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차량 안전 통신

검색결과 519건 처리시간 0.03초

주행정보 기반 안전지수 산출에 관한 연구 (Safety Index based on Driving Information)

  • 윤대섭;김경호;김현숙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8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734-736
    • /
    • 2008
  • 차량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할 수 있는 텔레매틱스 기술의 발전과 함께, 운전자의 주행정보를 실시간으로 분석함으로써, 운전자의 주행에 대한 안전지수를 산출하는 방법과 그에 따라서 고려되어야 할 요소에 대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는 안전지수 산출을 위해, 관련요소를 Static Information, Dynamic Information, Duration Information, Human Factor로 세분화 하고 각각의 요인에 대한 수집 방법 및 특성을 소개한다.

차량 통신 보안 기술 표준화 동향

  • 이상우;이병길;나재훈
    • 정보보호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38-42
    • /
    • 2015
  • 오늘날 차량 교통 시스템은 지능형 교통 시스템(ITS, Information Transportation System) 으로 진화하고 있다. 특히 차량 간 통신 및 차량과 인프라 간 통신을 활용하여 차량 주행의 안전성을 높이고 교통 체계의 운영 및 관리를 과학화하고자 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 그러나, 지능형 교통 시스템의 상용화를 위해서는 차량 통신 보안 기술의 확보가 필수적이다. 본 고에서는 차량 통신 보안 기술 표준화 동향을 살펴본다.

Petri Net을 이용한 차량 인증 보안 메커니즘 모델링 (A Vehicular Authentication Security Mechanism Modeling using Petri Net)

  • 송유진;이종근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4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364-367
    • /
    • 2014
  • 차량 애드혹 네트워크(VANET : Vehicular Ad-Hoc Network) 환경에서 차량들은 네트워크 인프라를 바탕으로 한 통신들을 통하여 서로의 안전이나 편리성을 도모하고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지금까지 연구되어 왔으며 앞으로도 활발히 연구될 것이다. 그러나 안전성이나 편리성을 도모하고자 연구되어왔던 여러 부분들이 보안문제에 직면하면서 새로운 국면으로 접어들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차량 애드혹 네트워크에서 차량 간 통신을 효율적이고 안전하게 전송하기 위해 우선되어야 하는 차량의 인증을 위한 보안 메커니즘을 제안하고 이를 패트리넷 모델링 기법을 통해 검증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차량 인증 보안 메커니즘(VASM : Vehicular Authentication Security Mechanism)은 차량 인증 기능과 함께 패트리넷으로 모델링 함으로써 차량들의 많은 변화로 복잡할 수밖에 없는 VANET에서의 보안요구들을 정의하여 수행하는데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다.

협력 자율 주행을 위한 V2X 통신기술

  • 오현서;최현균;송유승
    • 정보와 통신
    • /
    • 제33권4호
    • /
    • pp.41-46
    • /
    • 2016
  • 본 고에서는 협력 자율 주행을 위한 V2X 통신 기술을 소개한다. 자동차는 IT 기술이 접목되어 편리하고 안전하며 지능화된 자동차로 발전하고 있으며 2020년에는 자율주행자동차가 출현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V2X 통신 기술은 자동차 안전 지원 서비스를 제공하며 다양한 차량 센서와 융합되어 주행 제어가 이루어지는 협력 자율 주행 서비스도 제공할 수 있다. 본 고에서는 차량 안전 기술과 협력 자율 주행 기술의 개념과 V2X 통신 기술 개발 동향 및 표준화 동향, 그리고 향후 전망에 대하여 살펴 본다.

