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집진효율

검색결과 207건 처리시간 0.023초

조합형 전기집진기를 이용한 집진효율 특성 (Characteristics of efficiency by using the combined electrostatic precipitator)

  • 김용진;정상현;홍원석;황태근;옥영욱;김두현;하병길;함병훈
    • 한국대기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대기환경학회 1999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42-243
    • /
    • 1999
  • 전기집진기는 산업 분진 및 폐가스 집진을 위해 널리 이용되며, 고전기 저항 분진에 의한 집진극 표면의 역전리가 전기집진기에서 가장 큰 문제이다. 이런 역전리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가스온도 제어, 가스조건, 하전 제어 등 다양한 방법이 시도되고 있다. 전기집진기에서 고 비저항 분진 및 역전리의 영향으로부터 높은 집진효율을 얻기 위한 방법 중 하나로 이동 전극형 방식(Moving Electrode Electrostatic precipitator, MEEP)과 고정전극형 (Fixed Electrode Electrostatic precipitatior, FEEP)에 펄스하전 방식으로 구성된 조합형 전기집진기가 개발되고 있다.(Toshiaki Misaka etc. 1996)(중략)

  • PDF

전기싸이클론의 집진효율 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Characteristics of Particle Collection Efficiency for Electrocyclone)

  • 임경수;이규원
    • 한국대기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대기환경학회 1999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39-241
    • /
    • 1999
  • 싸이클론 집진장치는 구조 및 운전이 간단하여 비용이 적게 들고 유입 기체 온도에 대한 넓은 운전 범위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여러 산업공정에서 분진을 제어, 분리하는데 널리 사용하는 집진장치중의 하나이다. 하지만 미세 입자에 대해서는 낮은 집진효율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방법으로 기존 싸이클론에 전기적 특성을 이용한 전기싸이클론(Electrocyclone)이 사용되었다.(중략)

  • PDF

1T/D Bench급 석탄가스화 복합 발전용 고온.고압 집진 공정 설계 (Design of 1 Ton/Day bench scaled- Particulate Removal Process for IGCC at High Temperature High Pressure)

  • 최주홍;박영철;정진도;김종영
    • 한국에너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에너지공학회 1995년도 춘계학술발표회 초록집
    • /
    • pp.146-149
    • /
    • 1995
  • 석탄 가스화 복합발전 시스템(IGCC)에서 집진은 가스 터빈의 입자에 의한 마모와 침식으로부터의 보호와 분진 배출의 환경 규제를 만족하기 위한 필수 공정이다. 특히 고온고압에서 집진이 수행되면 시스템의 열효율 향상은 물론 가스정제 시스템을 간단히 함으로써 건설비와 운전비의 절감에도 큰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석탄 가스화 공정에서 평균 입경이 2 - 3$\mu\textrm{m}$의 입자가 10g/m이상으로 발생되는 농도를 10mg/m이하로 처리하기 위하여 많은 집진 시스템이 제안되고 있지만 IGCC에 도입하기 위한 집진시스템으로서 세라믹 캔들 필터가 제일 타당하다. 세라믹 캔들 필터로 절데 집진 일경이 5$\mu\textrm{m}$이하이고 전체 집진 효율을 99.6% 이상 수행할 수 있다. 세라믹 필터를 이용한 상용화 개발 현황은 현재 세계적으로 bench급, pilot급, 그리고 상용화급 IGCC공정에 도입되어 그 성능이 검정되고 있으며 본 시스템의 내구성과 안정성이 상용화에 충족한 것으로 판명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고온고압용 세라믹 필터 집진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하여 제작된 bench급 집진 공정 및 세라믹 필터설계의 기술적 문제점을 소개하였다.

  • PDF

다단 다공성 플레이트 집진 시스템의 최적 설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ptimal Design of Multistage Porous Plate System)

  • 조용수;김경동;이현종;여석준
    • 한국대기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대기환경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95-296
    • /
    • 2002
  • 대기오염의 심각성으로 인해 대기오염물질 배출규제가 더욱 더 강화되어짐에 따라 각 산업체에 설치되어 있는 대기오염방지시설의 교체 및 보완을 위한 저비용ㆍ고효율 집진장치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으며, 이에 따른 연구개발이 국내ㆍ외적으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고효율 집진장치로는 여과 집진장치와 전기 집진장치가 있으나 각각 장ㆍ단점을 가지고 있어 이를 개선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중략)

  • PDF

전기집진기의 10 nm 급 초미세 나노입자의 하전 및 집진 특성 (Characteristics of Charging and Collection of 10-nm-Class Ultrafine Nanoparticles in an Electrostatic Precipitator)

  • 한방우;김학준;김용진;송동근;홍원석;신완호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35권10호
    • /
    • pp.1013-1018
    • /
    • 2011
  • 전기집진에서의 10 nm 급 초미세 나노입자의 하전 및 집진 특성을 파악하였고, 나노입자의 확산효과와 비교해 보았다. 나노입자의 하전율과 확산손실 효과의 지배력에 따라 전기집진기에서의 나노입자 집진효율이 결정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10nm 급 영역에서는 입자 크기가 작아질수록 지속적으로 집진효율이 감소하였다. 10 nm 이하의 영역에서는 나노입자의 부분적 하전효과가 전기집진기 내의 확산 손실 효과보다 지배적인 것을 알 수 있었다. 10 nm 이하의 나노입자에 대하여 집진효율 실험 결과가 단극 확산 하전 이론을 적용한 입자하전율 계산 결과와도 잘 일치하였다.

