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차량모델

Search Result 1,419,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Fast Car Model Recognition Algorithm using Frontal Vehicle Image (차량 전면 영상을 이용한 고속 차량 모델 인식 알고리즘)

  • Jung, do-wook;Kim, hyoyeon;Choi, hyung-il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305-306
    • /
    • 2015
  • 과속차량 단속카메라에 촬영된 차량 전면 영상은 차량번호를 인식하여 과속차량에 과금하는 용도로 사용되나 범죄 용의자 차량을 추적하기 위한 용도로도 사용되어진다. 본 연구에서는 국소특징점의 정합을 이용하여 차량 모델을 찾는 방법을 넘어서 실시간으로 차량 모델을 찾기 위한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입력된 영상에 대하여 차량의 모델을 특징지을 수 있는 헤드라이트를 포함한 차량의 그릴 영역을 관심영역으로 제한하고 관심영역에서 추출된 특징점들을 모델 특징벡터 데이터베이스의 자료와 비교하는 방법 을 사용하였다. 입력 영상의 크기 변화와 조명 변화에 강인한 SURF 국소특징점을 이용한 매칭 방법은 차량 모델을 찾는데 적합하나 선형적으로 탐색하는데 시간이 오래걸린다. 따라서 블러를 사용하여 차량 이미지에서 추출되는 특징점들의 수를 매칭이 가능한 수준으로 낮추는 방법으로 모델 자료로부터 탐색에 필요한 시간을 단축시켰다. 또한 모델 자료를 구조화하여 탐색시간을 줄이는 방법들을 비교하여 LSH 를 사용한 결과 차량 모델을 탐색하는데 필요한 시간이 단축됨을 보였다.

  • PDF

Dynamic Control of Coordinated Traffic Signals for Minimizing Queue-lengths (대기 차량 최소화를 위한 동적 교통 신호연동 모델)

  • 윤경섭
    • Proceedings of the KOR-KST Conference
    • /
    • 1998.10a
    • /
    • pp.196-205
    • /
    • 1998
  • 교통신호에서 주로 고려되는 변수는 신호주기(cycle length), 녹색시간(green split), 옵셋(offset)그리고 좌회전 현시순서(left-turn phase sequence)로 구성된다. 기존의 대부분의 연동 모델들은 고정된 주기하에서 평균적인 유입 교통량을 측정한 후, 선형최적화 이론을 적용하여 최적 신호를 산출한다. 그러나 이 방법은 어디까지나 평균적인 데이터에 대해서 계산을 한 것이기 때문에 실시간 최적화를 제공하기가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평균 차량 통행량 대신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차량 대기행렬, 차량 도착률을 기초로 대기차량을 최소화하는 동적 신호시간 산출 모델을 개발하였다. 본 모델에서는 Peytechew가 제안한 각 진입로에서의 대기 차량 예측 모델을 기초로 하여 다음 주기에서의 차량 대기 행렬을 예측한 후, 선형 최적화 이론을 적용하여 신호시간을 산출한다. 본 모델에서 산출된 신호주기와 녹색시간은 대기차량길이를 최소화하는 신호 시간으로서 교차로간의 연동효과를 고려하여 실시산 교통상황에 따라 주기별로 변화한다. 본 모델은 3개의 교차로로 구성된 네트워크를 대상으로 적용하였다. 실험 네트워크의 주도로 교통량은 부도로의 교통량 보다 많다고 가정하였으며 각 링크사이에서의 차량 진출입은 없다고 보았다.

  • PDF

Integrated GA-VRP Model for Multi-Supply Centers, Dongeui GA-VRP Solver (통합차량 운송경로계획모델)

