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분산형 집단에너지 정책변동 연구: 에너지 데이터 기반의 국가 열지도 사업을 중심으로

A Study on Distributed Collective Energy Policy Changes: Focusing on the National Heat Map Project Based on Energy Data

  • 투고 : 2023.02.06
  • 심사 : 2023.02.16
  • 발행 : 2023.03.31

초록

전 세계적인 에너지·기후 위기는 각국의 이해관계가 복잡하게 얽혀있어 글로벌 대응이 필수적인 아젠다임이 최근 다시금 환기되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는 에너지 수입의존도가 높고 에너지 다소비·저효율 소비 및 온실가스 다(多) 배출구조가 지속되고 있어 에너지효율 및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혁신적이고 실효성 있는 에너지정책이 절실하다고 하겠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에 1980년대 중반 집단에너지 방식이 도입된 이후의 분산형 집단에너지 정책변동 중 "국가 열(熱) 지도 사업" 정책 추진사례를 수정 다중흐름모형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 대상 기간인 이명박-박근혜 정부의 10년간은 에너지정책의 주된 패러다임이 "분산형 에너지플랫폼"으로 전환하는 데 있어 정책의제 설정과 정책 표류, 정책수정의 전환이 이루어졌던 기간으로서 연구에 의미가 있을 것이다.

As the global energy and climate crisis has complicated interests of each country, the agenda that requires a global response has recently been revived. In particular, Korea is highly dependent on energy imports and continues to have high energy consumption, low efficiency of energy consumption, and high greenhouse gas emissions, so innovative and effective energy policies are urgently needed to achieve energy efficiency and carbon neutrality. In this study, among the changes in distributed district energy policy after the integrated energy method was introduced in Korea in the mid-1980's, the case of the "National Heat Map Project" policy implementation is analyzed with a modified multi-flow model. The 10 years of the Lee Myung-bak and Park Geun-hye administrations, the period of study, was a period in which the main paradigm of energy policy shifted to a "distributed energy platform" and policy transitions such as policy agenda setting, policy drift, and policy revision were made. A study on the process would be meaningful.

