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차광율

Search Result 197,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Quantification of the Distribution of the Internal Lesions of Sweet Potatoes Over Storage Periods (저장 기간에 따른 고구마 내부 병변의 분포 정량화)

  • Ji-Woo Jung;Dong-Il Lee;Seong-Young Choi;Roshanzadeh Amir;Eung-Sam Kim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0.12a
    • /
    • pp.66-66
    • /
    • 2020
  • 쌈채소나 산나물로 알려진 곤달비(Ligularia stenocephala)의 종자나 종묘는 시장 거래가격이 높게 형성되어 재배농가의 경영비 증가로 이어지고 있다. 또한, 곤달비의 종자는 대개 농가 자가 채종으로 생산되며, 채종재배에 대한 체계가 정립되어 있지 않다. 이에 본시험은 곤달비의 우량종자 생산을 위한 종자결실률 향상 재배조건과 채종적기를 구명하고자 하였다. 전북 남원시 허브산채시험장에서 2018년 10월에 2년생 곤달비 종묘를 포장에 정식하여 시험을 실시하였다. 적정 채종 재배조건을 구명하기 위해 2019년 노지, 하우스, 55% 차광막을 설치한 노지포장에서 곤달비의 개화시기, 개화율, 생육특성, 결실률 등을 조사하였다. 더불어 채종적기를 설정하기 위해서 곤달비 개화 후 50일~100일 동안 7일 간격으로 채종하여 결실률, 채종량, 종자 발아율을 조사하였다. 곤달비의 개화는 하우스재배, 노지재배의 경우 7월 하순, 차광재배는 8월 초순 개화가 시작되었으며, 개화 최성기도 하우스재배와 노지재배가 차광재배와 비교해 15일 정도 일렀다. 하지만 개화 종료 시기는 노지재배가 가장 빨랐으며 하우스재배가 가장 늦었다. 개화율은 하우스재배, 차광재배, 노지재배 순으로 높았다. 개화기 생육특성는 차광재배일 때 초장과 화경장이 가장 컸으며, 화서수와 자방수는 하우스재배가 타 재배방법에 비해 다소 많았다. 곤달비 재배방법에 따른 결실률은 차광재배가 70.1%, 노지재배가 21.9%, 하우스재배가 15.8%이었으며, 채종량은 차광재배의 경우 10a당 39.6kg, 노지재배 4.9kg, 하우스재배 4.6kg이었다. 백립중과 종자길이, 종자너비 또한 차광재배가 타 재배방법에 비해 양호하였다. 채종시기에 따른 결실률은 채종시기가 늦어질수록 높은 값을 가졌으나, 화경당 채종량은 개화 후 70일에 85일 사이에 가장 많았다. 발아율은 노지재배의 경우 개화 후 70일 이후부터 90% 이상으로 높은 발아율을 보였고, 차광재배는 개화 후 65일부터 95% 이상의 발아율을 나타냈으나 하우스재배의 경우에는 개화 후 80일 이후부터 85% 이상으로 발아율이 양호하였다. 따라서 곤달비의 우량종자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55% 차광막을 설치한 노지에서 재배하여 개화 후 65일 이후부터 종자가 비산하기 전까지 채종해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

  • PDF

Optimum Culture Condition and Seed Harvesting Time For the Superior Seed Production in Ligularia stenocephala (곤달비 우량종자 생산을 위한 적정재배 조건 및 채종시기)

