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차량주행특성

Search Result 603, Processing Time 0.03 seconds

Impacts of Automated Vehicle Platoons on Car-following Behavior of Manually-Driven Vehicles (군집주행 환경이 비자율차량의 차량 추종에 미치는 영향분석)

  • Suh, Sanghyuk;Lee, Seolyoung;Oh, Cheol;Choi, Saerona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 /
    • v.16 no.4
    • /
    • pp.107-121
    • /
    • 2017
  • This study conducted a 3-stage survey and simulation experiment to identify the impact of vehicle platoons on car-following behavior of manually-driven vehicles. Vehicle maneuvering data obtained from driving simulations was statistically analyzed based on three measures including average speed, acceleration noise, and offset to represent the deviation of lateral movements. Results indicate that MV drivers tended to have psychological burden while driving in automated vehicle platooning environments, which resulted in different vehicle maneuvers. It is expected that the outcome of this study would be useful fundamentals in developing various traffic operations strategies for managing mixed traffic stream consisting of MVs and autonomous vehicles.

차량의 주행역학적 특성규명을 위한 시험 및 평가방법

  • 허승진
    • Journal of the KSME
    • /
    • v.28 no.1
    • /
    • pp.28-36
    • /
    • 1988
  • 차량 주행특성을 규명하기 위한 연구방법에 대한 일반적 고찰을 토대로 주요 개방회로시험과 관련 평가기준들이 소개되었다. 그러나, 차량의 주행상 안전도 연구를 위한 종합적인 척도는 이제까지 설명된 평가기준들로부터 아직 명확히 귀결지을 수 없음을 강조하여야 한다. 이유로 서는, 한편으로 응용되어진 연구방법들이 실제 교통사고 발생상황을 포괄하기에는 아직 불충분 하며, 또 한편으로는 주어진 한 시험방법에서 주행안전도 판정을 위해 제기된 특성치가 절대적인 값으로 확정지을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전체 시스템 '운전자-차량-환경'에 있어서 주행특 성의 완전한 평가를 내리기 위해서는, 객관적으로 서술될 수 있는 차량의 주행특성-안정성 및 조절성과 운전자에 의한 주관적인 판별 또한 환경요소에 의한 영향들에 대하여 상호 연관관계가 복합적으로 해석. 규명되어져야만 할 것이다.

  • PDF

Study on Potential Utility of Wind Power Generation Based on Driving Wind of High-Speed Trains (고속철도 열차 주행풍의 풍력발전 활용성에 대한 연구)

  • Kim, Je-Guen;Suh, Ki-Bum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8 no.10
    • /
    • pp.681-687
    • /
    • 2017
  • We investigated the potential for wind-power generation using the wind produced by express trains. We built equipment to detect the wind velocity, including wind meters and a data analyzer. We considered various conditions that might change the wind. First, we measured the velocity and duration of the wind at three locations distinguished by the presence of a tunnel and a valley landscape. We analyzed the changes in the wind according to the geometric conditions. Also, we analyzed the changes in the wind according to three different heights relative to the train. We also compared the wind produced by a KTX train and an SRT train. Finally, we used the results to derive the wind power energy harvested from the wind and discuss the expected utility.

Analysis of the Influence of Track Alignment on Ride Comfort and Safety of KTX (방향틀림이 KTX 주행거동에 미치는 영향 분석)

  • Choi, Il-Yoon;Um, Ju-Hwan;Kim, Man-Cheol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 /
    • v.16 no.2
    • /
    • pp.110-116
    • /
    • 2013
  • Track irregularities is one of the key factors influencing the running behavior of trains. In order to ensure safety and ride comfort of train, the criteria for track irregularities should be adequately established regarding vehicle velocity, vehicle characteristics, characteristics of the track recording car, and measurement interval. Also, track maintenance should be carried out thoroughly according to the criteria for managing track irregularities. Numerical analysis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track alignment on the running behavior of Korean high speed train(KTX). Various wavelengths and amplitudes of lateral alignment were considered as parameters for this study using the Vampire program, a vehicle dynamics modeling package in railway environment. Derailment, lateral load, bogie acceleration and body acceleration of numerical analysis results due to alignment were investigated. Finally, the influence of the alignment on safety and ride comfort for the KTX was evaluated. This study indicates that alignment irregularities have significant impacts on running safety, and that the criteria used to manage alignment irregularities should be restrictive to ensure the running safety of the KTX.