키워드

참고문헌

  1. 강한수, 박용성 (2020). 주거복지정책의 정책변동에 관한 연구-수정다중흐름모형을 적용하여 행복주택 정책수혜대상 변동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주거학회논문집, 31(4), 91-101.
  2. 관계부처합동 (2022). 시장원리 기반 에너지 수요 효율화 종합대책.
  3. 국가에너지위원회 (2008). 제1차 국가에너지 기본계획(2008-2030년).
  4. 국무총리실, 지식경제부 (2008). 제4차 에너지이용합리화 기본 계획.
  5. 김용성 (2021). 수도권 입지 대규모 자가소비용 CHP발전소에서 발생하는 공익적 편익의 사전적 평가. 석사학위논문,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대학원, 서울.
  6. 남재걸 (2012). 지방행정체제 개편의 경로진화 연구: 역사적 제도주의 관점에서 우리나라 시 설치정책을 중심으로. 지방행정연구, 26(2), 55-88. https://doi.org/10.22783/KRILA.2012.26.2.55
  7. 남재걸 (2014). 우리나라와 일본의 근린 자치 제도의 경로진화비교 연구. 지방행정연구, 28(3), 87-127. https://doi.org/10.22783/KRILA.2014.28.3.87
  8. 대한전기협회 (2016). 에너지신산업 정책방향 및 전망. 전기저널, 476, 34-57.
  9. 딜로이트안진, 한국지역난방기술 (2014). 수도권 미이용 열에너지 활용방안 연구. 한국지역난방공사.
  10. 박계옥 (2013). 정책동학의 이해. 서울: 미래의 창.
  11. 박용성 (2014). 국가보훈 정책변동에 대한 연구-정책변동모형을 결합한 수정된 다중흐름모형적용을 중심으로. 한국거버넌스학회보, 22(2), 159-182. https://doi.org/10.17089/KGR.2015.22.2.007
  12. 박용성, 박춘섭 (2011). 민간투자 사업 최소수입 보장(MRG) 제도의 경로변화 연구-경로의존모델에 따른 경로시작과 점진적 경로진화. 한국정책학회보, 20(1), 243-268.
  13. 박용성, 채성준 (2014). 대검찰청 중앙수사부 개편의 경로진화 연구-역사적 제도주의의 경로의존 모형과 경로진화 모형을 중심으로. 한국행정연구, 2014(06), 85-111.
  14. 박윤석 (2021). 기후위기 도미노 타격에'분산에너지'주목: 탄소중립 가교 역할 집단에너지 적합 온실가스 감축oP2H 활용 등 정책 부합. Electric Power, 15(12), 2021.12, 18-21.
  15. 박은숙 (2011). 집단에너지의 지속 가능한 거버넌스 유형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서울.
  16. 박지훈 (2017). 분산형전원의 효용가치 정량화평가. 석사학위논문, 포항공과대학교 대학원, 포항.
  17. 산업자원부 (2002). 제2차 집단에너지공급 기본계획.
  18. 산업통상자원부 (2014). 제2차 에너지기본계획.
  19. 산업통상자원부 (2019). 제3차 에너지기본계획.
  20. 양승일 (2014). 정책변동론. 서울: 박영사.
  21. 오세신, 진태영 (2021). 지역 에너지 분권을 통한 탄소중립형 집단에너지 발전방안 연구. 에너지경제연구원, 2021-16.
  22. 유승훈, 김효진 (2015). 분산형 전원으로서의 집단에너지사업 열병합발전의 송전망 피해 회피편익 추정. 에너지공학, 24(3), 67-73. https://doi.org/10.5855/ENERGY.2015.24.3.067
  23. 이기현 (2015). 위험요인을 고려한 전원구성 최적화기법 연구. 석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대학원, 서울.
  24. 이남임 (2020). 전기요금 주택용 누진제 제도변화 연구-경로운 영자의 이익과 선호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대학원, 경기.
  25. 임기추 (2007). 주요국의 에너지경영시스템 추진현황 및 국내 도입방안 연구. 수시연구보고서 07-04, 에너지경제연구원.
  26. 임준성 (2022). 국내 산업의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CCUS 역할. KDB산업은행.
  27. 장우석 (2018). 성공적 에너지 전환을 위한 과제- 분산형전원의 역할 제고가 필요하다. 현대경제연구원, (729), 18-14.
  28. 전력거래소 (2014). 분산형 집단에너지 전원 활성화를 위한 정책연구(2014.12). 전력산업연구회.
  29. 전력거래소 (2022). 2021년도 전력시장 통계(국가통계 승인번호 제388004호).
  30. 정연미 (2018). 에너지효율화를 위한 독일 열병합발전법 개정의 법.정책적 함의. 환경정책, 26(1), 247-282.
  31. 진상현 (2016). 분산형 열에너지의 개념 정의 및 적용: 수도권 그린히트 사업을 중심으로. 환경정책, 24(3), 131-160.
  32. 하연섭 (2006). 신제도주의의 이론적 진화와 정책연구. 행정논총, 44(2), 217-246.
  33. 하연섭 (2011). 제도분석. 다산출판사.
  34. 하태수 (2010). 경로변화의 양태: 경로의존, 경로진화, 경로창조. 한국행정학회 동계학술대회, 1-16.
  35. 한국에너지공단 (2014). 2014 집단에너지사업편람.
  36. 한국지역난방공사 (2015). 한국지역난방공사 30년사.
  37. 한국지역난방공사 (2023). 한국지역난방공사 내부자료(공개가능 범주).