차량간 안전 통신에서 짧은 지연시간을 보장하는 비콘 스케줄링 알고리즘 (Low-Latency Beacon Scheduling Algorithms for Vehicular Safety Communications)

  • 백송남;정재일;오현서;이주영
    • 한국시뮬레이션학회논문지
    • /
    • 제20권1호
    • /
    • pp.19-28
    • /
    • 2011
  • IEEE 802.11p 기반의 차량간 통신 기술을 이용한 안전주행 서비스는 주기적으로 안전관련 메시지를 주변 이웃 차량들에게 요구되는 지연 시간 내에 신뢰적으로 전달하여야 한다. 하지만 차량간 통신망은 차량의 고속 이동성, 네트워크 토폴로지의 빈번한 변화 및 한정된 통신 자원 등 특성으로 인해 고정된 비콘 스케줄링 방식은 비콘 메시지의 과도한 전송지연, 패킷 손실 및 네트워크 혼잡 문제들을 야기 시킨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공간적 상황정보를 이용하여 TDMA와 유사한 방식으로 비코닝 주기를 동적으로 스케줄링 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한 공간인식 비콘 스케줄링 알고리즘은 신뢰적인 고속도로 교통 시나리오와 802.11p 통신 모델을 적용하여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에서 보여 지듯이, 제안한 공간인식 비콘 스케줄링 알고리즘은 대역폭 사용률, 채널 액세스 지연, 채널 부하 등 성능 측면에서 고정된 비콘 스케줄링보다 훨씬 좋은 성능을 보여주고 있으며, 차량 안전 서비스에서 요구되는 통신 요구사항들을 만족시키는 것을 볼 수 있다.

VANET 환경에서의 사용자 인증 기법 (User Authentication Method on VANET Environment)

  • 서화정;김호원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7권7C호
    • /
    • pp.576-583
    • /
    • 2012
  • 지금까지 VANET 상에서의 보안은 차량과 차량 그리고 차량과 도로 주변 장치 간의 통신에 국한되어 연구되어 왔다. 이를 통해 VANET 상에서 전송되는 메시지의 인증 및 무결성의 확보가 가능했다. 하지만 정작 차를 운전하는 운전자와 차량에 대한 인증에 대한 기법은 지금까지 활발히 연구되지 않았다. 만약 불법적인 사용자가 불법적인 차량을 통해 VANET 통신에 가입하여 잘못된 정보를 생성하게 된다면 다른 운전자의 안전이 보장될 수 없다. 따라서 VANET 상에서의 운전자의 안전을 위해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와 차량 간의 인증이 가능한 기법을 제안하여 올바른 차량과 사용자만이 VANET에 참여하도록 한다. 이를 통해 운전자는 안전하고 편안한 주행을 보장받게 된다.

교차로에서의 안전 좌회전을 위한 차량간 통신 기반 알고리즘 설계 및 구현 (Algorithm Design and Implementation for Safe Left Turn at an Intersection Based on Vehicle-to-Vehicle Communications)

  • 서현수;김효언;노동규;이상선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8C권2호
    • /
    • pp.165-171
    • /
    • 2013
  • 차량 통신 프로토콜은 IEEE 802.11 WG과 P1609에서 진행하고 있는 WAVE(Wireless Access in Vehicular Environments)가 대표적이며, 보안 등을 제외한 MAC과 PHY에 대한 부분은 표준으로 제정되었다. 이러한 차량통신을 이용하여 운전자들의 안전과 전체 교통 흐름의 원활한 통제를 위해 국내외에서 많은 프로젝트가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교차로에서 좌회전 시도 시에 위험 상황이 예상되면 운전자에게 알려주기 위한 차량간 통신 기반 안전서비스 알고리즘을 설계하였고, 이를 실제 구현하였다. 제안하는 알고리즘은 자차와 반대편에서의 접근차량에 대한 모델을 구성하고 충돌 위험이 있을 경우 운전자에게 HMI(Human Machine Interface)를 통해 경고를 주게 된다. 본 안전 서비스의 성능 테스트를 위해 테스트 차량을 이용하여 알고리즘을 시스템에 탑재하였으며, 테스트 케이스를 구성하여 성능 시험장에서 검증하였다. 테스트 결과로써, 우수한 성능을 나타냈으며, 앞으로 차량 통신 인프라가 설치된다면 V2I(Vehicle to Infrastructure) 통신을 이용하여 본 알고리즘을 보다 정밀하게 보완해야 할 것이다.

