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집중도 분석

Search Result 6,367, Processing Time 0.057 seconds

뇌파를 이용하여 다수의 집중이 집중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 Kim, Byun-gon;Kim, Myung-Soo;kwon, Oh-Sh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6.10a
    • /
    • pp.825-826
    • /
    • 2016
  • 최근 뇌파에 대한 연구가 아주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뇌파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뇌파센서를 이용하여 뇌파를 수집하고 뇌파의 주파수 분석 등을 이용하여 뇌파를 분석할 수 있다. 이러한 분석을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NeuroSky 사의 mindwave mobile 뇌파 센서를 이용하여 뇌파를 수집하여 집중도를 분석하였다. 사람 사이에 교류하고 소통하는 과정에서 뇌파의 공명 현상 같은 현상이 발생한다고 한다. 또한 보통의 경우 어떤 일을 할 때, 많은 사람의 응원을 받으면 응원을 받지 않는 경우보다 잘 할 수 있는 경우가 많다. 여러 사람의 응원이 한 사람의 집중도에도 영향을 미치는 지 실험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실험결과 한사람이 집중할 경우보다 여러 사람이 같이 집중할 때 집중도가 향상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Evaluation of Concentration using Electroencephalogram and Electrocardiogram (I) (뇌파와 심박변화를 이용한 집중도의 평가 (I))

  • 윤용현;고한우;양희경;김동윤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1.05a
    • /
    • pp.6-9
    • /
    • 2001
  • 집중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피험자에게 집중을 유발시키는 3가지 task(단기기억작업, Corsi block tapping task, visuomotor task)를 부가하고 주관평가 및 생리신호(뇌파, 심전도, 맥파, 피부온도, 호흡, 피부전도도)를 측정하였다. 뇌파를 mapping하여 평가에 적합한 전극이 위치를 선정하고, task 수행중 집중도 변화와 짐전도의 심박변화와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안정과 task 수행시 뇌파 mapping상 전체 power의 변호가 frontal 부분에서 크게 나타났으며, 집중시 R-R 간격의 순간간격변화가 줄어들었다.

  • PDF

Analysis of torrential rainfall characteristics using 'zero-inflated models' ('0-과잉 모형'을 이용한 집중호우의 발생특성 분석)

  • Kim, Sang U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453-453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최근 기후변화로 인한 집중호우의 발생횟수의 경향을 확률적으로 분석함에 있어 1개월 동안 80 mm/day 이상의 강우사상을 집중호우로 정의하여, 대구 및 부산 강우관측소로부터 수집된 384개월 동안의 집중호우를 분석하였다. 집중호우 월별 발생횟수와 같은 형식의 자료의 확률적 분석은 대개 Poisson 분포 (POI)가 사용되나 자료에 포함된 0자료의 과잉은 확률분포를 왜곡시키는 문제를 발생시킨다. 본 연구에서는 이 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개발된 일반화 Poisson 확률분포 (GPD), 0-과잉 Poisson 확률분포 (ZIP), 0-과잉 일반화 Poisson 확률분포 (ZIGP), Bayesian 0-과잉 일반화 Poisson 확률분포 (Bayesian ZIGP)를 집중호우 자료에 적용하고, 5개 모형의 특성을 비교분석하였으며, Bayesian ZIGP 모형의 구축에 있어서는 정보적 사전분포를 사용함으로써 모형의 정확도를 개선하였다. 분석결과 분석하고자 하는 자료에 0이 과다하게 포함되어 있는 경우 POI 및 GPD 분포는 관측결과와는 다른 결과를 제시하여 적절한 모형으로 고려되지 못함을 알 수 있었다. 5가지 모형 중 정보적 사전분포를 탑재한 Bayesian ZIGP 모형이 가장 관측 자료와 유사한 결과를 도출하였으나 모형의 구축에 수반되는 실용적인 측면을 고려하면 ZIP 모형도 충분히 사용될 수 있는 모형으로 추천되었다.

