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차세대 국방정보통신망

Search Result 7,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차세대 공중 전술국방통신망을 위한 서비스 시나리오에 따른 주변 기지국 스캐닝 연구

  • Mun, Jeong-Min;Kim, Ju-Yeop;Jang, Ho-Jong;Eom, Ui-Seok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26 no.3
    • /
    • pp.16-23
    • /
    • 2009
  • 차세대 전술국방통신망에서는 기존 전술국방통신망의 용량 및 커버리지 확대 등을 위하여 고속이동성 기술, 용량 및 성능개선 기술, 망 구성관리 기술 등에 관한 연구를 수행 중에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시속 400km 이상 고속으로 움직이는 차세대 공중 전술국방통신망을 통해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 시나리오를 제시하고, 각 서비스별 문제점 및 한계 기술에 대해 분석하였으며, 여러 가지 한계기술 중에서 매우 중요한 기술 중의 하나인 핸드오버를 위하여 단말이 가지는 제한된 정보를 통해 간단하게 주변 기지국을 스캐닝하는 방안을 제안하고, 이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통해 차세대 공중 전술통신망에 적용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A Method for IPv6 Address Assignments of the Next Generation Defense Network (차세대 국방정보통신망을 위한 IPv6 주소 할당 방안)

  • Kim, Kwon-Il;Lee, Sang-Hoon
    • Journal of KIISE:Computing Practices and Letters
    • /
    • v.14 no.4
    • /
    • pp.441-445
    • /
    • 2008
  • Korean military is propelling the M&S on new warfare concept, such as NCW(Network Centric Warfare) which is the aspect of future war. IPv6 is the essential element of next generation defense network which is supporting the future battlefield.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on allocating the IPv6 address for next generation defense network. However, they assigned the address by level on the basis of the military organization or assigned it from the service network, so it had the defect, the big size routing table. This study reviews the topology of next generation defense network and adjusts the position of service network ID on the basis of the network topology. Finally, it improved the efficiency of route aggregation and minimized the routing table size in comparison with the previous studies and it was proved by OPNET simulator.

A Study on the Method of Assigning Ipv6 address for M-BcN (M-BcN을 위한 IPv6 주소 할당 방안 연구)

  • Kim, Gweon-Il;Lee, Sang-Hoon
    • Journal of the military operations research society of Korea
    • /
    • v.33 no.2
    • /
    • pp.87-100
    • /
    • 2007
  • The aspect of future warfare is NCW(Network Centric Warfare) in accordance with the IT development, so MND have the planning of M-BcN(Military Broadband convergence Network) establishment as the basic system of NCW by the end of 2008. IPv6 address must be managed systematically as a essential element of NCW. In the previous study, it is designed on the basis of the present military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 topology. However, it makes some problems. First, it is difficult for present topology to adapt the future M-BcN which is different from the present military network topology. Second, it has defects of inefficiency of route aggregation and enlargement of routing table size. In this paper, we improved the route aggregation and routing table size by assigning the hierarchical address on the basis of M-BcN topology and adjusting the position of field identifying service network. Furthermore, it is proved by the network simulation program(OPNET 12.0).

Applications and Strategies on Defense Acquisition based CPS & IoT Technology (사이버물리시스템(CPS)과 사물인터넷(loT) 기술의 군사적 활용방안 및 추진전략)

  • Kye, J.E.;Park, P.J.;Kim, W.T.;Lim, C.D.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30 no.4
    • /
    • pp.92-101
    • /
    • 2015
  • 미래 전장은 정보 지식 기반의 첨단 전력체계를 확충하기 위해 향후 전력구조를 통합, 지휘통제통신(C4I) 체계와 생존성과 통합성이 향상된 전장의 네트워크중심전(NCW) 수행능력을 향상시킬 것이다. 사이버물리시스템(Cyber-Physical Systems: CPS)은 함정전투체계에 적용되고 있는 DDS를 포함하여 국방 M&S의 근간인 Live, Virture, Constructive(L-V-C) 체계의 큰 축을 형성하고 있다.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기술은 센서네트워크, 통신,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RFID), Ubiquitous Sensor Network(USN), Machine to Machine(M2M), D2D 기술 및 상황인지, 지능서비스를 위한 정보수집/가공/융합/분석/예측기술을 포괄적으로 포함한 기술로서 미래산업을 이끌어 갈 차세대 선도 기술이며, 특히 군사적으로도 감시정찰 센서네트워크(USN), 견마형로봇, 경전투로봇과 무인기 기술 및 전술정보통신망체계(TICN) 등 첨단 통신네트워크 기술의 전력화 추세는 IoT 기술의 적용영역을 넓혀주고 있다. 감시정찰체계(Sensor)에서는 감시정찰 분야 영상정보 처리, 표적탐지 등과 관련된 IoT 기술 소요와 지휘통제통신(C4I) 체계의 상호운용성, 데이터링크, 지능형 통신체계 등 C4I 관련 IoT 기술 소요 및 타격체계(Shooter)의 내장형 SW 등 유 무인 무기체계 관련 IoT 기술의 소요가 증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본고는 CPS 및 IoT 기술의 군사적 활용방안 및 획득전략에 대한 적용기술 및 발전방향을 살펴본다.