  • 황흥석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Conference
    • /
    • 2000.04a
    • /
    • pp.12-17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다 물류센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통합 차량운송계획모델의 연구로서 다음과 같은 3단계모델을 개발하였다. 첫 번째 단계로서 다 물류센터의 문제를 단일 물류센터 문제로 변환하는 단계로서 물류센터별 공급 가능한 수요지를 선정하기 위한 방법인 구역할당모델(Sector-Clustering Model)을 개발하였으며, 두 번째 단계에서는 구역할당이 이루어진 단일 물류센터별로 차량경로 계획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개선된 Saving 알고리즘을 개발하여 차량종류 및 운송능력 등을 고려한 차량경로계획모델 (VRP)을 개발하였다. 세 번째 단계에서는 차량경로별 차량운송거리 및 시간을 최소화하는 최적차량운송순서계획 모델 GA-TSP을 개발하였다. 또한 객체지향 프로그래밍기법(Object Oriented Programming)을 기반으로 하여 사용자를 위한 GUI-Type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다 물류센터의 통합차량운송계획을 위한 실 예를 들어 본 모델의 우수성을 보였다.

  • PDF

Parameter Variation of Car-Following Models Due to Vehicle Tinting (차량선팅으로 인한 차량추종모델의 파라메터 변화분석)

  • Lee, Chung-Won;Kim, Hye-Won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 /
    • v.8 no.5
    • /
    • pp.48-56
    • /
    • 2009
  • Regulation of Visible Light Transmission Percentage (VLT%) has been argued because it was known that the degree of darkness of tinted vehicle can affect to driving maneuver. Previously, it was proven that low level of VLT affects capacity reduction. But, due to lack of field data they could not analyze the effect of Car-Following model parameters. This study focuses on the effect of a tinted vehicle on following traffic flow. RTK GPS receiving data through field experiment analyzed based on headway distance, acceleration noise, sensitivity, and reaction time. As a result of analysis through GM 1st Model and 3rd Model, influence of following vehicle vary inversely with VLT and risk according as tinting of lead vehicle is third vehicle bigger than second vehicle. Also the results patterns of GM 3rd model include distance-headway are same with GM 1st Model. In the further need to research for influence analysis of traffic flow stability by the level of VLT.

  • PDF

Development of a Dynamic Model for Real-Time Simulation of Tracked Vehicle (궤도차량의 실시간 시뮬레이션을 위한 동운동 모델 개발)

  • 안재준;오중석;윤석준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Conference
    • /
    • 2002.05a
    • /
    • pp.189-195
    • /
    • 2002
  • 궤도차량 운동의 실시간 시뮬레이션을 위해서 실시간 시간제약 조건을 만족하기 위한 모델링을 시도하였다. 단위 블록 열차로 연결된 전체 차체를 질점으로 가정하여 모델을 단순화함으로써 차량 설계 시 사용되는 궤도 차량 모델보다 실시간성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당 모델에서 궤도차량의 운동은 트랙의 형상에 구속되는데, 차량의 운동 궤적은 궤도의 형상에 의해 결정된다. 단, 매 단위 시간마다에서 궤도 차량의 위치는 뉴턴의 제2법칙으로 결정된다. 본 모델링은 몇 개의 단위 트랙을 설정하여 이들의 조합으로 전체트랙을 설계할 수 있도록 사용자가 임의로 설계한 전체트랙에서 바로 실시간으로 시뮬레이션할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 당 궤도차량 운동 모델은 전동차, 철도, 롤러코스터의 궤도 설계 등에 사용될 수 있으며, 주 용도는 롤러코스터 게임 시뮬레이터에서 동 특성을 비교적 엄밀하게 시뮬레이션 하는데 있다.

  • PDF

Real-Time Dynamic Analysis of Vehicle with Experimental Vehicle Model (실험기반 차량모델을 이용한 실시간 차량동역학 해석)

  • Yoo, Wan-Suk;Na, Sang-Do;Kim, Kwang-Suk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A
    • /
    • v.36 no.9
    • /
    • pp.1003-1008
    • /
    • 2012
  • The paper presents an Experimental Vehicle Model (EVM), that utilizes the kinematic characteristics of suspensions from SPMD test data. The relative displacement and orientation of a wheel with respect to the body are represented as a function of the vertical displacement of the wheel. The equations of motion of the vehicle are formulated in terms of local coordinates that do not require coordinate transformation, which improves the efficiency of dynamic analysis. The EOM was modularized for each suspension model, and a $6{\times}6$ vehicle model was obtained by combining six suspensions. The analysis results were compared with ADAMS to verify the accuracy of the EVM. This study also verifies the feasibility of real-time simulation with the developed EVM. For a vehicle simulation for 1 ms, the real simulation time required within 20% of the prescribed time. This result shows that the EVM meets the real-time simulation requirements.

