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차량내부

검색결과 521건 처리시간 0.03초

차량 내부에서의 모노폴 안테나 방사패턴 연구 (A Study on Monopole Antenna Radiation Pattern inside Vehicle)

  • 이태학;표성민;박상명;김영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11호
    • /
    • pp.4537-4542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차량 내부에서 발생되는 안테나 방사패턴의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 모노폴 안테나를 사용하여 차량 내부에서 안테나의 방사패턴을 측정하였다. 다수의 반사파가 존재하는 좁은 공간에서는 안테나의 특성이 변해 무선 통신 환경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 그러므로 실제 차량 내부에서 제공되는 무선 통신 서비스인 GPS 와 Wibro 동작 주파수 대역에서 안테나 방사패턴에 대한 모의실험과 측정실험을 수행하였다. 모의실험은 광선추적법을 기반으로 하였으며 측정실험은 각 동작 주파수 대역을 중심 주파수로 갖는 두 쌍의 모노폴 안테나를 제작하여 자유공간과 차량 내부에서 주파수에 따라 방사패턴을 측정하였다. 모의실험과 측정실험의 결과를 바탕으로 차량 내부와 자유공간에서의 안테나 방사패턴을 비교하였을 때 안테나의 전방향성 특성을 유지되며, 차량 내부에서 안테나의 수신전력이 자유공간에서의 결과보다 증가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주파수가 증가할수록 자유공간과 차량 내부에서의 수신전력 차이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FlexRay를 이용한 차량정보 기록장치 (Vehicle Information Recording device Using FlexRay)

  • 김관형;김민;변기식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16-118
    • /
    • 2011
  • 현재 차량 내부의 통신 장비는 CAN 통신 방식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미래의 자동차 내부의 통신 방식은 보다 고속이고 이중화를 지원하는 FlexRay 방식으로 발전될 것으로 예상되다. 본 논문에서는 차량 내부의 백본으로 사용할 수 있고, 차량 내부의 정보를 FlexRay 기반으로 정보를 전달하고 기록할 수 있는 장치를 개발하여 차량 내부의 정보를 보다 고속이고 안정적으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보다 지능화된 시스템을 제시하고 한다.

  • PDF

ECU간 기기인증을 위한 HB-Family 경량인증기법의 적용 방법 (An Implementation Method of HB-Family Light-weight Authentication for Device Authentication between ECU)

  • 김태수;김효승;우사무엘;이동훈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3권4호
    • /
    • pp.593-607
    • /
    • 2013
  • 현대 차량 내부 네트워크는 ECU라고 불리는 소형 전자제어 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과거에는 주행 중인 차량의 내부 네트워크에는 접근할 수 있는 방법이 없었고, 따라서 차량 내부 네트워크 폐쇄적인 환경으로 인식되었으며 이로 인하여 내부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통신하는 기기간의 인증기법이 존재 할 필요가 없었다. 하지만 현재 통신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차량 내부 네트워크에 접근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이 등장하였고, 이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차량내부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ECU간의 기기인증 문제에 대하여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HB-Family 기법은 RFID 환경에서 대표적인 경량인증기법이며, RFID 환경은 차량 내부 네트워크와 비슷한 제약사항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ECU의 약한 연산처리 능력과 CAN 프로토콜의 제한적인 메시지 전송량을 고려하여 효율적인 기기 인증을 수행하기 위해 HB-Family 경량인증기법을 차량 내부 CAN에 적용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을 적용한 인증기법의 가용성과 효율성을 평가하기 위해 DSP-F28335 Device기반의 성능평가를 수행한 결과 실험 환경에 따라 수행속도를 최소 10%에서 최대 36%의 속도를 향상 시킬 수 있었으며, 이를 차량 내부 네트워크의 다양한 측면에서 분석한다.

다인승 전용차로용 차량 내부 탑승 인원수 자동 확인 시스템 설계를 위한 연구 (A Study of The Unmanned System Design of Occupant Number Counter of Inside A Vehicle for High Occupancy Vehicle Lanes)

