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차량진동

검색결과 1,003건 처리시간 0.038초

방은차륜의 소음진동 저감효과 시험 (Test on the Effect of Elastic Wheel from the viewpoint of Noise and Vibration of Subway Vehicle)

  • 유원희;문경호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1998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 용평리조트 타워콘도, 21-22 May 1998
    • /
    • pp.64-68
    • /
    • 1998
  • 본 연구의 목적은 수도권 지하철차량의 소음과 진동에 방음차륜(또는 탄성차륜)이 어느 정도의 효과를 가져오는가를 평가하기 위한 것이다. 실차시험을 통하여 일체차륜이 장착된 차량과 방음차륜이 장착된 차량의 차내소음 및 차체진동을 비교하여 보았다. 그 결과 방음차륜은 지하철차량의 소음과 진동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실제 적용은 소음과 진동 이외에도 여러 가지 측면에서의 검토가 이루어져야만 가능할 것이다.

  • PDF

전륜구동 차량의 축계 비틀림 진동 해석 (Torsional Vibration Analysis of The F/F Car Drive Train)

  • 한창석;여승동;권오준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1994년도 추계학술대회논문집; 한국종합전시장, 18 Nov. 1994
    • /
    • pp.198-204
    • /
    • 1994
  • 차량 축계의 비틀림진동은 엔진 공회전시와 정속주행시(완만한 가감속) 및 가속페달 급조작에 따른 급격한 가감속에 대해 각각 고유한 동특성을 나타내면서 차체의 진동과 소음을 유발시킨다. 공회전시의 진동해석 및 가속페달 급조작에 따른 차량 전후 진동에 대해서는 지금까지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상당한 발전을 이룩한 반면 완만한 가감속시 차량의 전속도 구간에서의 진동해석에 대해서는 해석상의 어려움으로 인해 주로 실험에 의한 접근 방법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수동변속기가 장착된 전륜구동 승용차를 대상으로 차량 전속도 구간에서 축계의 비틀림진동 해석을 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였으며, 개발된 방법을 트랜스미션 축진동 저감을 위한 클러치 비선형특성 튜닝에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강제진동해석방법은 수동변속기가 장착된 모든 종류의 차량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자동변속기의 댐퍼클러치 설계에도 응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고성능강 적용 교량의 진동사용성 평가 (Vibration Serviceability Assessment of High-performence Steel Bridge)

  • 김태민;김동환;김문겸
    • 한국전산구조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산구조공학회 2011년도 정기 학술대회
    • /
    • pp.710-713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교량의 주부재에 교량용 고성능강을 적용하여 설계해 본 후, 이러한 적용이 교량의 진동사용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 영향을 분석해 보고자 한다. 최근들어 교량상의 구조적인 결함이 없더라도 진동에 의해 교량을 통행하는 운전자나 보행자에게 불안감을 주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기 때문에 진동사용성이란 문제는 보다 부각되고 있다. 특히 고성능강이 개발되고 이를 교량에 적용하게 되면 허용응력의 증가로 이어져 거더의 형고감소를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이러한 형고의 감소는 교량의 휨강성을 저하시켜 사용성의 악화를 초래할 것이란 예측이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차량-교량의 상호작용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영향의 분석을 위해 유한요소해석 프로그램인 Abaqus 6.10을 이용해 수치해석을 수행하였고 이때의 진동영향을 평가했다. 차량-교량 상호작용의 해석을 위해 ASSHTO 기준의 HS 20-44 차량을 해석 대상교량 위로 주행하도록 하였다. 해석대상교량은 인장강도가 각각 600MPa와 800MPa인 교량용 고성능강재(HSB, High-Performance Steel for Bridge)를 적용하여 주거더를 설계한 강플레이트 거더교를 대상으로 삼았다. 차량이 교량을 통과하면서 발생하는 교량의 경간 중앙부에서 발생하는 수직진동의 시간이력을 분석하여 진동평가의 기준으로 삼았다. 해석결과 HSB600과 HSB800으로 각각 설계된 교량은 가속도이력에서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변위이력에서는 HSB800적용 교량이 진동사용성 측면에서 매우 불리한 거동을 보였다. 따라서 고성능강 적용에 따른 교량의 진동사용성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변위를 기준으로한 평가가 이루어져야하며, 변위의 진동을 제어하기 위한 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승용차의 진동소음 평가및 개선기법

