable to provide ubiquitous human-centric services with giving no restriction on time and location. In particular, context-awareness will be realized using various sensors and devices and related technologies under the ubiquitous Next Generation (NG) mobile communications environment where user's demand and surrounding context are changing dynamically. By such context awareness, context aware service which provides best suitable services for a user by analyzing user's needs and situational information, will be one of the promising NG mobile services. In this article, we propose NG mobile service environment with focusing on generic service traffic flows supported by the NG service platform which gives various means of connecting users and service providers. Then, we propose evolutional phases of context-aware services based on ranges of context information and evolutional trend of telecommunication technologies and networking environment in NG mobile service environment.

차세대 이동통신 서비스

  • 오돈성;김대식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22 no.9
    • /
    • pp.23-38
    • /
    • 2005
  • 본 고에서는 2010년 경에 고속 이동시 100Mbps, 정지시에 1 Gbps의 전송속도로 멀티미어 통신서비스를 제공하는 새로운 능력을 가짐과 동시에 3세대, 2세대, 기타 무선접속기술을 모두 아우르는 시스템을 B3G(beyond IMT-2000)으로 정의한 차세대 이동통신의 서비스 연구 동향을 ITU-R의 WP8F, EU의 WWRF(Wireless world Research Forum), WWI(Wireless-World-Initiative), 일본의 mITF(Mobile IT Forum) 서비스 연구 동향과 ETRI 서비스 연구 결과를 살펴보았다.

Context-Aware Services in Next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s (차세대 이동통신망에서 상황인식 서비스)

  • Kim, J.H.;Bae, J.S.;Kim, S.H.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19 no.3 s.87
    • /
    • pp.32-40
    • /
    • 2004
  • 상황정보(context information)는 사용자의 요구와 주변 상황이 수시로 변화하는 이동통신 환경에서 더욱 중요하게 활용된다. 따라서,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서비스는 음성, 텍스트,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고도화에 이어 일상 곳곳에 편재된 센서 및 컴퓨터들이 수집한 각종 환경정보를 효과적으로 상호 공유하여 사용자 및 주변 환경의 상황(context)을 알아내고 그에 맞는 다양한 정보에 근거하여 자발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황인식(context-aware) 특징을 가지게 될 것이다. 이러한 상황인식 서비스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사용자 및 사물 등의 객체를 인식하고, 이들의 현 상태에 따른 상황정보를 수집하여 서비스에 적응하는 기술 등이 필수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IMT-2000 이후의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진화방향을 상황인식 서비스 제공 관점에서 살펴보고, 상황인식 서비스를 위한 관련 기술과 차세대 이동통신 환경에서 상황인식 서비스가 어떻게 제공될 수 있을지를 살펴본다.

Status of Standardization and Technology Development toward Next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s (차세대 이동통신 표준화 및 기술개발 동향)

  • Ahn, J.Y.;Hwang, S.K.;Han, K.C.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19 no.3 s.87
    • /
    • pp.1-11
    • /
    • 2004
  • 본 고에서는 차세대 이동통신 중 특히 무선전송과 관련한 표준화 및 국내외 기술개발 동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IMT-2000 규격 표준화를 위해 설립된 3GPP와 3GPP2의 동향을 먼저 살펴보고, 다음으로 북미의 LAN/MAN 표준화 단체인 IEEE 802와, IMT-2000 진화 시스템 및 B3G 시스템 연구를 진행중인 ITU-R WP8F의 활동을 소개한다. 또한 차세대 이동통신 관련 기술에 대한 연구와 표준화 준비를 위해 설립된 포럼들, 즉 유럽 중심의 WWRF, 일본의 mITF, 한국의 GMC 포럼 등의 현황을 살펴보고, 마지막으로 북미, 유럽, 일본 및 중국 등 외국과 국내의 차세대 이동통신 기술개발 동향을 소개한다.

차세대 이동통신

  • 이현우
    • TTA Journal
    • /
    • s.100
    • /
    • pp.51-57
    • /
    • 2005
  • 차세대 이동통신 표준화는 크게 네가지 분야에서 진행되고 있다. 3GPP, 3GPP2에서의 3G Evolution, IEEE 802.16에서의 Broadband Wireless Access, OMA에서의 응용서비스의 표준화, 그리고 ITU-R에서의 Spectrum 및 Beyond 3G 비전 연구 등이다. 본 고에서는 현 시점에서 각 기구에서 진행되고 있는 표준활동의 개요를 간단히 소개한다.