VANET에서의 위치 프라이버시 보호 기술 분석 (The Analysis of Location Privacy Preserving Technology in VANET)

  • 김영민;정두훈;임헌정;이준호;정태명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0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1241-1244
    • /
    • 2010
  • 인간의 가장 큰 욕구인 편의와 안전을 위해 우리의 곁에서 떨어질 수 없는 것이 차량이다. 그러므로 차량을 이용하면서 겪게 되는 안전과 편의 또한 떼어놓을 수 없는 문제 중에 하나다. 그 편의와 안전을 위해 VANET이 활발히 개발 중이다. VANET은 차량에서 사용되는 근거리/중거리 통신용 무선 프로토콜로써 차량 간 통신인 V2V, 차량과 네트워크 기반구조 간의 통신인 V2I를 지원하는 네트워크로써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에 학문적, 상업적으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그러나 네트워크 기반의 기술인만큼 사용자의 프라이버시 침해가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 중에서도 사용자의 익명성, 추적성, 객체인증에 관한 Location Privacy는 개발과정에서 큰 걸림돌이 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VANET에서의 Location Privacy 보호에 대한 기술들의 개략적인 내용을 서술하고, 장단점을 분석하였다. Location Privacy 보호를 위한 기술에는 해쉬통합을 이용한 보호기술, MAC-체인을 이용한 보호기술, 그리고 세션 키 교환을 이용한 보호기술이 있다. 세 가지 기술 중에서 MAC-체인을 이용한 기술이 Location Privacy 보호에 가장 적합하다.

운전 행동정보 기반 안전운전 평가시스템 (Safe Driving Evaluation System based on Drivers' Behaviors)

  • 윤대섭;황윤숙;김현숙;김경호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1115-1117
    • /
    • 2010
  • 안전운전 지원 시스템 개발을 위해서 고려되어야 할 요소는 차량정보, 운전자정보, 외부 환경정보가 있다. 기존의 안전운전 지원 시스템 개발은 주로 차량의 종방향 제어, 횡방향 제어, 조향각 제어 등 차량으로부터 직접 추출한 주행정보를 이용하여 운전자의 안전유무를 평가하였다. 그러나 최근의 조사결과에 따르면 교통사고의 90%이상이 운전자 실수에 의해서 발생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차량의 주행 정보뿐만 아니라 실제 운전자가 주행 중에 행하게 되는 행동정보기반의 안전운전지원시스템 개발이 활발히 연구되어 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운전자의 행동정보를 이용한 안전운전 평가시스템의 설계 개념과 안전운전 평가시스템의 핵심 요소인 표준모델 구축 방법에 대해서 논의하고자 한다.

차량 간 통신 기반 추월보조 서비스를 위한 시나리오 및 네트워크 성능 평가 (Scenario and Network Performance Evaluation for A Do Not Pass Warning Service Based on Vehicle-to-Vehicle Communications)

  • 서현수;정진수;이상선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8C권3호
    • /
    • pp.227-232
    • /
    • 2013
  • ITS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교통 분야에 관련한 서비스들이 제시되고 있다. 그리고 IEEE WG802.11과 P1609에서 추진하고 있는 WAVE가 차량 간 통신 표준으로 제정되고 있다. WAVE는 빠른 연결과정을 가지며 이동성 측면에서 우수한 특성을 나타낸다. 또한 국제적으로 차량 간 통신을 이용한 국가 프로젝트 및 서비스가 제안되고 있으며, 특히 미국 도로교통안전국에서 진행 중인 VSC-A 프로젝트에 다수의 차량 제조사가 참여하고 있고 차량 간 통신을 이용한 안전 서비스 및 측위 기술들이 제안되고 있다. 이러한 안전 서비스에 대한 모델 및 성능을 위한 차량 간 통신 성능에 대한 규격을 분석하고 제시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차량 간 통신을 이용한 추월보조 안전 서비스에 대한 시나리오 및 모델을 제안한다. 이를 이용하여 WAVE 환경 하에서의 네트워크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여 통신 성능을 평가하였다. 향후 차량 간 통신을 이용한 추월보조 서비스의 실차 적용을 위해 고려해야 할 요소인 채널별 전송거리 및 지연시간에 대한 결과를 결론에서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