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차량진동

검색결과 1,003건 처리시간 0.039초

선로 궤도틀림에 따른 레일 변형률과 진동 변화 동역학 시뮬레이션 (Dynamic Simulation of Rail Strain and Vibration Changes According to Track Irregularity)

  • 김주원;김용환
    • 한국시뮬레이션학회논문지
    • /
    • 제30권1호
    • /
    • pp.127-137
    • /
    • 2021
  • 철도시설물 안전 확보를 위한 동하중 관리 및 철도차량 유지보수 효율화를 위한 차륜 상태진단을 위해 레일의 변형률과 진동 값을 이용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된다. 동하중은 레일의 변형률과 철도차량 하중이 비례한다는 가정을 바탕으로 측정이 이루어지며 차륜 상태는 결함의 크기와 레일 접촉진동의 크기가 비례한다는 가정을 통해 진단이 이루어진다. 하지만 차량 속도, 차륜 하중, 기후, 선로 상태와 같이 레일의 변형률과 진동에 영향을 주는 환경요소를 반영하지 않으면 측정 조건에 따라 많은 편차가 발생한다. 본 연구에서는 레일의 변형률과 진동에 영향을 주는 환경요소 중 선로 상태를 나타내는 주요 지표인 궤도틀림이 레일의 변형률과 진동에 미치는 영향을 동역학 시뮬레이션을 통해 살펴보고 측정 편차를 줄이기 위한 방안으로 측정지점 추가 확보에 따른 효과를 분석하였다.

운영 중인 고속열차의 진동저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Vibration Reduction of the Commercial High-speed Train)

  • 전창성;최성훈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1호
    • /
    • pp.697-704
    • /
    • 2017
  • 본 연구는 영업운행 중인 고속열차의 진동 문제를 고찰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진행되었다. 먼저 고속열차의 진동 수준을 알기 위하여 차체 진동가속도에 대한 측정이 수행되었다. 측정결과 운전실이 객차보다 진동이 크며, 열차 후미로 갈수록 진동이 더 커졌다. 운전실 및 객차 모두 수직방향 진동이 횡방향 진동에 비해서 크며, 콘크리트 구간에 비해 자갈궤도에서 진동의 최대값이 크다. KTX-산천 진동 경향과 개선점을 도출하기 위하여 동역학 해석을 수행하였다. 해석결과는 시험 결과와 유사하였으며, 객차 양 끝단의 단부객차 상부와 동력차량의 진동을 저감시킬 필요가 있었다. 객차의 진동을 저감하기 위하여 KTX-호남(200호대) 차량은 4가지 개선 설계를 수행하였고, 이 중 KTX-산천에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을 해석에 적용하였을 때, 정상구간에서는 2.2%, 분기기구간에서는 11% 정도 진동이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동력차량의 진동 저감을 위해 2차 코일스프링의 강성을 감소시키고, 2차 수직댐퍼의 댐핑계수를 증가시키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현가장치의 불량, 오조립 등 성능저하가 차체 및 대차의 진동을 증가시키는 것을 시운전 결과와 해석결과를 통하여 살펴보았으며, 현가장치 올바른 유지보수가 차량 진동을 저감시킴을 알 수 있었다. 차륜 마모에 대한 적절한 관리는 운행 효율 및 차체 진동저감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현재 차륜 프로파일을 변경하여 차륜 삭정간의 주행거리를 늘리려는 연구가 진행 중이다.

진동이 제동력 감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고찰 (Braking force to reduce the vibration impact study)

  • 권진;구본민;전연수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836-841
    • /
    • 2011
  • 최근 들어 철도차량의 신뢰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신뢰성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기존에 운영중인 철도차량의 경우 명확한 진동에 대한 기준이 없이 제작 운영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에 진동과 제동 작용장치의 영향을 살펴보았다.

  • PDF

2.5 톤 군용차량의 내부구조물에 따른 동특성 비교 분석 (The Compared Analysis of the Charcteristics according to the inside construction of 2.5 Ton Millitary Vehicle)

  • 심동혁;최형석;최재필;천명석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10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427-428
    • /
    • 2010
  • 정비밴과 수리부속밴은 2.5톤 군용차량에 쉘터를 탑재하여 사용한다. 쉘터 내부는 선반형태로 구성된 정비밴과 서랍형태로 구성된 수리부속밴이 포장도로 및 비포장 도로 주행 시 받게 되는 진동,충격 등의 동특성을 비교 분석하여 유사체계에 설계 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 PDF

도로형교의 진동 및 충격계수 (Vibrations and Impact Factors for Highway Girder Bridges)

  • 장동일;이희현;전진창
    • 전산구조공학
    • /
    • 제5권3호
    • /
    • pp.139-146
    • /
    • 1992
  • 본 연구에서는 트럭하중에 의한 도로형교의 진동거동을 조사하여 충격계수를 합리적으로 산출하는 경험공식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 진동해석을 위한 가장 합리적인 차량 모델링을 제시하고, 노면조도, 차량의 속도, 교량의 길이별 충격계수를 산출한다. 연구결과, 현행 시방서규정은 충격계수를 과소평가하는 경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철도궤도의 진동 및 방사소음 분석, 점감 및 활용 방법