  • Song Hee Ahn;Jung Seob Moon;Gue-Saeng Yeom;Jin Ho Yang;Min Sil Ahn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0.08a
    • /
    • pp.66-66
    • /
    • 2020
  • 쌈채소나 산나물로 알려진 곤달비(Ligularia stenocephala)의 종자나 종묘는 시장 거래가격이 높게 형성되어 재배농가의 경영비 증가로 이어지고 있다. 또한, 곤달비의 종자는 대개 농가 자가 채종으로 생산되며, 채종재배에 대한 체계가 정립되어 있지 않다. 이에 본시험은 곤달비의 우량종자 생산을 위한 종자결실률 향상 재배조건과 채종적기를 구명하고자 하였다. 전북 남원시 허브산채시험장에서 2018년 10월에 2년생 곤달비 종묘를 포장에 정식하여 시험을 실시하였다. 적정 채종 재배조건을 구명하기 위해 2019년 노지, 하우스, 55% 차광막을 설치한 노지포장에서 곤달비의 개화시기, 개화율, 생육특성, 결실률 등을 조사하였다. 더불어 채종적기를 설정하기 위해서 곤달비 개화 후 50일~100일 동안 7일 간격으로 채종하여 결실률, 채종량, 종자 발아율을 조사하였다. 곤달비의 개화는 하우스재배, 노지재배의 경우 7월 하순, 차광재배는 8월 초순 개화가 시작되었으며, 개화 최성기도 하우스재배와 노지재배가 차광재배와 비교해 15일 정도 일렀다. 하지만 개화 종료 시기는 노지재배가 가장 빨랐으며 하우스재배가 가장 늦었다. 개화율은 하우스재배, 차광재배, 노지재배 순으로 높았다. 개화기 생육특성는 차광재배일 때 초장과 화경장이 가장 컸으며, 화서수와 자방수는 하우스재배가 타 재배방법에 비해 다소 많았다. 곤달비 재배방법에 따른 결실률은 차광재배가 70.1%, 노지재배가 21.9%, 하우스재배가 15.8%이었으며, 채종량은 차광재배의 경우 10a당 39.6kg, 노지재배 4.9kg, 하우스재배 4.6kg이었다. 백립중과 종자길이, 종자너비 또한 차광재배가 타 재배방법에 비해 양호하였다. 채종시기에 따른 결실률은 채종시기가 늦어질수록 높은 값을 가졌으나, 화경당 채종량은 개화 후 70일에 85일 사이에 가장 많았다. 발아율은 노지재배의 경우 개화 후 70일 이후부터 90% 이상으로 높은 발아율을 보였고, 차광재배는 개화 후 65일부터 95% 이상의 발아율을 나타냈으나 하우스재배의 경우에는 개화 후 80일 이후부터 85% 이상으로 발아율이 양호하였다. 따라서 곤달비의 우량종자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55% 차광막을 설치한 노지에서 재배하여 개화 후 65일 이후부터 종자가 비산하기 전까지 채종해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

  • PDF

Analysis of Cooling Effect on the Plastic Film Cover of Greenhouse Module Depending on the Shade and Water Curtain (온실지붕 차광과 수막 수준에 따른 냉방효과 분석)

  • Kim, Young-Bok;Park, Joong-Chun;Lee, Seung-Kyu;Kim, Sung-Tae;La, Woo-Jung;Huh, Moo-Ryong;Jeong, Sung-Woo
    •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 /
    • v.15 no.4
    • /
    • pp.306-316
    • /
    • 2006
  • In this study, the effect of the shade level, water flow rate applied to the shades and the temperature of water on the greenhouse cooling was investigated depending on the shade level of 0, 35, 55, 75%, and water flow rate and water temperature by the test on the small wooden frames to find out the low cost cooling method. With increasing of the dry bulb temperature of outside air, the dry bulb temperature in the wooden frames increased. For the frames with the shade and water, inside temperatures of the frames were lower of -0.2$\sim$-1.2$^{\circ}C$ than the temperature of the outside air and higher than the water temperature. For the frames without water, inside temperatures of the frames were higher of 1.7$\sim$4$^{\circ}C$ than the outside and not affected by the shade level very much. The water flow rate and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were not the important factors to decrease the inside temperatures in the frames. The black globe temperature became lower with increasing of shade level. The shade frames with water curtain showed the best cooling effect because of reducing thermal radiation and cooling the plastic film cover. The surface temperatures of the plastic film cover for the water supplied modules became lower with increasing of the shade level. The relative humidity was decreased with the dry bulb temperature in the frame increasing and not affected by the dry bulb temperature of the outside air for the frames with the shade and water.

Optimum Culture Condition and Seed Harvesting Time For the Superior Seed Production in Wild Vegetable (산채류 우량종자 생산을 위한 적정재배 조건 및 채종시기)

