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차량용 연료전지

Search Result 53,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Study on Air Humidification Control Method for Fuel Cell Vehicles (연료전지 차량을 위한 공기가습 조절법에 대한 연구)

  • Bakhtiar, Agung;Choi, Kwang-Hwan
    • Journal of the Korean Solar Energy Society
    • /
    • v.31 no.5
    • /
    • pp.91-98
    • /
    • 2011
  • 연료전지 차랑용에 있어서 공기 가습 및 감습의 중요성은 매우 크다. 특히 PEM(Proton Exchange Membrane)연료전지에서 수분평형은 총괄시스템성능에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인데, 이에 관한 중요한 연구가 지금까지 광범위하게 수행되고 있다. 또한 차량과 같이 동적부하 연료전지를 활용하는 분야에 있어서, 전류의 흐름은 차량용 파워 부하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전기적 흐름이 발생하면, 이에 따라 수분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응축 수분은 예측이 되며, 수관리 시스템에서 이를 중요한 제어 기준으로 활용한다. 그러므로 적절한 제어방법을 선택하면 유입공기의 온도와 습도의 최적값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PEM 연료전지의 수관리를 위하여 수분전달 모델과 유전알고리즘(genetic algorithm)을 사용하는 제어방법에 초점을 두고 있다.

Dynamic Modeling of Cooling System Thermal Management for Automotive PEMFC Application (자동차용 연료전지 냉각계통 열관리 동적 모사)

  • Han, Jae Young;Lee, Kang Hun;Yu, Sang Seok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B
    • /
    • v.36 no.12
    • /
    • pp.1185-1192
    • /
    • 2012
  • The typical operating temperature of an automotive fuel cell is lower than that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which necessitates a refined strategy for thermal management. In particular, the performance of the cooling module has to be higher for a fuel cell system because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fuel cell and the surrounding is lower than in the case of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Even though the cooling system of an automotive fuel cell determines the operating temperature and temperature distribution of the fuel cell, it has attracted little research attention. This study presents the mathematical model of a cooling system for an automotive fuel cell system using Matlab/$Simulink^{(R)}$. In particular, a radiator model is developed for design optimization from the development stage to the operating stage for an automotive fuel cell. The cooling system model comprises a fan, pump, and radiator. The pump and fan model have an empirical relation, and the dynamics of the pump and fan are only explained by motor dynamics. The basic design study was conducted, and the geometric setup of the radiator was investigated. When the control logic was applied, the pump senses the coolant inlet temperature and the fan senses the coolant out temperature. Additionally, the cooling module is integrated with the fuel cell system model so that the performance of the cooling module can be investigated under realistic operating conditions.

Cell Voltage Monitoring of PEMFC Power Module for Fuel Cell Electric Vehicle (연료전지 차량용 PEMFC 발전모듈의 셀전압 측정)

  • Park Hyunseok;Jeon Ywunseok;Ku Bonwoong;Choi Seoho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06a
    • /
    • pp.388-391
    • /
    • 2005
  • In this paper, Cell voltage monitoring method is studied for fault detection of PEMFC(Proton Exchange Membrane Fuel Cell) for FCEV(fuel cell electric vehicle). To measuring several hundred of cells in fuel cell stack, The demanded feature of hardware and software is studied and several types are analysed. Finally, $3.26\%$ maximum measuring error is acquired and verified experimentally.

  • PDF

수소$\cdot$연료전지 기술현황 및 전망

  • 홍성안
    • New & Renewable Energy
    • /
    • v.1 no.1 s.1
    • /
    • pp.24-31
    • /
    • 2005
  • 수소에너지는 궁극적으로 인류가 당면하고 있는 에너지와 환경 문제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유일한 꿈의 에너지원으로 평가된다. 향후 $30\~40$년 뒤에 예상되는 수소에너지 시대, 즉 수소경제의 비전이 달성될 때 수소이용 기술인 연료전지 기술은 보편화돼 새로 건설되는 발전소는 연료전지 발전소가 대부분일 것이며, 가정과 상업용 건물에도 연료전지가 설치될 것이다. 또한 운행되는 상당 부분의 승용차와 버스가 연료전지 차량이며, 이에 상응해 주유소의 절반 정도는 연료전지 차량에 수소를 공급하는 수소 주유소로 대체될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꿈을 이루기 위해서는 수소에너지 체계의 핵심인 연료전지 기술의 상용화는 물론 풍력, 태양 등을 이용한 대체에너지원으로부터의 수소생산기술, 수소저장, 운송에 이르는 수송 인프라스트럭처 구축 등 해결해야 할 과제가 적지 않다. 본 고에서는 수소이용기술의 대표적 기술인 연료전지 기술의 개발현황과 전망을 소개하고자 한다. 특히 연료전지 기술을 조기 상용화 하고자 하는 각 국의 노력을 소개하고, 응용분야별 해결되어야 할 기술적 문제 등을 소개한다.