인공 지능을 이용한 자율주행차량의 제어

  • 류영재;홍재영;임영철
    • 전기의세계
    • /
    • v.46 no.3
    • /
    • pp.20-25
    • /
    • 1997
  • 자율주행시스템은 복잡한 환경에서 효과적인 주행을 위해서 센서를 통해 주변의 정보를 수집하고 주변환경에 적절한 동작을 취해야 한다. 이러한 자율주행시스템에 지능적인 방법을 통하여 새롭게 제안한 방법을 서술하였다. 퍼지 논리를 이용하여 운전자와 같이 차량이 차선을 따라 주행하기 위한 퍼지 논리 제어기(FLC)가 설계되었다. 함축적인 차량모델을 기반으로 설계한 퍼지 논리 제어기가 복잡하고 정확한 차량모델을 기반으로 설계된 PID나 FSLQ 제어기와 동등한 성능을 발휘하였다. 인간의 운전방법을 학습할 수 있는 신경회로망을 이용하여 자율주행시스템에 적용하였다. 퍼지 신경회로망은 인간의 제어특성을 반영하도록 설계되었으며 자동으로 생성된 제어기는 퍼지 논리 제어나 신경회로망의 기법보다 우수한 성능을 발휘하였다. 퍼지 논리, 신경회로망, 유전자 알고리즘 등의 인간의 지능 모델에 기초를 둔 방법을 자율주행차량의 제어에 도입하므로써 기존의 자율주행시스템의 문제점을 극복하는데 주요한 역할을 하였다. 앞으로 퍼지 논리, 신경회로망, 유전자 알고리즘은 각각의 강점을 융합하거나, 고전적인 제어 알고리즘과 결합하므로써 더욱 우수한 성능을 발휘할 것으로 예상된다.

  • PDF

A Method to Improve the Driving Stability of Vehicles Driven on Highway under Strong Wind Condition (고속도로 주행차량의 강풍에 대한 안전성 확보 방안)

  • Kim, Hyun-Gi;Ma, Seok-Oh;Kim, Do;Lee, Soon-Hee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9.12a
    • /
    • pp.864-867
    • /
    • 2009
  • 고속도로를 주행하는 차량에 작용하는 순간적인 강풍은 차량의 주행경로이탈, 차체의 수평회전 과다와 전도를 발생시키는 원인이 되며, 이로 인한 교통사고는 치명적인 대형사고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최근에 건설되거나 추진중인 고속도로는 고속운행에 필요한 도로선형을 확보하기 위해 계곡부를 통과하는 높은 위치에 교량을 건설하거나 산악터널을 내는 경우가 많으며, 지형적인 특성으로 발생하는 국지적인 강풍의 영향이 매우 크기 때문에 적극적인 강풍저감대책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강풍 발생지역을 주행중인 차량의 안전성 및 쾌적성확보를 위하여 차량의 동역학적 거동을 규명하고 차종별 주행속도와 순간풍속의 상관관계를 정립하였다. 또한 차량사고의 영향인자별 분석을 통하여 기존에 제시된 연구결과와 기준안에 대한 고찰을 실시하였고, 강풍발생 지역을 통과하는 차량에 대한 규제와 운영방법에 대해 위험풍속을 정의하고 차량속도규제(안)을 제시하였다.

  • PDF

Analysis of Vehicle Dynamics with Car Suspension Design (자동차 현가장치 설계에 따른 동역학 해석 및 활용 (맥퍼슨 스트러트형 현가장치에 대하여))

  • 조승백;임준택
    • Journal of the KSME
    • /
    • v.33 no.10
    • /
    • pp.871-883
    • /
    • 1993
  • 차량의 승차감 및 조안 성능을 결정하는 중요한 인자인 현가장치(Supension System) 설계의 최적화를 기하며 실차육성기간을 줄이고 설계 업무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각종 차량 특성 인자의 수치화를 통해 여러 가지 해석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해석 과정으로는 크게 현가장 치의 기구학적 특성-Kinematic Analysis-과 부시 (Bush)와 스프링 (Spring) 등의 컴플라이언스 (Compliance) 효과 - 쿼지스테틱 어낼러시스 (Quasistatic Analysis)-와 전체차량의 주행 시뮬 레이션 (simulation)을 통한 설계차량의주행안정성 검토-풀 비클 어낼러시스 (Full Vehicle Analysis)- 등이 있다. 이 글에서는 승용차의 현가장치중 대표적인형인 맥퍼슨 스터러트형에 대 하여 1) 기구학적 특성, 2) 부시와 스프링 등의 컴플라이언스 효과, 3) 전체차량의 주행 시뮬레 이션을 통한 차량의 주행 안정성 검토의 순으로 각 단계별 주요 검토 항목과 인자, 그리고 실제 차량에서의 현상에 대하여 소개한다.