  • Ahn, Song Hee;Moon, Jung Seob;Lee, Yong Mun;Yang, Jin Ho;Kim, Dong Won;Ahn, Min Sil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9.04a
    • /
    • pp.84-84
    • /
    • 2019
  • 산채류의 종자 및 종묘는 시중 거래가격이 높게 형성되어 재배농가의 경영비 증가로 이어지고 있다. 특히 산채 꾸러미에 분류되는 작물 중 개미취(Aster tataricus), 섬쑥부쟁이(Aster glehnii ), 우산나물(Syneilesis palmata)은 주로 종묘의 형태로 공급되어 수급이 안정치 못하다. 이에 본시험은 개미취, 섬쑥부쟁이, 우산나물의 우량종자 생산을 위한 종자 결실률 향상 재배조건과 채종적기를 구명하고자 하였다. 시험작목을 전북 남원시 허브산채시험장에서 2016년 4월에 종묘를 노지에 정식하였다. 적정 채종 재배조건을 구명하기 위해 2018년 노지, 하우스, 55% 차광막을 설치한 처리구별 각 작물의 개화시기, 개화율, 생육특성, 결실률 등을 조사하였다. 또한 채종적기를 설정하기 위해서 각 작물별 개화 후 50일, 70일, 90일, 110일, 130일 간격으로 채종하여 결실률과 종자 발아율을 조사하였다. 개화가 시작된 일자는 개미취의 경우 하우스재배, 노지재배, 차광재배 순으로 빨랐으며 섬쑥부쟁이는 노지재배에서 개화시기가 가장 늦었다. 모든 작물의 개화가 종료되는 시점은 처리 간 차이가 없었다. 개화율은 개미취와 섬쑥부쟁이는 노지재배, 하우스재배, 차광재배 순으로 많았으며 우산나물은 노지재배시 개화율이 9.3%로 매우 낮았다. 개화기 생육특성을 조사한 결과 개미취는 초장과 엽폭이 차광재배, 하우스재배, 노지재배 순으로 커지는 경향이었으며, 섬쑥부쟁이는 하우스 재배에서 타 재배방법에 비해 우수하였다. 우산나물은 차광재배에서 생육이 가장 좋았다. 결실률은 개미취와 섬쑥부쟁이는 재배방법에 상관없이 결실률이 60%이상이었다. 반면 우산나물은 평균 31%로 타작물에 비해 상대적으로 결실률이 낮았으며 차광 재배일 때 43%로 가장 결실률이 좋았다. 개미취는 개화 50일 이후부터 종자 결실률이 65%이상으로 높았으며, 섬쑥부쟁이의 결실률은 개화 후 50일이 가장 좋았으며, 그 이후로 점차 결실률이 떨어지는 경향이었다. 우산나물은 개화 후 90~110일경에 가장 결실률이 높은 경향이었다. 개미취는 개화 후 70일일 때 가장 발아율이 낮았으며, 90일일 때 가장 발아율이 좋았다. 섬쑥부쟁이의 발아율은 개화 50일 이후부터 최종 채종시기까지 80%이상으로 우수하였다. 우산나물은 채종시기에 따라 발아율 정도가 매우 상이하여, 채종시기가 늦어질수록 발아율이 높아졌다. 따라서 개미취는 하우스 재배를 통해 개화 후 90일 때 채종하는 것이 가장 발아율이 좋았으며, 섬쑥부쟁이는 차광재배일 경우 개화 50일 이후에는 발아율이 90% 이상이므로 이때부터 종자비산 전까지가 채종적기로 판단된다. 우산나물은 타작물에 비해 다소 결실률이 떨어지나 차광재배 시 개화 110일 후 우량종자를 채종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 PDF

Studies on the grassland Development in the Forest V. Effect of sharing degrees on the early growth characteristics and winter survival of main grasses (임간초지 개발에 관한 연구 V. 차광정도가 주요 초목의 초기생육과 월동에 미치는 영향)

  • Park, M.S.;Seo, S.;Han, Y.C.;Lee, J.Y.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and Forage Science
    • /
    • v.6 no.1
    • /
    • pp.38-43
    • /
    • 1986
  • This field experiment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shading degrees (0 : full sunlight, 25, 50 and 75%) on the early growth characteristics and winter survival of grasses. For the test different artificial shading houses were established and pasture species used were orchardgrass, timothy and perennial ryegrass. The experiment was performed at Livestock Experiment Station in Suweon, and sowing date was Aug. 25, 1984.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 1. Generally, root length, new root length, number of new root and tillers of grasses were increased at 0% (full sunlight) of shading, followed by 25, 50 and 75% of shading degrees, in that order. Plant length and leaf elongation, however were increased at 50% of shading, followed by 75, 25 and 0%. 2. The percentage of winter killing of grasses was significantly (P<0.05) increased as the shading degrees increased. Also the percentages of winter killing were 10.1% in orchardgrass, 9.5% in timothy and 14.2% in perennial ryegrass, respectively. 3.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were observ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winter killing and tillers, new root length and number of new root of grasses. However,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winter killing and plant length or leaf elongation under shading conditions. 4. As the shading degrees are increased by 0, 25, 50 and 75%, the NAR of grasses was tended to be decrease to 10.98, 11.52, 9.81 and 6.12 g/$m^2$/day, in that order. Also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r=-0.5943*) between winter killing and NAR of grasses, and NAR of orchardgrass, timothy and perennial ryegrass were 8.58, 8.53 and 11.71 g/$m^2$/day, respectively.