  • PDF

Breakdown Characteristic of Coolant for Hydrogen Fuel Cell by Thermal Aging (열 열화에 의한 수소 연료전지용 냉각수의 절연파괴 특성)

  • Kim, Yoon-Hyoung;Choi, Kang-Wal;Han, Sang-Ok;Lee, Sei-Hyun;Yong, Gee-Joong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1.07a
    • /
    • pp.2132-2133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차량용 수소 연료전지 냉각수의 절연열화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냉각수 시료에 대해 운전온도 보다 가혹한 열 열화 조건을 인가하여 그 특성을 평가하였다. 연료전지 냉각수의 절연열화기구는 냉각수 내 이온성 불순물 증가로 인한 도전율 상승, 유기물 성분의 열열화로 인한 절연저항 및 유전특성 변화 등으로, 이는 연료전지 차량의 절연저항 저하 등의 문제를 야기시킬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온성 불순물에 의한 국부적인 절연특성을 평가 하기 위해 상용 전기전도도미터를 이용한 비전도도 측정 및 열열화로 인한 유기물 성분인 절연성 부동액의 유전특성 변화를 진단하여 열 열화된 냉각수의 전기전도도 및 전기용량 특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각 시료에 대한 내전압 시험을 진행하여 열 열화와 절연파괴 특성의 관계를 확인하였다.

  • PDF

The development of hydrogen storing system for fuelcell vehicle (연료전지차량용 수소저장시스템 개발 동향)

  • 이성근;임태원
    • 한국전기화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4.06a
    • /
    • pp.141-148
    • /
    • 2004
  • 지구의 환경보존과 에너지원의 효율적인 이용을 위하여 고효율의 환경친화적 청정에너지 기술개발을 활발이 진행중에 있으며, 이중 수소를 이용한 연료전지차 개발이 최근 가장 각광을 받고 있다. 연료전지차 실용화를 위해서는 여러 가지 기술적으로 해결해야 과제가 많으나, 그 중에서도 연료로 사용하고 있는 수소의 안전적인 저장 문제가 중요하다고 하겠다. 수소를 저장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 있으나, 현재 기술로 이용 가능한 것은 압축저장 방식이다. 현재 소개되고 있는 연료전지차 대부분에는 350 bar 압축수소저장용기가 탑재되어 $120\~300km$까지 주행이 가능하다. 이는 소비자 입장에서 수소충전을 자주해야 하는 불편사항이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 초고압 (700 bar) 수소저장시스템과 저압이면서 수소를 더 많이 저장할 수 있는 신 수소저장물질 개발을 각 연구기관에서 활발이 연구중에 있다. 국내에서도 최근에 연료전지차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연료전지차량용 부품 개발을 정부과제로 연구중이거나 예정이다. 수소저장분야도 21세기 프론티어사업을 통하여 산.학.연 합동으로 연구를 활발이 진행중에 있다.

  • PDF

Power Conversion System of Battery Modular Balancing for FCEV (모듈별 밸런싱을 위한 FCEV용 전력변환장치)

  • Kim, Mi-Ji;Shin, Min-Ho;Choi, Seong-Chon;Jeon, Jin-Yong;Yeo, Tae-Jung;Won, Chung-Yuen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4.07a
    • /
    • pp.415-416
    • /
    • 2014
  • FCEV(Fuel Cell Electric Vehicle)는 연료전지를 사용하여 차량 구동용 전동기에 필요한 에너지를 공급한다. 연료전지는 부하에 급격한 변화가 발생하였을 시에 과도특성이 나타나고 자동차에 에너지를 공급하는 속도에 영향을 준다. 그러므로 연료전지의 특성상 FCEV에서 배터리는 연료전지와 함께 사용된다. FCEV 및 전기자동차는 배터리의 대용량화를 위해 일반적으로 배터리 셀을 직/병렬로 모듈화하여 사용하는데, 이때 배터리 모듈의 충전 및 방전이 반복될 경우, 각 배터리 잔존용량의 불균형이 나타난다. 본 논문은 연료전지 전기자동차용 전력변환 장치를 이용하여 배터리 셀을 모듈화하여 모듈 별 밸런싱을 수행하는 시스템의 설계와 제어기법을 제안한다. 각각의 배터리 모듈과 연료전지를 연결하는 컨버터 모듈은 독립적으로 제어되어 배터리를 모듈 단위로 균등화시킨다. 이때 연료전지를 입력으로 절연형 컨버터를 병렬로 사용하며, 각각의 배터리 모듈을 균일하게 충전한다.