고비저항 먼지 처리를 위한 펄스형 전기 집진기의 적용 (Applications of Pulse Energization Electrostatic Precipitator for the Removal of High Resistivity Dust)

  • 정재우;이용환;조무현;오종석;박정호
    • 한국대기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대기환경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49-150
    • /
    • 2001
  • 산업공정에서 배출되는 입자상 오염물질은 인체 및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직접적이고 가시공해의 주된 원인이 되므로 인관 주민의 민원을 유발시키는 등 주요 지역현안 문제의 원인이 되고 있다. 먼지를 제거하기 위한 대표적인 기술로는 전기집진기, 여과집진기, 사이클론, 습식집진기를 들 수 있으며, 대규모 산업공정에서는 정전기적 힘에 의해 집진하는 전기집진기가 일반적으로 적용되고 있다. 전기집진기는 비교적 높은 효율의 집진 성능을 보장하나 전력소모량이 비교적 많으며 미세먼지, 특히 고비저항을 가진 먼지의 제거효율이 낮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중략)

  • PDF

도시철도 터널 미세먼지 제거용 하이브리드형 집진장치의 성능평가 (Performance Evaluation of a Hybrid Dust Collector for Removal of Airborne Dust in Urban Railway Tunnels)

  • 우상희;김종범;장홍량;권순박;육세진;배귀남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20권4호
    • /
    • pp.433-439
    • /
    • 2017
  • 도시철도터널은 전동차 운행으로 바닥 먼지가 비산되거나 새로 발생된 마모 먼지로 오염되고 있다. 전동차가 운행하면서 이러한 부유 먼지를 제거하기 위해서 관성집진기인 배플과 전기집진기로 구성된 하이브리드형 집진장치를 개발하였다. 하이브리드형 집진장치의 유량과 집진효율은 서로 반비례하므로, 유량과 집진효율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2가지 배플 모델을 제작하여 성능을 평가하였다. 유속이 3.4 m/s인 A1 모델을 장착한 집진장치의 $0.5{\mu}m$ 이상인 입자의 집진효율은 30% 이상이었고, 유속이 4.7 m/s인 A2 모델의 경우 20% 이상이었다. 인가전압이 13 kV일 때 1시간 동안 A1 모델 집진장치의 $PM_{10}$ 집진량은 253 mg, A2 모델의 경우 242 mg으로 추정되었다.

PTFE membrane이 코팅된 여과백의 off-line 탈진시 미세먼지 집진 특성 (Filtration Characteristics of Paticulate Matter at Bag Filters Coated with PTFE Membrane During Off-Line Pulsing)

  • 김정훈;문일식;황민영;김량균;고대권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9권7호
    • /
    • pp.391-402
    • /
    • 2017
  • 근래에 미세먼지가 대기환경 관련하여 이슈가 되고 있으며, 초미세먼지의 효과적인 집진을 위하여 대용량화가 용이한 여과집진기가 상업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지에 대한 평가가 필요하다. 실험실 규모의 여과집진 장치를 제작하여, PTFE 재질의 부직포 여과백 또는 PTFE membrane이 코팅된 PTFE 재질의 부직포 여과백에서의 미세먼지 집진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집진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변수로 여과속도, 투입 먼지 농도, 입도분포가 다른 먼지 종류 등을 사용한 실험에서, 여과속도가 낮을수록, 먼지 투입농도가 높을수록, 평균입도가 클수록 집진효율이 높았으며, 여과속도가 높고, 먼지 투입농도가 높을수록 압력손실이 높게 나타났다. Pore size가 상대적으로 작은 PTFE membrane이 코팅된 여과백을 사용한 경우, 코팅이 되지 않은 여과백을 사용한 경우에 비하여 집진효율이 높고, 표면여과에 따른 포집 먼지층 저항계수가 낮아져 압력손실이 낮게 나타났다. PTFE membrane이 코팅된 여과백을 사용하여 off-line 탈진을 수행할 경우, 적정 여과속도 범위 내에서 $PM_{2.5}$에 대한 집진효율이 99.99% 이상으로 매우 높게 유지됨에 따라, 여과집진기를 사용하여 초미세먼지를 효과적으로 집진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2단식 전기집진기 내에서 블록의 영향에 따른 입자의 집진효율 (Collection Efficiency of Particles with Effect of Blocks in the Two-Stage Electrostatic Precipitator)

  • 박성호;박청연
    • 한국대기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대기환경학회 2000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17-218
    • /
    • 2000
  • 유해입자 배출 저감을 위한 대기오염 제어장치로는 필터(filter), 관성장치(inertialdevices), 침전조(settling), 스크루버(scrubber), 전기집진기(ElectroStatic Precipitator, ESP)등이 있다. 이 중, 정전기력을 이용한 전기집진기는 대전과정과 집진과정이 동일한 곳에서 이루어지는 1단식(one-stage)과 독립적으로 이루어지는 2단식(two-stage)으로 분류되며, 2단식의 경우, 대전부(charging section)와 집진부(collecting section)는 몇 개의 대전셀(charging cell)과 집진셀(collecting cell)들로 구성되어져 있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