  • PDF

Recurrence Quantification Analysis of Auditory Evoked Related Potential in Inattention and Attention (비 집중.집중 상태에 따른 청각 유발 전위의 반복 정량 분석)

  • Kim, Hye-Jin;Yoo, Sun-Kook;Lee, Byung-Chae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16 no.4
    • /
    • pp.503-508
    • /
    • 2013
  • This study aims to analyze using RQA(Recurrence Quantification Analysis) about difference of electroencephalogram between inattention and attention among nonlinear methods for school age children who need attention. The experiments were conducted by 21 healthy subjects(12 males and 9 females). Inattention state is 500msec before the beginning of the auditory stimuli, attention state is 500msec after the beginning of auditory stimuli. The results of RQA parameters are greater in attention state than inattention state. It showed a statistically difference(p < 0.05). According to two states, auditory evoked potentials are displayed RP and CRP in diagram form to confirm nonlinear characteristics and The brain dynamics in the attention is more complex than the inattention. It is feasible that the RQA can be useful for the analysis of complex brain dynamics associated during auditory attentional task.

Analysis on Rainfall Seasonality using Precipitation Concentration Index (강수집중지수를 이용한 강수의 계절성 분석)

  • Lee, Joon-Hak;Heo, Jun-Hae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289-293
    • /
    • 2012
  • 강수량의 계절적 집중의 정도를 의미하는 계절성은 토양침식과 작물의 재배 및 성장, 댐 운영 등 수자원 관리를 위한 계획 수립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 중에 하나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호우사상이 대부분 4월부터 10월 동안에 발생하고 있으며, 특히 여름철에 집중도가 높은 편이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강수의 계절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강수집중지수를 적용하였다. 강수집중지수는 1년 동안의 강수분포의 시간적 특성을 나타내는 지표로서 1980년에 제안되었으나, 국내에는 아직까지 적용된 사례가 많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6개 관측지점의 1957~2010년 기간 동안의 연단위 강수집중지수와 계절성 지수를 각각 계산하여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강수의 계절성을 분석하는데, 강수집중지수가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Comparative Analysis of Characteristics of the Annual Exceedance Rainfall Event for Typhoon and Heavy Rainfall (태풍과 집중호우의 연초과치 강우사상의 특성 비교 분석)

  • Moon, Young-Il;Oh, Tae-Suk;Park, Gu-Soon;Song, Hyun-Sub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406-406
    • /
    • 2011
  • 동아시아에 위치한 한반도는 여름철에 강우량의 70%가 집중되어 홍수로 인한 피해가 주기적으로 발생한다. 홍수피해를 일으키는 호우는 주로 여름철의 집중호우와 태풍으로 구분할 수 있다. 집중호우는 여름에 우리나라에 한 지역에서 짧은 시간에 많은 양의 강우를 발생시킨다. 태풍은 연평균 3개 정도가 열대 지방에서 발생하여 주기적으로 우리나라를 내습하여 극심한 강우와 강풍으로 큰 피해를 야기시키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반도의 23개 강우관측소에서 관측된 강우자료를 이용하여 태풍과 집중호우로 인해 발생한 호우사상을 구분하여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한반도에서 발생한 강우사상을 집중호우와 태풍으로 분류하여 우리나라에 영향을 준기간을 분석하였고 각각의 기간 동안에 발생한 연초과강우량을 구축하였으며 비교분석을 위하여 호우발생원인을 구분하여 연초과강우량을 구축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호우원인 별로 구축된 강우량 자료를 호우사상의 크기와 발생원인에 대한 비교 분석을 수행하였다.

  • PDF

한반도 남서지역 여름철 강수량의 시.공간 특성

  • Lee, Yeong-Seop;Kim, Hye-Jung;Yeom, Jun-Geun;Jo, Cheon-Ho;Jeong, Hyo-Sang
    •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3.10a
    • /
    • pp.115-121
    • /
    • 2003
  • 최근 빈번한 여름철 집중호우로 인하여 인명과 재산에 큰 피해를 보고 있다. 이러한 여름철 집중호우에 대한 시, 공간적 변동 특성 분석의 필요성이 증가되고 있다. 이에 최근에 빈번히 집중호우가 발생하는 한반도 남서 지역에 18개 관측 지점에 대해 1981년부터 2000년까지 시간별, 연도별 집중호우의 빈도수를 조사하였다. 분석결과, 최근에 집중 호우의 빈도는 증가하였으며 1일 집중호우 빈도는 해안지방이 많았으며, 시간당 집중호우 빈도는 해안지역 뿐만 아니라 산악 또는 내륙 지역에서도 증가하였다. 또한 시간별 집중호우는 해안지역의 경우에는 새벽에 많았으나 산악 또는 내륙 지역은 오후에 빈도수가 많았다. 월별 집중호우는 8월, 7월, 9월, 6월 순으로 많았다. 8월이 가장 많은 이유는 장마 종료 후 태풍의 영향이 컸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기초로 하여 향후 한반도 남서 지역 집중 호우 발생에 대한 시..공간적 변동의 기후학적 특성에 대한 이해력 향상에 도움이 될 것이다.