  • 정승균
    • 소음진동
    • /
    • 제8권1호
    • /
    • pp.3-72
    • /
    • 1998
  • 자동차에서 발생되는 여러가지 문제점들중에서 가장 고객들에게 민감하게 영향을 미치고 중요한 문제가 차량의 정숙성이다.이러한 정숙성을 대변하는 지표중의 하나가 차량에서 발생하는 진동소음의 수준이다. 차량의 지노ㄷㅇ소음은 이러한 정숙성의 문제뿐아니라 승용차를 개발하는 기술력의 종합적인 평가지표로서도 매우 중요한 분야이다. 따라서 이러한 진동소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각 자동차의 기술연구소에서는 많은 노력과 시간을 투자하여 이 분야의 기술력 향상에 매진하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에는 보다 적극적인 진동소음 문제 해결 방법으로서 과거에 사용하던 소극적인 문제 해결 방법으로서 과거에 사용하던 소극적이고 방어적인 방법,- 즉 진동소음 발생 현상을 발견하여 그현상을 치유하는 방법에서 벗어나 진동소음 문제를 일으키는 진동소음원(source)을 찾아 직접 그 원인을 차단 및 치유하는 적극적이고 공격적인 방법을 이용하고있다. 본 글에서는 이러한 진동소음 문제를 차량의 개발 단계에서 해결하기 위한 일련의 과정 및 여러가지 개선기법에 대해서 살펴보고 그를 통한 진동소음 문제 해결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철도차량 소음사양의 변화와 저소음화의 역할분담

  • 김종년
    • 소음진동
    • /
    • 제14권2호
    • /
    • pp.21-25
    • /
    • 2004
  • 신속하고 정확한 대중교통수단의 하나로써 도심의 교통난을 해결할 수 있는 유일한 대안으로 부각되고 있는 철도차량은 여러 가지 편리함에도 불구하고 차량 주행 시 발생한 소음ㆍ진동이 철로 변 주민들에게는 하나의 환경문제를 야기시키며, 터널 주행 시에는 차량에 탑승한 승객들의 안락성을 해칠 수 있는 요소로써 그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중략)

노면가진을 받는 승용차의 진동해석 (Analysis of Vertical Vibration of a Passenger Car due to Road Excitation)

  • 최영휴;김원석;민현기;이장무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1990년도 추계학술대회논문집; 한양대학교, 서울; 24 Nov. 1990
    • /
    • pp.143-147
    • /
    • 1990
  • 자동차는 주행시에 노면가진으로 인하여 진동을 받게 되는 데 이러한 진동 은 운전자의 승차감을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화물과 차량 부품을 파손시키 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노면가진력은 주로 현가장치를 통하여 차량에 전달 되어 차량의 진동을 유발하게 되므로 승차감을 향상시키려면 노면가진을 효 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현가장치를 설계하여야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논 문에서는 차량을 현가장치의 형식에 따라 3가지 종류로 구분한 다음 각각을 12자유도로 모델링하여 노면이 불규칙(random)한 도로를 주행할 때의 승용 차의 진동을 해석하고, 현가스프링의 강성과 쇼크 압소바의 감쇠 값이 자체 수직 가속도 유효치(rms value)와 현가장치 유효행정(rms stroke length)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차량의 운동방정식은 현가장치의 비선형 특성을 고려하였기 때문에 미소 각 운동의 가정에도 불구하고 비선형 방정식이 된 다. 운동 방정식의 해는 4차 Runge-Kutta 적분법을 사용하여 수치해석으로 구하였다.

