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차단성

Search Result 2,463,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Morphology and Barrier Properties of HDPE/Nylon Blend (HDPE/Nylon 블렌드의 모폴로지와 투과 특성)

  • 김두호
    • The Korean Journal of Rheology
    • /
    • v.5 no.2
    • /
    • pp.125-135
    • /
    • 1993
  • 고밀도 폴리에틸렌(High density polyethlene, HDPE)내에 차단성 수지인 나일론 (Nylon)이 분산된 블렌드의 모폴로지와 유기 용제에 대한 차단성에 대해 연구하였다. 나일 론이 구형, 실린더 및 판상 구조 형태를 가지며 분산된 블렌드를 가공조건을 변화시켜 제조 하였다. 블렌드의 모폴로지가 유기 용제의 차단성에 끼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투과시 험을 하였으며 수치 모사를 통하여 투과도를 이론적으로 예측해 보았다. 동일한 나일론양에 서 분산상인 나일론이 구형 또는 실린더 형태를 갖는 경우 투과액에 대해 낮은 차단성을 보 이는데 반하여 판상구조를 갖게되는 경우에는 차단성이 크게 상승함을 관찰할수 있었다. 이 는 판상구조형태를 취함으로써 블렌드내에서의 투과액의 투과경로가 길어졌기 때문이다. 나 일론 층의 여러기하학적인 형태변화에 대해 GRM관계식 및 이를 수정한 식을 이용하여 투 과도를 예측하여 보았다. 나일론층의 중첩도가 높다고 가정한 경우가 중첩도를 낮게 생각한 경우에 비해 높은 차단성을 보임을 수정된 GRM 관계식을 통하여 알 수 있었다. 또한 나일 론 층의 폭이 증가할수록 그리고 두께가 감소할수록 높은 차단효과를 보임을 예측 할 수 있 었다.

  • PDF

Graphene Oxide/Polyimide Nanocomposites for Gas Barrier Applications (산화그래핀이 함유된 폴리이미드 나노복합막의 기체차단성 평가 및 활용)

  • Yoo, Byung Min;Lee, Min Yong;Park, Ho Bum
    • Membrane Journal
    • /
    • v.27 no.2
    • /
    • pp.154-166
    • /
    • 2017
  • Polymeric films for gas barrier applications such as food packaging and electronic devices have attracted great interest due to their cheap, light and easy processability among gas barrier materials. Especially in electronic devices, extremely low gas permeance is necessary for maintaining the device performance. However, current polymeric barrier films still suffer from relatively high gas permeance than other materials. Therefore, there have been strong needs to enhance the gas barrier performance of polymeric barrier films while keep their own advantages. Recently, graphene is highlighted as a 2D-layered material for gas barrier applications. However, owing to the poor workability and difficulty to produce in engineering scale, graphene oxide (GO) is on the rise. GO consists of oxygen-containing functional groups on surface with intrinsic 2D-layered structure and high aspect ratio, and it can be well-dispersed in aqueous polar solvents like water, resulting in scalable mass production. Here, we prepared GO incorporated polyimide (PI) nanocomposites. PI is widely used barrier polymer with high mechanical strength and thermal and chemical stability. We demonstrated that PI/GO nanocomposites could perform as a gas barrier. Furthermore, surfactants (Triton X-100 (TX) and Sodium deoxycholate (SDC)) are introduced to enhance the gas barrier performance by improving the degree of dispersion of GO in PI matrix. As a result, TX enhanced the gas barrier performance of PI/GO nanocomposites which is similar to predicted value. This finding will provide new insight to polymer nanocomposites for gas barrier applications.

Preparation and UV-Protective Properties of Chitin and Chitosan Particles (키틴 및 키토산 미립자의 제조 및 자외선 차단 특성)

  • Cho, Suk-Hyung;Kim, Young-Jun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0.11b
    • /
    • pp.1005-1009
    • /
    • 2010
  • 자외선을 막아주고 피부에 안정한 자외선 차단성을 갖는 고분자 미립자를 키틴 및 키토산 미립자에 p-amino benzoic acid(PABA), parsol MCX, parsol 1789를 공유결합시키거나 캡슐화시켜 제조하였다. 자외선 차단성을 갖는 고분자 미립자의 자외선 차단성은 우수하였다. 그리고 피부에 대한 안정성과 독성을 in vivo로 평가한 결과 기존의 화학 자외선 흡수제 보다 안정하였다.