  • 김민영;장종욱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8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49-51
    • /
    • 2018
  • 미국과 중국 그리고 일부 유럽국가에서는 교통혼잡 해결하기 위해 2인 이상 탑승한 차량만 운행 가능한 다인승 전용차로(HOV, High Occupancy Vehicle Lanes)를 도입하여 운영하고 있다. HOV를 도입한 도시에서는 나 홀로 운행 차량이 많이 감소 되어 교통 혼잡 문제를 조금이나마 해결 할 수 있었다. 현재 HOV에서는 차량 내부의 탑승 인원수를 확인하기 위한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다. 기존의 해당 시스템은 HOV에 지나간 차량을 자동으로 적외선 카메라를 통해 촬영하여 사람이 직접 검수하는 방식이다. 기존 방식은 사람이 직접 검사하는 방식이라 이를 위한 많은 인력과 시간이 소모되는 점, 그리고 사람마다 확인한 결과가 다를 수 있는 등 여러 가지 단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 HOV의 차량 내부 탑승 인원 확인 기술의 여러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Deep Learning과 Computer Vision을 이용한 새로운 기술 설계를 위한 연구한 내용을 다룬다.

  • PDF

과포화 신호제어 기법을 응용한 도시고속도로 진출램프 제어전략의 개발 (Development of Exit-Ramp Control Strategy Avoiding Mainline Spillover for Urban Freeway)

  • 김영찬;이철기;허혜정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89-100
    • /
    • 2001
  • 내부순환로의 진출램프 중 성산, 홍은, 홍제, 길음, 마장 진출램프에서는 램프의 지체가 심각하여, 진출차량의 대기행렬이 내부순환로 본선에까지 이르는 대기행렬 역류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본선으로의 대기행렬 역류는 본선의 혼잡을 가중시키고 교통사고의 위험도 증가시킨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도시고속도로의 진출램프 혼잡을 개선하기 위해 진출램프 제어전략을 개발하였다. 진출램프 제어전략의 목표는 진출램프의 대기차량이 본선으로 역류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대기행렬의 역류를 막기 위해서는 진출램프의 차량이 인접한 간선도로로 원활하게 진행하도록 해야 하며, 간선도로와 진출램프의 대기행렬을 제어정책에 따라 관리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진출램프 진출부에 신호를 설치하여 간선도로차량의 흐름을 제어하고, 진출부 하류부 교차로와 연동제어를 하여 진출공간을 확보하였다. 또한, 대기행렬의 관리를 위해서는 대기행렬 관리계수를 정의하고 이 값에 따라 현시를 결정할 수 있는 제어식을 유도하였다. 진출램프 제어전략은 과포화 신호제어 기법을 응용하여 개발하였으며, 그 중 Equity offset과 내부미터링 기법을 연동제어에 응용하였고, Imbalanced split 기법은 대기행렬 관리계수에 따라 현시가 결정되는 제어식의 개발에 응용하였다. 진출램프 제어전략을 평가하기 위하여 진출램프의 혼잡으로 인해 본선으로 대기행렬 역류가 발생하는 내부순환로의 홍은, 홍제 진출램프를 선정하였으며, NETSIM을 통해 진출램프 제어전략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진출램프의 혼잡이 크게 개선되며, 운영자의 관리목적에 따라 대기행렬의 관리가 이루어지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진출램프 제어전략은 내부순환 도시고속도로뿐만 아니라 진출램프 제어가 필요한 타도시고속도로에서도 적용을 하면 좋은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 PDF

무선 통신을 이용한 차량 상태 확인 시스템 구현 (Implementation of vehicle state checking system using wireless communications)

  • 송민섭;장종욱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2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1238-1241
    • /
    • 2012
  • 오늘 날 무선 통신의 범위나 그 서비스가 널리 사용됨에 따라, 무선 통신 모듈의 개발 기술 및 그 활용도가 점차 확대되고 있으며 그에 따라서 IT 융합 산업들이 많이 나타나고 있는 추세이다. 본 연구는 차량의 상태를 가져오기 위하여 OBD-II 통신을 이용하고 획득한 데이터를 외부 서버로 전송하여 차량 내부에서 상태를 확인하는 시스템이 아닌 차량 외부에서 확인이 가능한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차량에 장착 된 각종 OBD-II 정보 및 다른 센서들로부터 정보를 읽고 사용자가 보기 쉽게 변환한 후, 무선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외부 데이터 서버로 전송을 하는 차량 상태 확인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개발한 시스템은 가상의 차량 상태 시뮬레이터와 실제 차량에서 테스트를 진행하였으며 발생된 차량 내부정보는 OBD-II 커넥터를 이용하여 전송하였으며, 본 시스템은 에러 및 손실 없이 해당 데이터가 수신 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 데이터를 무선 통신 모듈 이용하여 외부 서버로 데이터를 전송을 하였을 때 똑같은 데이터가 에러 없이 송신되는 것을 확인 하였다.