Implementation of Deep Learning-Based Vehicle Model and License Plate Recognition System (딥러닝 기반 자동차 모델 및 번호판 인식 시스템 구현)

  • Ham, Kyoung-Youn;Kang, Gil-Nam;Lee, Jang-Hyeon;Lee, Jung-Woo;Park, Dong-Hoon;Ryoo, Myung-Ch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07a
    • /
    • pp.465-466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딥러닝 영상인식 기술을 활용한 객체검출 모델인 YOLOv4를 활용하여 차량의 모델과 번호판인식 시스템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시스템은 실시간 영상처리기술인 YOLOv4를 사용하여 차량모델 인식과 번호판 영역 검출을 하고,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번호판의 글자와 숫자를 인식한다. 이러한 방법을 이용한다면 카메라 1대로 차량의 모델 인식과 번호판 인식이 가능하다. 차량모델 인식과 번호판 영역 검출에는 실제 데이터를 사용하였으며, 차량 번호판 문자 인식의 경우 실제 데이터와 가상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차량 모델 인식 정확도는 92.3%, 번호판 검출 98.9%, 번호판 문자 인식 94.2%를 기록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Dynamic Wheel Loads of 3-D Vehicle Model Considering Tire Enveloping (타이어 접지폭을 고려한 3차원 차량모델에 의한 동적 차륜하중에 관한 연구)

  • Chung, Tae Ju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teel Construction
    • /
    • v.14 no.1
    • /
    • pp.95-104
    • /
    • 2002
  • In this paper, research for dynamic wheel loads of 3-D vehicle model considering tire enveloping model is carried out. Heavy trucks with 2-axles and 3-axles are modeled by 7-d.o.f. and 8-d.o.f., in which contact length of tire and pitching of tandem spring axles is considered. Dynamic equations of vehicle are derived by using the Lagrange's equation and solution of the equation is calculated by 5th Runge-Kutter method. The validity of the developed 3-D vehicle model is demonstrated by comparing the results obtained by the present method and experimental data by Whittemore. The maximum impact factors of tire force are calculated when vehicle models of 8ton and 15ton dump truck are running on the different class roads with 1.0km and on the various step bump.

Vehicle Segmentation Scheme Based on the Hidden Markov Model in Traffic Sequence (교통 영상에서 은닉 마르코프 모델을 이용한 차량 분할 기법)

  • Lee, Dae-Ho;Park, Young-Ta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5.11b
    • /
    • pp.850-852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교통 영상에서 실시간으로 차량을 검출하는 새로운 기법을 소개한다. 차량의 검출을 위하여 구배도의 방향 정보를 사용하며 차량 영역의 정확한 분할을 위하여 은닉 마르코프 모델을 사용한다. 구배도 방향정보를 이용하므로 그림자 영역의 영향을 줄일 수 있으며 은닉 마르코프 모델을 이용하므로 배경과 비슷한 차량과 근접한 차량의 분리가 가능하다. 따라서 저해상도의 교 통 영상에서 다양한 기상 조건, 그림자의 존재와 교통 상황에 강건한 검출 결과를 나타낸다.

  • PDF

Dynamic Analysis of an Automotive Suspension System with a 3-D Model (3차원 모델에 의한 차량 현가계의 동적해석)

  • 이재형;최영휴;이장무
    • Journal of the KSME
    • /
    • v.33 no.10
    • /
    • pp.856-860
    • /
    • 1993
  • 차량의 조종안정성을 해석하기 위해서는 차륜과 현가장치에 의한 비선형성과 조향장치의 동특성 등을 고려한 3차원 차량 모델을 이용하여 정상상태와 과도상태에서의 조향입력에 대한 차량 주 행역학을 해석하여야 한다. 승차감, 조향성능, 주행안정성 등의 동적성능과 현가장치의 특성관 계를 규명하기위하여 3차원 차량모델에 의한 해석과 설계변수에의 민감도 해석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