  • PDF

열차 곡선부 노선 인근의 진동환경 예측 연구 (A Study on the Prediction of Ground Vibration induced by Curved Above-ground Railway Lines)

  • 허영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146-153
    • /
    • 2003
  • 본 논문은 열차 곡선부 노선에서 발생하는 진동크기의 예측을 위한 것으로, 곡선부를 주행하는 틸팅 차량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크기를 수치해석적으로 예측한 결과이다. 곡선부를 주행하는 틸팅차량에 의한 진동의 특징으로, 진동의 방향성분을 들 수 있다. 진동의 방향성분은 직선 구간에서는 수직성분이 월등히 우세하나, 곡선구간에서는 수평성분이 크게 증가한다. 틸팅차량의 경우, 일반열차에 비해 곡선 구간에서의 높은 속도로 인해 수평성분이 크게 발생한다 따라서 틸팅차량의 주행에 의한 인근 지역에서의 진동환경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수직성분 뿐 아니라 수평성분의 정확한 파악도 필요하다. 이러한 진동의 방향성분은 근거리 또는 원거리 영역에 파라 달라져, 이의 파악을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 PDF

철도인공대지에 건설된 아파트의 방진대책(I): 진동소음 평가 (Vibration Reduction for a Railway Depot Building (I): Vibration/Noise Evaluation)

  • 김정태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16권5호
    • /
    • pp.353-357
    • /
    • 2013
  • 근래에 들어 철도 주변에 있는 부지와 철도차량기지 등에 산재되어 있는 유휴토지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주택을 건설하려는 사회적 변화가 시도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철도차량기지 주변에 기 건설되어 있던 고층아파트 단지의 진동소음문제를 분석한 사례연구결과를 제시하고 이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사례로 등장하는 철도단지는 지하철의 차량기지에 있는 유휴공간을 적극적으로 활용코자 차량기지 상부에 16 개 동의 대단위 아파트 단지를 건설한 경우이다. 거주민은 정비기지에 철도차량이 진, 출입할 때마다 나타나는 소음진동으로 인해 열악한 주거상황을 호소해 오고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일차적으로 인공대지의 동적인 특성을 설명한 후 정비기지에 진출입하는 차량의 진동소음발생 특성을 기술한다. 발생원으로 인해 아파트 고층에서 진동, 소음을 측정하고 물리적 수준과 특징을 검토하였다.

철도차량 장치의 진동 및 충격시험 방법 비교 분석 (Comparison and Analysis of Vibration and Shock Test Methods for Rolling Stock Equipment)

  • 김영국;박찬경;류준형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16권4호
    • /
    • pp.246-252
    • /
    • 2013
  • 철도차량은 차량조건, 선로조건 및 운행조건들에 의한 많은 진동원에 의해 매우 복잡한 형태의 진동과 충격이 발생한다. 진동과 충격은 철도차량에 부착되어 있는 부품 및 구성품을 고장시키는 원인이 된다. 이러한 진동 및 충격에 의한 장치의 고장을 줄이기 위해서는 개발단계에서부터 진동과 충격시험을 통해 장치가 진동과 충격에 견디는 지를 확인한 후에 철도차량에 장착하고 있다. 국내에는 서로 상이한 방법을 적용한 여러 가지의 철도차량 진동 및 충격시험 규격이 사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에서 대표적으로 사용되는 규격인 IEC 61373과 KS R 9144, KS R 9146에 대해 상대적 비교를 통해 진동과 충격시험의 방법에 대한 차이점을 고찰함으로써 진동시험 관련자들이 정확한 진동 및 충격시험을 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열차 곡선부 노선 인근의 진동환경 예측 연구 (Prediction of Ground Vibration nearby the Curved Railway Track)

  • 허영;엄기영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II)
    • /
    • pp.423-428
    • /
    • 2003
  • 본 논문은 열차 곡선부 노선에서 발생하는 진동크기의 예측을 위한 것으로, 곡선부를 주행하는 틸팅차량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크기를 수치해석적으로 예측한 결과이다. 곡선부를 주행하는 틸팅차량에 의한 진동의 특징으로, 진동의 방향성분을 들 수 있다. 진동의 방향성분은 직선 구간에서는 수직성분이 월등히 우세하나, 곡선구간에서는 수평성분이 크게 증가한다. 틸팅차량의 경우, 일반열차에 비해 곡선구간에서의 높은 속도로 인해 수평성분이 크게 발생한다. 따라서 틸팅차량의 주행에 의한 인근 지역에서의 진동환경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수직성분 뿐 아니라 수평성분의 정확한 파악도 필요하다. 이러한 진동의 방향성분은 근거리 또는 원거리 영역에 따라 달라져, 이의 파악을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