  • 박정원;박준홍
    • 기계저널
    • /
    • 제53권2호
    • /
    • pp.49-53
    • /
    • 2013
  • 철도차량은 중요한 친환경 대중교통 수단으로서 운행 구간이 확장되고 있다. 그러나 철도선로가 거주지역을 통과하여 설치되면서 환경 소음 문제가 야기되고 있으며 이의 저감이 중요한 이슈 중 하나이다. 철도차량 및 궤도에서 발생하는 전동음은 저감해야 할 주요 소음원 중 하나이다. 따라서 철도의 진동 및 소음 관련된 연구현황들에 대해 알아보고 궤도 지지단을 고려한 레일의 진동과 방사 소음 특성을 예측하고 궤도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에까지 적용이 가능한 방법들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 PDF

도로형교의 진동 및 충격계수 (Vibrations and Impact Factors for Highway Girder Bridges)

  • 장동일;이희현
    • 전산구조공학
    • /
    • 제5권2호
    • /
    • pp.87-91
    • /
    • 1992
  • 본 연구에서는 트럭하중에 의한 도로형교의 진동거동을 조사하여 충격계수를 합리적으로 산출하는 경험공식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 진동해석을 위한 가장 합리적인 차량 모델링을 제시하고, 노면조도, 차량의 속도, 교량의 길이별 충격계수를 산출한다. 연구결과, 현행 시방서규정은 충격계수를 과소평가하는 경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차량 시스템 모델의 동특성 해석 (Dynamic Characteristic Analysis of the Vehicle System Model)

  • 이상범;임홍재
    • 대한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계학회 2001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B
    • /
    • pp.459-464
    • /
    • 2001
  • Vibration characteristics of a vehicle are mainly influenced by dynamic stiffness of the vehicle body structure and material and physical properties of the components attached to the vehicle body structure. In this paper, modeling techniques of the vehicle components are presented and the effects of the vehicle components on the vibration characteristics of the vehicle are investigated.

  • PDF

전동차 현가구조에 따른 동적거동특성 분석 (Analysis on the Dynamic Behavior according to Suspension Structure of the Urban Railway Vehicle)

  • 허현무;노학락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11호
    • /
    • pp.617-623
    • /
    • 2020
  • 다수의 승객을 운송하는 도시철도 전동차는 도시 철도교통시스템의 핵심이다. 따라서 차량의 동적성능이 확보가 차량 안전 확보 및 승객서비스 차원에서 선행되어야 한다. 철도차량의 진동, 승차감과 같은 동적거동은 현가시스템 구조 및 현가요소에 따라 크게 영향을 받는다. 철도차량의 현가시스템은 윤축과 대차간 1차현가시스템, 대차와 차체간 2차현가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에서 운용되고 있는 전동차 현가구조에 따른 전동차의 동적거동에 대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현가구조가 상이한 2종류의 전동차에 대하여 실제 선로에서 동일 주행조건으로 주행시험을 수행하였으며 차량의 진동을 계측하였고 진동과 승차감, 진동감쇠율과 같은 동적거동 특성을 분석하였다. 시험결과, 차체 진동성능은 좌우방향은 B대차가, 상하방향은 A대차가 상대적으로 우수하게 나타났다. 승차감은 전반적으로 A대차가 B대차에 비하여 우수하게 나타났다. 진동감쇠율을 보면, 1차현가시스템은 고무스프링이 적용된 A대차에 비하여 코일스프링이 적용된 B대차의 진동감쇠 성능이 우수하며 2차현가시스템은 코일스프링에 비하여 공기스프링이 적용된 A대차의 진동감쇠 성능이 우수하다. 본 논문의 결과는 향후 철도차량 신차 설계 과정에서 현가구조 설계 및 현가요소 선정 시,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것이라 기대된다.

교통차량진동 자료에 대한 최적 가상공통송신원모음 제작 연구 (A Study on Generating Virtual Shot-Gathers from Traffic Noise Data)

  • 손우현;최윤석;장성형;이동훈;정순홍;주용환;김병엽
    • 지구물리와물리탐사
    • /
    • 제26권4호
    • /
    • pp.229-237
    • /
    • 2023
  • 도심지에서 화약, 기계적 진동 등의 인공 송신원을 이용할 경우 진동 및 소음으로 인한 민원발생으로 탄성파탐사에 어려움이 있다. 인공 송신원의 대안으로 교통차량의 진동에 의해 발생하는 표면파를 이용하여 도심 지하 천부의 물성을 파악할 수 있다. 그러나 교통차량 진동은 일정 속도로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평면파의 형태를 하고 있어, 기존의 표면파 처리 및 역산 기법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탄성파 간섭법을 적용하여 교통차량 진동 자료를 점-송신원 형태의 가상공통송신원모음으로 변환시켜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교통차량 진동 자료에 다양한 탄성파 간섭법을 적용하고, 타우-피 및 주파수-파수 영역에서 그 결과를 비교하여 최적의 탄성파 간섭법을 도출하였다. 또한, 다양한 방향의 수진기 배열로 취득된 자료들에 대해 탄성파 간섭법을 적용하고, 그 결과들을 비교 및 분석하여 탐사에 가장 적합한 수진기 배열 방향을 도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