CAN 버스 공격에 안전한 메시지 인증 및 키 분배 메커니즘 (A Message Authentication and Key Distribution Mechanism Secure Against CAN bus Attack)

  • 조아람;조효진;우사무엘;손영동;이동훈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2권5호
    • /
    • pp.1057-1068
    • /
    • 2012
  • 차량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차량 내부에는 많은 수의 ECU(Electronic Control Unit)가 탑재되고 있다. 차량 내부에 탑재된 ECU간의 통신은 CAN(Controller Area Network)을 통해 이루어진다. CAN은 높은 신뢰성을 갖기 때문에 안전한 차량통신을 지원한다. 하지만 별도의 보안메커니즘이 적용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많은 취약점을 내포하고 있다. 최근 연구에서는 CAN의 취약점을 이용한 공격이 제시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차량 내부 네트워크에 대한 원격공격 모델을 제시한다. 또한 차량 내부 메시지의 기밀성과, 무결성을 보장하면서 동시에 리플레이 공격을 방지할 수 있는 안전한 차량 내부 네트워크 메시지 인증 메커니즘을 제시한다.

차량용 사고 상황 감지 시스템의 설계 (Design of vehicle accident situation detection system)

  • 문형관;이덕규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2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143-144
    • /
    • 2022
  • 라즈베리파이를 통하여 차량 내부의 모든 정보를 입력받아 영상처리 등을 이용하여 차량 내부를 감시 및 탐색, 위험요소 발생 시 이를 사용자에게 전달하고 직접적으로 차량 내 부저 등으로 소리를 내어서 주변 사람들에게 알려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스테인레스강 철도차량차제 설계 기술

  • 서승일
    • 한국철도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39-47
    • /
    • 2004
  • 연강(mile steel)은 철도차량 차체의 주요 재질로 오랫동안 사용되어 왔으며, 다양한 강도 특성과 저렴한 가격, 용이한 작업성등의 이유로 현재까지도 널리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연강은 부식에 취약하므로 도장작업이 필수적이고, 부식에 대한 여유로 인해 판두께의 감소가 제한적이므로 경량화가 곤란하고, 정기적인 유지보수가 필요한 단점이 있다. 반면에 스테인레스강(stainless steel)판재는 내부식성이 강하므로 무도장이 가능하고, 차체의 내구 수명이 증가하며, 유지보수가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내부식성과 고강도 특성으로 차체 판재의 두께 감소가 가능하므로 경량화에 유리하고, 차체 표면의 다양한 표면처리가 가능하므로 외관의 미려함을 높일 수 있다. 스테인레스강는 연강에 비해 상대적으로 고가의 재질이지만 유지보수 측면과 경량화에 따른 운행비용 측면에서 볼 때 철도차량 차체의 재질로서 유용성을 가지고 있어 활발히 적용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1990년대초 과천선 전동차를 시작으로 스테인레스강 철도차량이 본격적으로 개발되어 상용화되었고, 새마을호를 비롯한객차에도 스테인레스강 차체를 적용하고 있다. 국내의 스테인레스강 철도차량 제작 기술은 이제 상당한 수준에 올라와 있으며 차량의 해외 수출은 물론 기술 이전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강좌에서는 스테인레스강 철도차량 차체의 특성과 함께 설계 방법을 정리하여 봄으로써, 향후 스테인레스강 철도차량 차체의 개선 및 발전을 위한 기초로 삼고자 한다.(중략)

차량 인포테인먼트 환경에서 시간에 따른 차량 내부 발생 트래픽 예측 및 성능 비교 (Prediction and Performance Comparison of In-Vehicle Traffic over Time in a Vehicle Infotainment Environment)

  • 최수정;임유진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3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549-551
    • /
    • 2023
  •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은 차량 내부에서 정보와 엔터테인먼트 기능을 제공하는 시스템으로, 현재 급격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많은 기업이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관련 기술을 연구하고 개발하고 있다. 이는 결국 차량에서 발생하는 트래픽이 이전보다 증가하는 것을 의미한다. 차량 발생 트래픽은 모바일 트래픽과 달리 시간에 따라 뚜렷한 발생 패턴을 보인다. 이러한 특성을 고려하여 RNN, LSTM, GRU 세 가지 종류의 순환 신경망 모델을 활용하여 차량 트래픽 예측 모델을 구현하였고 시간대별 모델 성능을 비교한 결과, LSTM이 가장 우수한 성능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