  • PDF

The Analysis of System Architecture and S/W Technology Trends for Location Based Service (위치기반정보서비스(Location Based Service)를 지원하는 시스템 구조 및 소프트웨어 기술 동향 분석)

  • Park, Sang-Mi;Ahn, Byung-Ik;Jin, Heui-Chae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1.11a
    • /
    • pp.143-160
    • /
    • 2001
  • 최근 들어 무선인터넷 및 모바일 컴퓨팅 기술의 급속한 발전과 함께 향후 그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대될 것으로 예상되는 분야가 위치기반서비스(LBS, Location Based Service) 기술이다. 이동통시산업이 발달한 미국 및 유럽의 선진국에서는 지난 수년에 걸쳐 지속적으로 축적되어 온 정보기술을 통하여 현재 수많은 LBS 관련 기술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1999년 미국의 FCC(미연방통신위원회)는 무선 E119 규칙을 제정하였는데, 이 규칙은 LBS를 주목하게 한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 FCC는 미국내의 망 사업자들이 2001년 10월까지 이동전화 사용자가 응급 호출(911)을 하였을 때 67%는 100M 이내의 위치오차로, 95%는 300M 이내의 위치오차로 응급호출자의 위치정보를 제공해야 한다는 규정을 제정했다. 이때부터 각종 관련 회사들이 생겨나기 시작했으며, 사람들이 LBS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하였다. 국내에서도 이동통신사업자 및 IMT-2000 사업자를 중심으로 LBS 도입을 적극 준비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위치정보라는 것은 오래 전부터 사람들이 알고있던 사항이다. 이미 GPS라는 것을 이용하여 국방분야, 환경분야, 교통 및 물류 분야에서 많이 활용되고 있었기 때문이다. 그런데 왜 같은 위치정보를 활용하는 분야인데 LBS는 이토록 많은 관심을 불러일으키는가? 그것에 대한 답변은 바로 위치정보가 이동통신망과 연결되면서 대중적이고 일반적인 서비스가 가능해졌기 때문이다. 특히, LBS는 GIS가 정보통신 기술과 융합되면서 앞으로 추구해야 할 차세대 정보기술 분야라는 점에서 그 의미는 더 크다고 할 수 있다. 평균(平均) 0.322였다. 그리고 RaA를 모핵종(母核種)으로 가정(假定)했을 때 각핵종간(各核種間)의 방사평형비(放射平衡比)는 대개 $C_1>C_2>C_3$인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서 $C_1,\;C_2$$C_3$는 각각 RaA, RaB 및 RaC의 농도(濃度)를 나타낸다.0cm 깊이에서는 Pythium균(菌)과 Fusarium균(菌)을 제외(除外)하고 모두 14일간(日間)에 사멸(死滅)하였다. 6. 최고(最高)에 달(達)했다가 최저(最低)에 이르는 온도(溫度)의 반복적(反復的)인 파동(波動)이 있는 것에서 없는 것보다 단시간(短時間)에 사멸(死滅)하였다. 이상(以上)의 결과(結果)에서 볼 때 하기고온기(夏期高溫期)의 재배(栽培) 휴한기(休閑期)에 PVC film을 사용(使用)하여 하우스를 밀폐(密閉)하거나 턴널을 만들어서 태양열(太陽熱)을 이용(利用)한 토양소독(土壤消毒)의 가능성(可能性)이 충분(充分)히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종합적(綜合的)으로 볼 때, diazinon 과 decamethrin의 처리(處理)는 포장(圃場)에서 벼멸구의 산란력(産卵力)과 성충수명을 증대(增大)시키고, 식이활동(食餌活動)을 촉진(促進)함으로서 벼멸구의 resurgence를 유발(誘發)하고 아울러 수도체(水稻體)의 hopperbun을 가속화시킬 가능성(可能性)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는 점차 약하여 졌으나 catalase, invertase는 그 활성도가 일단 숙성중기에 높아졌다가 낮아졌다.n 이 pH 4.2이고 temperature는 $60^{\circ}C$이었다. 그리고

  • PDF

Adaptive Beamwidth Control Technique for Low-orbit Satellites for QoS Performance improvement based on Next Generation Military Mobile Satellite Networks (차세대 군 모바일 위성 네트워크 QoS 성능 향상을 위한 저궤도 위성 빔폭 적응적 제어 기법)

  • Jang, Dae-Hee;Hwang, Yoon-Ha;Chung, Jong-Moon
    • Journal of Internet Computing and Services
    • /
    • v.21 no.6
    • /
    • pp.1-12
    • /
    • 2020
  • Low-Orbit satellite mobile networks can provide services through miniaturized terminals with low transmission power, which can be used as reliable means of communication in the national public disaster network and defense sector. However, the high traffic environment in the emergency preparedness situation increases the new call blocking probability and the handover failure probability of the satellite network, and the increase of the handover failure probability affects the QoS because low orbit satellites move in orbit at a very high speed. Among the channel allocation methods of satellite communication, the FCA shows relatively better performance in a high traffic environment than DCA and is suitable for emergency preparedness situations, but in order to optimize QoS when traffic increases, the new call blocking and the handover failure must be minimized. In this paper, we propose LEO-DBC (LEO satellite dynamic beam width control) technique, which improves QoS by adaptive adjustment of beam width of low-orbit satellites and call time of terminals by improving FCA-QH method. Through the LEO-DBC technique, it is expected that the QoS of the mobile satellite communication network can be optimally maintained in high traffic environments in emergency preparedness situ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