  • PDF

Study of Autonomous DRT(Demand Responsive Transit) UX Design Feature: Focusing on the Elderly (자율주행 DRT(수요응답형 교통) UX 디자인 특성 연구: 고령자를 중심으로)

  • Choi, Kyu-Ha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1 no.12
    • /
    • pp.705-712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features of autonomous DRT UX design based on level 5 autonomous vehicle applicable in 2027. As the scope of the study, the system focused on the interaction between the elderly and the in/outside of the vehicle, and the level 5 autonomous vehicle was the subject of the study. As of 2021, the targets for application were set from 60s to 90s. This study is different from previous studies in that it is a study on the features of autonomous DRT UX design that derives practical insights through direct communication with the elderly. As a research method, autonomous vehicle and DRT were theoretically considered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based on this, cases of autonomous vehicle and DRT were analyzed. As a case study, generalization was conducted through interviews with the elderly, test-drive of autonomous vehicle, video production, survey, and VR test-drive of autonomous vehicle for the elderly. Ten features of autonomous DRT UX design were derived through focus group interview(FGI), and the derived features were classified into reservation, get on, input, driving, emergency, and get off. Through this study, I hope that it will contribute to improving mobility of the elderly and further accelerate the practical use of autonomous DRT.

A Study on the Car Audio Sound Qualify Enhancement under Vehicle Noise (차량 주행소음을 고려한 자동차 오디오 음질 개선법 연구)

  • Park Seok Tae;Kim Kyung Hwan;Lee Jong Kyu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spring
    • /
    • pp.274-277
    • /
    • 1999
  • 자동차 오디오는 차량의 상품성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고급 차량일수륵 또한 젊은 층일수록 차량 구매시 선택의 기준이 되기도 한다 그러나 자동차 오디오는 크게 두가지 면에서 가정용 오디오와 차이가 있다. 첫번째는 청취공간이 매우 헙소하다는 것이고 둘째로는 주행시 차량소음이 차 실내로 유입되어 오디오 음질에 영향을 미친다. 차 실내는 즘은 공간 음향폭성으로 인한 음향 dip 현상이 발생하며 이는 오디오 음질의 왜곡을 가져오므로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라우드스피커 최적배치 뿐 아니라 주행소음에 대한 시험 및 분석을 하여 오디오 음질에 영향을 주는 주파수 밴드를 파악하여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오디오 음에 차량소음이 섞인 경우에 대하여 차량의 라우드스피커 위치는 변경하지 않고 라우드스피커의 주파수 밴드별 출력을 디지털필터를 이용하여 수정하는 방법으로 음질 개선을 제안하였다. 디지털 필터의 보정치는 차량 주행소음 특성과 차 실내 음향특성을 고려하였다. 차량소음을 섞은 주파수 옥타브 밴드 분석법을 이용한 객관적인 분석과 감성적 분석법인 NCB곡선으로 차량소음을 분식하여 디지털 필터 보정치를 구하는데 사용하였다. 제안한 9가지 디지털 필터를 이용하여 차량소음과 음악을 합성하였고 이중에서 좋은 음질에 대한 판정을 하기 위해 Scheffe가 제안한 7점 주관 평가법을 사용하여 64명이 내린 주관평가를 수행하였다.

  • PDF

Analysis of BWIM Signal Variation Due to Different Vehicle Travelling Conditions Using Field Measurement and Numerical Analysis (수치해석 및 현장계측을 통한 차량주행조건에 따른 BWIM 신호 변화 분석)

  • Lee, Jung-Whee
    • Journal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 /
    • v.24 no.1
    • /
    • pp.79-85
    • /
    • 2011
  • Bridge Weigh-in-Motion(BWIM) system calculates a travelling vehicle's weight without interruption of traffic flow by analyzing the signals that are acquired from various sensors installed in the bridge. BWIM system or data accumulated from the BWIM system can be utilized to development of updated live load model for highway bridge design, fatigue load model for estimation of remaining life of bridges, etc. Field test with moving trucks including various load cases should be performed to guarantee successful development of precise BWIM system. In this paper, a numerical simulation technique is adopted as an alternative or supplement to the vehicle traveling test that is indispensible but expensive in time and budget. The constructed numerical model is validated by comparison experimentally measured signal with numerically generated signal. Also vehicles with various dynamic characteristics and travelling conditions are considered in numerical simulation to investigate the variation of bridge responses. Considered parameters in the numerical study are vehicle velocity, natural frequency of the vehicle, height of entry bump, and lateral position of the vehicle. By analyzing the results, it is revealed that the lateral position and natural frequency of the vehicle should be considered to increase precision of developing BWIM system. Since generation of vehicle travelling signal by the numerical simulation technique costs much less than field test, a large number of test parameters can effectively be considered to validate the developed BWIM algorithm. Also, when artificial neural network technique is applied, voluminous data set required for training and testing of the neural network can be prepared by numerical generation. Consequently, proposed numerical simulation technique may contribute to improve precision and performance of BWIM syste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