  • PDF

Effects of Blackout Certain to Improve Quality of Onion(Allium cepa. L) under Room Temperature (양파 간이 저장시 차광조건이 품질에 미치는 영향)

  • 이찬중;김희대;정은호;하인종;서전규
    • Food Science and Preservation
    • /
    • v.8 no.4
    • /
    • pp.362-366
    • /
    • 200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reduce degradation of marketability by the rot and discolor of onion bulbs under room temperature from 1977 to 1998. Allium cepa cv. Changnyungdeago, late strain, was used for the test at the storage condition of non-shading, 55% and 95% shadings.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The mean temperature was maintained lowly 1.0∼2.9$\^{C}$ in 55% and 2.0∼3.8$\^{C}$ in 95% shadings in contrast to nun-shading, but the relative humidity was a tittle higher in high shading than other shading condition. The illumination and color density maintained lowly in high shading. After 21 days of storage, the rate of discolored onion bulb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non-shading(90.0%) than 55%(35.7%) and 95%(13.3%) shadings. The rotting rate by the end of August was a little decreased at 55%(25.4%) and 95% shadings(26.5%) in contrast to non-shading(28.9%), and total weight loss was maintained lowly in high shading.

  • PDF

Influence of Shading on Early Growth of Cardamine komarovii Nakai (차광조건이 는쟁이냉이 초기생육에 미치는 영향)

  • Kim, Do Hyun;Kim, Sang Geun;Song, Chi Hyeon;Im, Hyeon Jeong;Choi, Kyu Seung;Oh, Beom Seok;Kim, Yang Su;Song, Ki Seon;Won, Chang O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9.10a
    • /
    • pp.40-40
    • /
    • 2019
  • 는쟁이냉이는 전국 각지 산지의 응달이나 물가에서 자생하는 여러해살이풀이다. 3월 경 눈을 뚫고나와 가장 이른 봄나물로 식용하기도 한다. 특유의 매운 맛이 있어 식용작물로 발전가능성이 높은 식물종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는쟁이냉이 재배기술 정립을 위한 기초자료 수집의 일환으로 수행되었다. 차광에 따른 는쟁이냉이 생육특성을 비교 분석하기 위해 경북 봉화군 소재 국립백두대간수목원 양묘장 노지에 무차광, 40% 차광, 55%차광, 65%차광 처리구를 배치 후, 실험을 진행하였다. 생육특성의 비교를 위해 초장, 초폭, 엽 수, 엽길이, 엽너비, 엽병길이, SPAD 값 총 7가지 항목에 대해 생장기(6월), 휴면기(9월) 두 차례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 모든 측정값이 차광구가 무차광구보다 높게 나타났다. 또한 무차광구는 6월 조사 이후, 7월 말까지 생장량이 줄어들다가 전량 지상부 고사가 발생하여 는쟁이냉이 재배를 위해서는 차광처리가 필수적으로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측정항목 중 초장, 초폭, 엽길이, 엽너비, 엽병길이는 차광율이 높을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엽록소함량을 추정할 수 있는 SPAD 값은 40% 차광구가 가장 높았고 55%차광구, 65%차광구에서는 오히려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엽 수도 40% 차광구가 가장 높았다. 위 결과를 종합해볼 때, 는쟁이냉이 재배 시 55% 이상의 차광율을 적용하면 잎 자체의 크기 증대를 기대할 수 있으며, 40% 수준의 차광율을 적용하면 잎 수와 혁질의 잎을 생산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다만, 본 실험은 는쟁이냉이 재배 생산량에 대한 부분에 집중하였고 상품화를 위해서는 품질에 관한 연구가 추가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Proper Light Intensity, Potting Media and Fertilization Level for Potted Hepatica asiatica Nakai (노루귀의 분화재배를 위한 적정 광도, 분용토 및 시비수준)