  • PDF

Study on the Sun Protection Factor(SPF) Test Method for Sun Product Water Resistance (내수성 자외선 차단제의 자외선 차단지수 평가방법 연구)

  • Mun, Kyoung-Jin;Kim, So-Un;Mun, Ju-Hee;Kim, Soo-Jin;Kim, A-Young;Moon, Tae-Kee;Kim, Nam-Soo
    • Journal of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 /
    • v.34 no.1
    • /
    • pp.63-66
    • /
    • 2008
  • Sunscreen is usually used by people when they are at the beach or outdoor swimming pools. Since the existing methods of and standards for measuring the effects of blocking ultra violet rays do not employ water resistance test methods, the establishment of a water resistance SPF test method is required. In this study, to standardize the SPF evaluation methods for a water resistant sunscreen, proposed measurement methods in this study were compared with those of foreign countries. Selected water resistance SPF experiments confirmed the product's suitability and a verification test was then conducted by establishing the variables of water resistance SPF measurement methods. In the comparative experiment on water resistance SPF given a water temperature of $23{\sim}32$ degrees centigrade showed that temperature did not have any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water resistance SPF. The changing water flow also did not have any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water resistance SPF. Therefore, continuous 20 min water circulation is deemed appropriate as an alternative to the subject's usual activity.

Ecological Assessment Technique of Connectivity to Disconnected Floodplains by Levee (격리차단된 제내지 하천환경의 생태적 연계성 평가 기술)

  • Cho, Kang-Hyun;Jin, Seung-Nam;Cho, Hyunsu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7-7
    • /
    • 2017
  • 범람파동 개념에 따르면 하도와 홍수터의 횡적 연결성은 하천 생태계의 생물다양성과 생산성 증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제방에 의하여 제내지 홍수터가 하도와 차단된 우리나라 하천에서 생태적 서비스를 증대하기 위해서 횡적 연결성을 복원하는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 횡적 연결성의 복원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우선 하도와 홍수터 사이에 생태적 연결성의 현황을 파악하고 연결성을 저해하는 요인을 진단하는 평가 기술 개발이 시급히 요청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제방에 의하여 차단된 제내지 하천환경에서 수리적, 생태적 횡적 연결성을 평가하고 진단하는 기술을 개발하고 연결성 회복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차단된 제내지 하천환경 평가는 1)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하여 차단된 하천공간을 탐색하고, 2) 탐색된 전체 재내지에서 원격평가에 의하여 간편하게 횡적 연결성 평가를 실시하고, 3) 선정된 특정 제내지 대상지에서 현장평가에 의하여 상세하게 연결성을 평가하는 순서로 수행된다. 차단된 하천공간의 획정은 홍수가 범람할 수 있는 제내지 공간을 잠재적 하천공간으로 정의하고 수치표고모델 (DEM)과 하천기본계획의 30년 빈도 홍수위 자료를 이용하여 제내지 홍수터를 탐색하였다. 제내지 홍수터의 원격 연결성평가는 지리정보시스템에서 수치지도와 토지피복도 등 공간자료를 이용하여 수리 및 서식처 환경성, 제방 차단성과 하도 및 육상 연결성을 평가하고 원격평가 결과를 토대로 현장평가 대상지를 선정하였다. 횡적 연결성의 현장평가를 위하여 크게 하도-홍수터 연결성과 제내지 서식처 보존성으로 평가 항목을 선정하였다. 또한 연결성 평가는 수리연결성과 생물연결성으로, 서식처 보존성 평가는 습지유지율, 습지보존성, 육역지보존성을 세부항목으로 구성하였다. 평가 항목별로 5 등급의 평가 기준에 따라서 평가 점수를 부여하고 평가 총점을 산출하여 최종 연결성 평가 등급을 5 단계로 구분하였다. 현장평가를 위한 MS Access 기반 소프트웨어를 개발하여, 데이터 입력과 관리 및 평가 결과 산출과 비교를 편리하게 하였다. 개발된 제내지 하천환경 평가법을 청미천과 만경강에 적용하여 검증하였다. 개발된 평가법을 바탕으로 차단된 제내지 하천환경에서 연결성 회복에 따른 어류와 식생의 분포를 예측하는 수리생태 결합모델을 개발하였다. 먼저 차단된 제내지에서 연결 수로를 복원하여 유속, 수심 분포를 준이차 수리수문 모델로 예측하였다. 예측된 수리 환경에 따라서 지표어종의 서식처 적합도 지수 (HSI)를 이용하여 서식 분포 확률을 모의하였다. 또한 일반화가법모델 (GAM)을 이용하여 환경구배에 의한 우점식생의 분포를 예측하였다. 차단된 제내지 하천환경의 생태적 연계성 평가 기술을 기반으로 제방제거, 제방후퇴, 제방고 하강, 수문 및 연결수로 개선, 생물이동 저해 장벽 제거 등의 다양한 복원기술이 개발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Adult Image Blocking using Feature Extraction based BP Neural Network (특징 추출 기반 BP 신경망을 이용한 성인 영상 차단)