  • PDF

The development of Stack voltage monitor controller for FCEV (연료전지차량용 스택 전압 측정 제어기 모듈 개발)

  • Jung, Jaewook;Park, Hyunseok;Jeon, Ywunseok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11a
    • /
    • pp.79.2-79.2
    • /
    • 2010
  • FCEV(Fuel Cell Electric Vehicle)는 연료전지스택의 각 셀에서 반응하는 화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여 차량을 구동하는 시스템이다. 이러한 연료전지 셀이 정상적인 발전이 되지 않을 경우 비정상적인 전압이 발전되고 이것을 방치한다면 연료전지 스택의 영구적인 고장을 야기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SVM(Stack Voltage monitor) 제어기는 각 셀의 전압을 측정하고 그 정보를 상위 제어기인 FCU(Fuel cell Control Unit)에 전달한다. 이에 FCU는 연료전지스택의 고장을 운전자에게 알리고 연료전지스택의 발전을 멈추게 한다. 기존에 SVM 제어기는 각 셀마다 분압저항을 통하여 측정하며 이 전압의 차를 이용하여 셀 전압을 계산하는 방식이었다. 이는 상위 셀로 갈수록 오차가 커지는 문제가 있고 다수의 CPU 및 DC/DC 컨버터가 적용이 필요하여 복잡한 구성과 가격이 높은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cell monitoring IC를 적용하였고 좀 더 정밀한 측정과 간단한 인터페이스를 구성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SVM 제어기보다 안정되고 정밀한 SVM 제어기의 개발에 대해 기술하였다.

  • PDF

Design of Bidirectional DC-DC Converter using Optimal Control DC-link for FCEV Drive (FCEV 구동을 위한 DC-link 최적 제어가 가능한 양방향 DC-DC 컨버터 설계)

  • Ko, An-Yeol;Kim, Do-Yun;Hwang, Jung-Pill;Won, Il-Kuen;Won, Chung-Yuen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3.07a
    • /
    • pp.102-103
    • /
    • 2013
  • 화석 연료의 고갈과 유가 급등으로 인해 자동차 업체에서는 친환경 차량 개발에 힘쓰고 있다. FCEV는 차량 구동용 전동기에 필요한 에너지를 연료전지를 통해 공급받게 된다. 하지만 연료전지의 특성상 연료전지와 배터리를 같이 사용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일반적인 Half-bridge 타입의 양방향 컨버터에 스위치를 추가하여 양방향 buck, boost가 가능한 컨버터를 설계하였다. 전동기 구동용 인버터는 전압형 인버터가 사용되는데 전압형 인버터에서 발생하는 출력은 데드타임과 스위칭 소자의 전압 강하에 의해 왜곡된 전압과 전류를 출력하게 되고 이러한 출력은 토크와 속도에 나쁜 영향을 끼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동기의 속도에 따라 DC-link 전압을 가변하여 공급한다.

  • PDF

Operation Characteristics of the kW-class PEMFC Stack (kW급 고분자전해질 연료전지 스택의 운전 특성)

  • 최형준;안상렬;조성아;하홍용;오인환;홍성안;임태원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Energy Engineering kosee Conference
    • /
    • 1999.05a
    • /
    • pp.239-244
    • /
    • 1999
  • 고분자전해질 연료전지는 다른 형태의 연료전지에 비하여 전류밀도가 크고 구조가 간단하며 전해질의 누출이나 손실의 염려가 없어 수송용 무공해 차량의 동력원으로서 아주 적합한 시스템이다. 또한 빠른 시동과 응답특성, 우수한 내구성을 가지고 있고 연료로 수소 이외에도 메탄올이나 천연가스를 개질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1, 2]. 고분자전해질 연료전지는 원래 우주선, 군사용 등 특수 목적으로 사용되던 것이 1980년대 말에 이르러 도심지 대기오염을 저감시키기 위한 전기 자동차의 동력원 및 이동용 전원으로 사용될 것이 기대됨에 따라 전세계적으로 다시 연구 개발의 활기를 찾게 되었다.(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