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집단에너지

Search Result 382,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The Economic Effects of Integrated-Energy Business : An Input-Output Analysis (집단에너지산업의 국민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 Han, Kun-Taik;Kim, Hye-Min;Yoo, Seung-Hoon
    • Journal of Energy Engineering
    • /
    • v.21 no.1
    • /
    • pp.47-54
    • /
    • 2012
  • Korean government has initiated integrated-energy business (IEB) in Mokdong for energy conservation in 1983. Since then, IEB has been steadily expanding. This paper attempts to apply input-output(I-O) analysis to examine the economic effects of IEB. A static I-O framework is employed, focusing on three topics in its application: the impact of the investment of IEB on the production of other sectors and the inter-industry linkage effect; supply shortage effects of the IEB ; and the impact of the rise in IEB rate on prices of other products. The paper pays closer attention to IEB sector by taking the sector as exogenous and then investigating its economic impacts. The results can be widely utilized in decision-making about IEB policy.

에너지구조개편에 따른 집단에너지사업 발전방향

  • 윤원철
    • The Magazine of the Society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ng Engineers of Korea
    • /
    • v.29 no.1
    • /
    • pp.35-47
    • /
    • 2000
  • 최근 정부의 공기업 경영혁신계획에 따라서 민영화와 경영혁신 대상 공기업이 확장되었다. 이에 따라서, 한국지역 난방공사(이하 '한난')는 1차 민영화 대상 공기업으로서 단계적 민영화를 위하여 안양 및 부천 사업소를 한국전력공사(이하 '한전')의 열병합발전소와 통합매각하여 2001년 51%이상 지분을 매각함으로써 민영화를 완료하도록 추진방안이 수립된 상태이다. 이렇듯 가시화된 정부의 에너지산업에 대한 경쟁 촉진 및 규제완화는 정부주도의 하향식 계획을 지양하고 에너지 구성(energy mix)을 시장에서 결정되게 하자는 것이다. 이는 관련업체간에 해당에너지의 사업주체에 대한 경쟁이 아니라 개별기업이 다양한 에너지사업을 운영하면서 한 기업의 최적 에너지 구성을 시장원리에 따라서 자체적으로 결정한다는 것이 핵심사항이다. 따라서, 현재 한난과 에너지관리공단이 운영 및 소유주체로 되어 있는 국내 집단에너지사업은 정부방안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고, 특히 에너지산업 변화에서 제기능을 담당할 수 있도록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발전계획 및 민영화 방안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본고에서는 현재 추진중인 국내 에너지 산업 구조개편에 따른 집단에너지사업의 발전방향을 정책적인 측면에서 제시하고자 한다. 논의의 대상은 국내 집단에너지 사업으로, 공업단지 집단에너지사업을 제외한 지역냉난방 사업을 중심으로 하여 전력 및 가스사업고의 연계방안 등이 주요 사항이다.

  • PDF

A Study on Distributed Collective Energy Policy Changes: Focusing on the National Heat Map Project Based on Energy Data (분산형 집단에너지 정책변동 연구: 에너지 데이터 기반의 국가 열지도 사업을 중심으로)

  • Park Eunsook;Park Yongsung
    • Knowledge Management Research
    • /
    • v.24 no.1
    • /
    • pp.195-221
    • /
    • 2023
  • As the global energy and climate crisis has complicated interests of each country, the agenda that requires a global response has recently been revived. In particular, Korea is highly dependent on energy imports and continues to have high energy consumption, low efficiency of energy consumption, and high greenhouse gas emissions, so innovative and effective energy policies are urgently needed to achieve energy efficiency and carbon neutrality. In this study, among the changes in distributed district energy policy after the integrated energy method was introduced in Korea in the mid-1980's, the case of the "National Heat Map Project" policy implementation is analyzed with a modified multi-flow model. The 10 years of the Lee Myung-bak and Park Geun-hye administrations, the period of study, was a period in which the main paradigm of energy policy shifted to a "distributed energy platform" and policy transitions such as policy agenda setting, policy drift, and policy revision were made. A study on the process would be meaningful.

에너지(1) - 서울시 마곡지구, 친환경 집단 냉.난방에너지 공급

  • 대한설비건설협회
    • 월간 기계설비
    • /
    • s.243
    • /
    • pp.50-54
    • /
    • 2010
  • 서울시가 마곡지구에 하수열이나 연료전지, 폐열, 소각열 등의 친환경에너지를 열원으로 하는 집단 냉 난방에너지를 오는 2013년 2월부터 공급한다. 2031년엔 마곡지구 전역으로 공급이 확대된다. 서울시는 올해부터 2031년까지 총 사업비 5,498억 원을 투입, 집단신재생에너지 열원시설을 3단계(1단계 10~16년, 2단계 17~23년, 3단계 24~31년)로 건립한다고 밝혔다. 서울시가 마곡지구에 필요한 냉 난방에너지를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한 집단에너지로 공급함으로써 일반방식보다 에너지는 30,792toe/년(35.8%) 절감하고, 온실가스 배출량은 65,103t$CO_2$/년(35.8%)하며, 대기오염물질은 109,287kg/년(54.5%) 감축될 것으로 분석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