  • Kim, Jong-Il;Lee, Jung-Suk;Ahn, Hyun-Sik;Jeong, Gu-Min;Kim, Do-Hyu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5.10b
    • /
    • pp.349-351
    • /
    • 2005
  • 현재 다양한 인터넷 콘텐츠들에 의해 많은 정보가 공유되고 있으며, 유익한 정보들과 더불어 성인물과 같은 유해한 정보들이 있다. 이로 인하여 여러 문제점들이 야기되고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들이 제안되고 있다. 그 중에서 성인 영상 차단을 위한 연구도 많이 행해지고 있으며 주로 색상을 이용한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살색과 유사한 영상이나 노출이 심한 영상에는 성인 영상 검출의 신뢰성이 떨어지는 단점을 갖는다. 본 논문에서는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새로운 성인 영상 차단 방법을 제안한다. 기존의 제안된 살색 검출을 이용한 방법을 기반으로 성인 영상물로 판정될 수 있는 신체 부위를 검출함으로써 강인한 성인 영상 차단을 한다. 신체 부위에 대한 판별을 위해 여러 기저 영상에서 특징 벡터를 추출하고. 이 벡터를 Back Propagation(BP) 신경망의 데이터로 이용하여 학습한다. 제안한 성인 영상 차단 방법의 성능을 여러 장의 살색과 유사한 색상의 물체 영상과 노출이 심한 영상, 성인 영상을 이용한 종합적인 실험 결과인 성인 영상 검출률을 통해 증명한다.

  • PDF

Preparation of blocking ultraviolet mica composites using Nano-TiO2 (Nano-TiO2를 이용한 자외선차단 마이카 복합체 제조)

  • Yun, Ki Hoon;Lee, Jaebok;Moon, Young-Jin;Go, Hee Kyoung;Lee, Yi;Lee, Dong-Kyu
    • Journal of the Korean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 /
    • v.35 no.4
    • /
    • pp.1197-1205
    • /
    • 2018
  • UV protection cosmetics belong to functional cosmetics and contain organic or inorganic UV blocking pigments. The inorganic UV blocking pigments are mainly zinc oxide and titanium dioxide. It is known that inorganic UV blocking pigment has a diameter of 60 to 100 nm and has good blocking ability of UVA and UVB. Also, it has high inactivity against sunlight including UV and is excellent in safety. In addition, it is not absorbed or accumulated on the skin like organic pigments and does not cause skin irritation or allergy. In this study, mica, a plate-shaped inorganic pigment, nanosized titanium dioxide, an UV blocking material, and hydrophobic silica were surface-treated with surfactants. And then, titanium dioxide nanoparticles and silica were physically adsorbed on the mica by non-chemical mutual attraction due to differences in charge. Thereafter, the mica complex was surface-treated with silane to prepare a hydrophobic UV blocking pigment complex. The plate-shaped UV blocking composite improves the cohesiveness of a general nanoparticle material titanium dioxide, enhances UV blocking effect due to uniform dispersion, and can greatly improve dispersion stability in cosmetic formulations by surface treatment with hydrophobic property. The surface charge of the pigment was evaluated by zeta potential. The properties of the UV blocking pigment complex were evaluated by FE-SEM, XRD, FT-IR and UV-VIS.