  • PDF

Development of the Concentrated State Monitoring System Using Real-time EEG Analysis (실시간 뇌파분석을 이용한 집중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구현)

  • Kim, Kang-Hyeon;Noh, Yun-Hong;Jeong, Do-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7.05a
    • /
    • pp.625-626
    • /
    • 2017
  • 장시간 앉아 생활을 하는 직장인이나 학생들은 시간 경과에 따른 집중력 저하는 필수적으로 동반되며, 이를 모니터링하여 집중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시도들이 연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간편하게 착용이 가능한 무선뇌파계측 시스템기반이 실시간 집중력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현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하여 블루투스기반의 무선뇌파 측정시스템과 스마트폰 기반의 뇌파분석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였다. 어플리케이션에서는 실시간 스펙트럼분석을 통해 집중력 파라미터를 추출하고 집중력의 저하를 인지하면 자동으로 피드백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구성하였다. 구현된 시스템의 평가를 위해 집중상태를 유발하고 각각의 상태별 뇌파스펙트럼 파라미터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으며, 실험결과 본 연구에서 제시한 기법을 통해 실시간 집중상태 모니터링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 PDF

Performance Evaluation of Attention-inattetion Classifiers using Non-linear Recurrence Pattern and Spectrum Analysis (비선형 반복 패턴과 스펙트럼 분석을 이용한 집중-비집중 분류기의 성능 평가)

  • Lee, Jee-Eun;Yoo, Sun-Kook;Lee, Byung-Chae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16 no.3
    • /
    • pp.409-416
    • /
    • 2013
  • Attention is one of important cognitive functions in human affecting on the selectional concentration of relevant events and ignorance of irrelevant events. The discrimination of attentional and inattentional status is the first step to manage human's attentional capability using computer assisted device. In this paper, we newly combine the non-linear recurrence pattern analysis and spectrum analysis to effectively extract features(total number of 13) from the electroencephalographic signal used in the input to classifiers. The performance of diverse types of attention-inattention classifiers, including supporting vector machine, back-propagation algorithm, linear discrimination, gradient decent, and logistic regression classifiers were evaluated. Among them, the support vector machine classifier shows the best performance with the classification accuracy of 81 %. The use of spectral band feature set alone(accuracy of 76 %) shows better performance than that of non-linear recurrence pattern feature set alone(accuracy of 67 %). The support vector machine classifier with hybrid combination of non-linear and spectral analysis can be used in later designing attention-related devices.

  • PDF

An Analysis of the Concentration Ratios and the Shift Effect of Korean Container Ports (우리나라 컨테이너항만의 집중도와 변이효과 분석)

  • Kim, Eun-Soo;Lee, Su-Young
    • Journal of Korea Port Economic Association
    • /
    • v.32 no.1
    • /
    • pp.135-149
    • /
    • 2016
  • This study analyzes the concentration ratios (CR) and the shift effect in the system of Korean container ports that concern the export and import of container cargos, especially from/to 5 overseas origin/destination (O/D) regions, using the Hirshmann-Herfindahl Index (HHI) and the Shift-Share Method. The results shows that the CR has decreased during the last 20 years, from 0.86 to 0.44, mainly because cargos from/to the Far-East/South-East Asian regions have become more dispersed to several domestic container ports, especially from the Port of Busan. This study also indicates that there has been little change in the CR for all cargos, like the value of -0.3%, in the last 5 years. However the change in CRs for the cargos from/to the North America and Europe is positive, with the value of 7.6% and 6.6%, respectively. It can be inferred that the future development of medium- and small-sized container ports in Korea is not very likely. The study also suggests that the CR and the shift effect of the Korean container ports for the cargos by the domestic O/D regions should be analyzed in the future to suggest policy implications in great detai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