  • PDF

New Scheme Protecting Location Information of User in Mobile Communication Environments (이동통신 환경에서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보호하는 새로운 방법)

  • 박창설;김순석;김성훈;박창윤;김성권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2.04a
    • /
    • pp.901-903
    • /
    • 2002
  • 기존의 이동통신은 과거 몇 년간 이동성, 신속성, 광역성, 편리성 등으로 인하여 이용도가 크게 늘어났다 제1세대 이동통신인 아날로그 이동전화 서비스가 시작된 이후 2세대 디지털 이동통신 기술인 CDMA 및 GSM을 거쳐 최근에 대두되고 있는 차세대 멀티미디어 이동통신인 IMT-2000 시대를 개막함으로써 이동통신에 대한 관심은 한층 증대되었으며, 또한 사용량 증가에 따라 보안문제에도 최근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차세대 이동통신 환경에서 네트워크 제공자(Network Provider, 이하 줄여서 NP라 부른다)로부터 모바일 사용자의 프라이버시라 할 수 있는 위치정보를 보호하기 위한 새로운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 PDF

Technical Trend of Next-Generation RF Transceiver for Mobile Terminals (차세대 RF 트랜시버 기술 동향)

  • Kim, Jun-Hyeong;Jeong, Jae-Ho;Gwon, Heon-Guk;Lee, Gwang-Cheon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23 no.3
    • /
    • pp.72-81
    • /
    • 2008
  • 차세대 이동통신 서비스나 Beyond 4G 이동통신 서비스의 단말기는 유비쿼터스 정보화 사회의 도래에 발맞춰 기존의 single mode 시스템에서 탈피하여 3G LTE, Mobile WiMAX(WiBro), DMB, IEEE 802.11b/g/n 등의 다중 이동통신 서비스를 지원하는 단말기로 발전하는 추세이다. 또한 고속 데이터 전송을 위한 MIMO 및 스마트 안테나 등의 다중 접속 기능은 다중 밴드/다중 모드/다중 경로 처리 구조의 RF transceiver를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융합 universal 단말기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여러 이동통신 서비스를 지원하는 "Reconfigurability and Convergence" RF transceiver가 필요하지만 현재의 집적 기술로는 0-수 GHz에 할당되어 있는 모든 이동통신 서비스를 지원하는 단말기 구현에 제약사항이 많기 때문에 미국 및 유럽의 국외 연구기관과 기업에서는 2-3개의 선택적인 이동통신 서비스를 지원하는 RF transceiver를 개발하여 세계 시장에서 경쟁 준비를 하고 있다. 본 고에서는 차세대 이동통신 단말기의 RF transceiver 칩 셋 기술과 국내외 개발 동향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A Study on the PAPR Reduction and In-Band Distortion Compensation Schemes for Next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s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을 위한 PAPR 감소와 대역 내 왜곡보정 기법에 대한 연구)

  • Roh, Jae-Sung;Kim, Wan-Tae
    • Journal of Advanced Navigation Technology
    • /
    • v.16 no.2
    • /
    • pp.234-239
    • /
    • 2012
  • Next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s have been studied and applied to support various services. In next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s, the most interested research is the integration of various communication systems and the offer of various services by using high-speed data transmission. The integration of communication systems has been researched by using multi standard modem, while the high-speed data transmission for the offer of various services has been applied by using OFDM. This paper has proposed the method to reduce PAPR by using multi standard modem. with EVM, this paper has also suggested the method to compensate in-band distortion while reducing PAPR. By using the proposed methods, this paper has analyzed and simulated the decrease efficiency of PAPR, the performance of CCDF, and the performance of BER in next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s. The simulation results improved the performance of next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an be seen that.

Development of Advanced DSRC Packet Communication Technology (차세대 DSRC 패킷 통신 기술 개발)

  • Lee Hyun;Park In-Seong;Shin Chang-Sub;Oh Hyun-Seo;Yim Choon-Sik;Cho Kyoung-Rok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 /
    • v.2 no.1 s.2
    • /
    • pp.93-100
    • /
    • 2003
  • In this farer, An ADSRC(Advanced Dedicated Short Range Communication) packet communication system developed by ETRI is introduced. The ADSRC system has been developed to provide high-speed, short-range wireless racket communication in roadside environment for mobile office services. The requirements of the ADSRC system for mobile office services and the system design specification to meet them with regard to mobile of nce environment are discussed. The ADSRC packet communication systems consist of the MAC(Medium Access Control) Processor block the OFDM() modem block and the RF block. The MAC processor block handles medium access control. The OFDM modem transmits data packets at up to 24Mbps adaptively and recovers the data from RF block. The ADSRC packet communication system architecture is describ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