  • Jeong, Kyeong Jin;Jeon, Hyeon Sik;Chon, Young Shin;Yun, Jae Gill
    • Hort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 /
    • v.33 no.1
    • /
    • pp.24-30
    • /
    • 2015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elect proper light intensity, pot media, and fertilization level for potted Hepatica asiatica Nakai native to Korea. The plants were grown under various light intensities (shading rate, 52, 82, 90, 97%) imposed by shading net. Plants grown with 52% shading showed a low survival rate (65%). Survival rate increased as shading increased, with over 80% survival in shading above 90%. Growth indexes such as fresh weight and leaf number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hading treatments. Plants grown in a soil mixture of decomposed granite:fertilizer-amended media:Kanumatsuchi (60:10:30, v/v/v) or river sand:fertilizer-amended media:bark (50:20:30) showed over 85% survival. However, plants grown in a soil mixture of river sand:fertilizer-amended media:Kanumatsuchi (50:30:20) or upland:river sand (40:60) showed very low survival, below 60%. Leaf number and plant height were the highest in a soil mixture of decomposed granite:fertilizer-amended media:Kanumatsuchi (60:10:30) as well. To select a proper fertilization level for H. asiatica, hyponex solution diluted 1,000- or 2,000-fold were applied weekly or biweekly. The survival rate was lowest at weekly application with 1,000-fold diluted solution, and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between other treatments. In conclusion, H. asiatica exhibits preferences for very low light intensity and soil with air permeability, and is adaptable to a broad range of fertilization levels.

Physiological Responses of Rhododendron mucronulatum and R. indicum with Shading Treatment in Autumn Season (가을철 차광 처리에 따른 진달래와 영산홍의 생리적 반응)

  • Lee, Kyung-Jae;Song, Ki-Sun;Chung, Young-Suk;Yoon, Taek-Seong;Hong, Sung-Kwon;Kim, Jae-Hyun;Lee, Sang-Woo;Kim, Jong-Jin
    • Hort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 /
    • v.28 no.3
    • /
    • pp.403-408
    • /
    • 2010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physiological responses of $Rhododendron$ $mucronulatum$ Turcz. and $R.$ $indicum$ (L.) Sweet seedlings with 0%, 35%, 55% and 75% shading of full sunlight in polyethylene film house. The shading treatments were performed during the late growth season for each species (from Sept. 9 to Nov. 5, 2008). The shading treatment was effective in reducing the daily temperature by 0.9 to $1.7^{\circ}C$ during September and by 0.8 to $1.7^{\circ}C$ during October. Before the shading treatments, the water content of $R.$ $mucronulatum$ and $R.$ $indicum$ amounted to 68.5% and 66.3%, respectively. The water contents of two species after 75% shading treatment period decreased to 66.2% (3.4% reduction) and 65.9% (0.6% reduction), respectively. Notably, both species had a similar tendency indicating less reduction rate of water content with 75% shading. $R.$ $indicum$ showed higher photosynthetic capacity with higher level of shading, and its photosynthetic capacity reached the highest level ($9.63{\mu}mol{\cdot}m^{-2}{\cdot}s^{-1}$). On the other hand, shading-treated $R.$ $indicum$ showed higher intercellular $CO_2$ concentration, stomatal conductance and transpiration rate (55% shading > 35% shading > 75% shading) than non-treated ones. In addition, non-treated seedlings showed higher water use efficiency than treated ones. In particular, it was found that the leaf color of $R.$ $mucronulatum$ turned equivalent to purple under full sunlight, while its leaf color kept equivalent more to green with higher level of shading, as evidenced even in naked eyes. According to comprehensive analysis using Munsell Color Chart on potential leaf color variations of $R.$ $mucronulatum$ depending on the level of shading, it was found that relatively many leaf colors under full sunlight were equivalent to R (red) and Y (yellow) chart, while relatively many leaf colors with higher level of shading were equivalent to G (green) and Y chart, where the latter still showed green color.

Acclimatization and Growth Characteristics of Plantlets of Eleutherococcus senticosus Maxim Cultured by Bioreactor (생물반응기에서 배양한 가시오갈피 유식물체의 순화 및 생육특성)

  • Li, Cheng-Hao;Lim, Jung-Dae;Kim, Myong-Jo;Kim, Na-Young;Yu, Chang-Yeon
    •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 /
    • v.13 no.4
    • /
    • pp.133-137
    • /
    • 2005
  •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find the optimal acclimatization conditions for Eleutherococcus senticosus plantlets regenerated from bioreactor cultured somatic embryos, various acclimatizing conditions were compared regarding both survival rate and growth of the plantlets. Among the various temperature and artificial soil tested, the highest survival rate (88%) was observed when plantlets were acclimatized in Klasmann bed soil at $10^{\circ}C$ When in vitro plantlets directly transplanted to field environment, shading treatment was necessary and 50% shading was more effective than 30% shading. Transplanting season were also important for successful acclimatization of in vitro cultured plantlets, transplanted on March 20 with 50% shading exhibited the best survival rate and further grow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