  38. 현선혜, 이은국 (2021). 공동주택관리정책의 변동요인에 관한 연구: 다중흐름과 경로진화의 결합모형을 중심으로. 한국정책과학회보, 25(3), 35-62.
  39. 환경부 (2010). 환경 30년사.
  40. Energy Statistics. (2021). EU commission, DG energy, Unit A4. https://commission.europa.eu/statistics_en
  41. EU. (2012). Heat roadmap Europe 2050. https://heatroadmap.eu/?s=Heat+Roadmap+Europe+2050+Peta+
  42. Hacker, J. S. (2004). Privatizing risk without privatizing the welfare state: The hidden politics of social policy retrenchment in the United States. The American Political Science Review, 98(2), 243-260. https://doi.org/10.1017/S0003055404001121
  43. Kingdon, J. W. (1984). Agenda, alternatives and public policies. Boston: Little, Brown and Co.
  44. Kingdon, J. W. (2003). Agenda, alternatives, and public policies (2nd ed.). Boston: Addison-Wesley Longman Inc.
  45. Mahoney, J., & Thelen, K. (Eds.). (2010). Explaining institutional change: Ambiguity, agency and power.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46. Streeck, W., & Thelen, K. (2005). Beyond continuity: Institutional change in advanced political economies.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47. 국가 열지도 (2023). https://www.k-heatmap.com/
  48. 국가통계포털 (2023). https://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388&tblId=TX_38803_A015A&vw_cd=MT_ZTITLE&list_id=388_38803_004&scrId=&seqNo=&lang_mode=ko&obj_var_id=&itm_id=&conn_path=MT_ZTITLE&path=%252FstatisticsList%252FstatisticsListIndex.do
  49. 글로벌 카본 프로젝트 (2022). https://globalcarbonbudget.org/carbonbudget/ 중 "National Fossil Carbon Emissions 2022 v1.0-Excel-under 1mb"
  50. 김정기 (2014). 제5차 에너지이용합리화 기본계획. 산업통상자원부. https://www.motie.go.kr/motie/ne/presse/press2/bbs/bbsView.do?bbs_seq_n=156772&bbs_cd_n=81
  51. 박효정 (2022, 8월 17일). 열 에너지 활용에 눈 돌리는 정부... '폐열 거래 플랫폼' 만든다. 서울경제. https://www.sedaily.com/NewsView/269U1AL6NS
  52. 산업자원부 (2005, 7월 26일). 대형 에너지공급사, 신재생에너지 분야에 1조원이상 투자키로. http://www.motie.go.kr/motie/ne/presse/press2/bbs/bbsView.do?bbs_cd_n=81&bbs_seq_n=7527
  53. 산업통상자원부 (2021, 8월 3일). 에너지 차관 신설 및 조직 개편으로 탄소중립 선제적 대응과 에너지시스템 혁신 가속화. http://www.motie.go.kr/motie/ne/presse/press2/bbs/bbsView.do?bbs_cd_n=81&bbs_seq_n=164424
  54. 양원창, 김용태 (2015). 올해부터 '국가 열지도(Korea Heat Map)' 작성 시작: 에너지 신산업 개발과 온실가스 감축 지원. 산업통상자원부. https://eiec.kdi.re.kr/policy/callDownload.do?num=144387&filenum=1&dtime=20230305102957
  55.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 (2014). 2014 국가 온실가스 인벤토리 보고서. http://www.gir.go.kr/home/main.do
  56. 유승훈 (2016, 6월 20일). 집단에너지, 脫 탄소시대 최적의 가교 에너지. 이투뉴스. http://www.e2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94071
  57. 이상훈 (2022). 2022 집단에너지사업편람. 한국에너지공단 집단에너지실. http://kdhc.energy.or.kr/gem/hp4/filedown?date=45
  58. 주병기 (2021, 7월 21일). 포용적 에너지전환. 경향신문. https://www.khan.co.kr/opinion/column/article/202107210300065
  59. 한국인정지원센터 (2023). https://www.kab.or.kr/page/s0203_2_9.ph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