A Test to Compare the Water Resistance Sun Protection Factor of General Water, Artificial Seawater, and Natural Seawater of Sunscreen (자외선 차단제의 일반 물, 인공 해수, 자연 해수의 내수성 차단지수를 비교하기 위한 시험)

  • Hyoung Hoon Hwang;Eun Young Kang;Su Yeong Kim;Hui Jeong Jung;Jun Seong Yang;Won Kyu Hong;Hong Suk Kim
    • Journal of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 /
    • v.49 no.4
    • /
    • pp.349-354
    • /
    • 2023
  • Sunscreen is a product that protects against ultraviolet rays by blocking and scattering ultraviolet rays, and has now become a daily necessity beyond cosmetics. Applying sunscreen is a common and easy way to prevent skin damage caused by ultraviolet rays. Due to its significance, the evaluation of sunscreen has evolved since its regulation by the FDA in 1978, progressing to standardized methods established by ISO. Additionally, to assess the loss of sunscreen due to activities such as water exposure or sweating, th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in Korea and ISO have established protocols for evaluating the water-resistant sun protection factor (SPF). However, existing evaluations of water resistance have been mainly confined to test methods involving plain water, and methods accounting for the impact of seawater during activities like beach leisure, sports, and recreation are yet to be established. Based on the existing guidelines for testing the water-resistant UV protection index, this study compared the water-resistant UV protection index in water, artificial seawater (salt water) and natural seawater (sea water) to evaluate the UV protection index in real-world situations such as marine leisure, sports, and leisure activities. Through these results, we were able to compare the differences between water resistance sun protection index tests in ordinary water, artificial seawater, and natural seawater, and suggest a method for water resistance sun protection index tests using natural seawater.

국내산 해조류 중의 자외선 흡수 물질의 분포

  • 박진희;박병직;한태준;구재근;조만기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0.10a
    • /
    • pp.187-188
    • /
    • 2000
  • 최근 자외선 차단제의 사용이 증가하면서 자외선 차단제 도포로 인한 자극성 피부염, 접촉 피부염, 광알레르기성 또는 광독성 피부염 등의 보고가 증가하고 있어 피부에 자극이나 알레르기 반응, 독성을 나타내지 않는 적절한 천연소재 자외선 차단제의 개발에 대한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자외선 차단제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확보하기 위하여, 국내산 해조류 중의 자외선 흡수 물질의 분포를 조사하였다. (중략)

  • PDF

Effects of Packaging Materials and Storage Temperature on the Shelf-life of Korean Grinded Yam (포장재료와 보관온도에 따른 갈은 마의 저장수명 및 품질변화에 관한 연구)

  • Ko, Eui Suk;Won, Jong Hwa;Jin, Hyung Seok;Song, Kihyeon;Jeon, Kyu Bae;Kim, Jai Neung
    • KOREAN JOURNAL OF PACKAGING SCIENCE & TECHNOLOGY
    • /
    • v.20 no.3
    • /
    • pp.103-111
    • /
    • 2014
  • This study analyzed effects of packaging materials and storage temperature on the shelf-life of Korean grinded yam. For experimental measurement, experimental groups were used $PET(12{\mu}m)/Al(9{\mu}m)/LLDPE(60{\mu}m)$ as opaque barrier packaging material and $PET(12{\mu}m)/PE(20{\mu}m)/VM-PET(12{\mu}m)/PE(25{\mu}m$) and barrier $NY(15{\mu}m)/LLDPE(60{\mu}m$) as transparent barrier packaging material. Control group were used normal $NY(15{\mu}m)/LLDPE(65{\mu}m)$. The grinded yam stored at refrigeration temperature ($5^{\circ}C$) and room temperature ($20^{\circ}C$C) for 8 days. Changes in color, pH, viscosity, microorganisms and sensory characteristics were measured. In the grinded yam L and ${\Delta}E$ value were not changed rapidly at refrigeration temperature. However L and ${\Delta}E$ were rapidly changed in all of packaging materials at room temperature. In two temperature condition, pH and viscosity were decreased during storage but pH was increased at $5^{\circ}C$ after 4 days. PET/Al/LLDPE and PET/PE/VM-PET/PE inhibited the growth of microorganisms effectively. PET/AL/LLDPE which is a high barrier packaging material showed the best in two temperature condi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