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집계자료

Search Result 199, Processing Time 0.067 seconds

Real-Time Traffic Information Provision Using Individual Probe and Five-Minute Aggregated Data (개별차량 및 5분 집계 프로브 자료를 이용한 실시간 교통정보 제공)

  • Jang, Jinhwan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 /
    • v.18 no.1
    • /
    • pp.56-73
    • /
    • 2019
  • Probe-based systems have been gaining popularity in advanced traveler information systems. However, the high possibility of providing inaccurate travel-time information due to the inherent time-lag phenomenon is still an important issue to be resolved. To mitigate the time-lag problem, different prediction techniques have been applied, but the techniques are generally regarded as less effective for travel times with high variability. For this reason, current 5-min aggregated data have been commonly used for real-time travel-time provision on highways with high travel-time fluctuation. However, the 5-min aggregation interval itself can further increase the time-lags in the real-time travel-time information equivalent to 5 minutes. In this study, a new scheme that uses both individual probe and 5-min aggregated travel times is suggested to provide reliable real-time travel-time information. The scheme utilizes individual probe data under congested conditions and 5-min aggregated data under uncongested conditions, respectively. As a result of an evaluation with field data, the proposed scheme showed the best performance, with a maximum reduction in travel-time error of 18%.

An Evaluation of Spatial Interpolation of Statistical Information Using Dasymetric Mapping (밀도구분도 매핑을 이용한 통계정보 공간 내삽의 유효성 평가)

  • Lee, Byoung-Kil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24 no.4
    • /
    • pp.343-350
    • /
    • 2006
  • For integrating and utilizing the statistical data, which is summarized by arbitrary areal unit such as demographics, with stellite imagery or other GIS data, areal unit of both data should be accorded. Dasymetric mapping is proposed as a useful method fur disaggregating the aggregated statistical data to finer areal unit or generating surface model from object data such as polygonal area. This research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dasymetric mapping by 1) summarizing the yellow page information by administrative district, 2) modeling the business density using dasymetric mapping, and 3) comparing the business densities of raw data and that of spatial interpolation result.

Method for the evaluation of Unit Load of Road­-Section CO2 Emission Based on Individual Speed Data (개별 속도자료기반 도로구간 CO2 배출량 원단위 산정 방안)

  • Park, Chahgwha;Yoon, Byoungjo;Chang, Hyunho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13 no.1
    • /
    • pp.96-105
    • /
    • 2017
  • Global warming, mainly caused by CO2, is one of the on­going cataclysms of the human race. The nation­wide policy to reduce greenhouse gases (GHG) has been enforced, for which it is crucial to estimate reliable GHG emissions. The unit load of road­section CO2 emission (URSCE) is a prerequisite for the evaluation of GHG emissions from road mobile source, and it is mainly computed using vehicular velocity source. Unfortunately, there is real­world limitations to collect and analyse representative speed data for nation­wide road network. To tackle this problem, a method for the evaluation of URSCE, proposed in this study, is based on a disaggregated way using big GPS vehicle data. The method yields more accurate URSCE than an current aggregated data based approach and can be directly employed for nation­wide road systems.

Efficient Histogram Calculation for String Matching Occurrences Using Wavelet Trees (웨이블릿 트리를 이용한 문자열 매칭 위치의 효율적인 히스토그램 계산)

  • Kim, Sung-Hwan;Tak, Hae-Sung;Cho, Hwan-Gu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4.04a
    • /
    • pp.61-64
    • /
    • 2014
  • 문자열 매칭은 긴 텍스트 문자열 상에 짧은 질의 문자열이 나타나는 모든 위치를 찾는 문제이다. 텍스트 문자열이 고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접미사 트리나 접미사 배열과 같은 자료구조를 이용하여 보다 효율적인 문자열 매칭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관련되어, 또는 다른 통계적 처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주어진 질의 문자열의 출현 위치에 대한 히스토그램을 계산할 필요성이 있다. 그러나 질의 문자열의 출현 횟수가 많은 경우 각 출현 위치를 모두 순회하며 집계해야 하므로 시간적으로 매우 비효율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웨이블릿 트리를 이용하여 접미사 배열을 색인함으로써 히스토그램 계산에 있어서 질의 문자열의 출현 횟수와는 시간적으로 독립적인 집계 기법을 제안한다. 또한 실험을 통하여 질의 문자열의 출현 횟수가 많을수록 제안 기법의 성능이 우수함을 보인다.

A Study on Development of Operation Register for Central Construction Technology Deliberation Committee (중심위 운영대장 구축에 관한 연구)

  • Ok, 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2.06b
    • /
    • pp.18-20
    • /
    • 2012
  • 국토해양부에서는 기존 중앙건설기술심의위원회 운영과 관련하여 편철 형태의 운영대장에 직접 수기로 기재하여 관리하여 왔으며, 심의 회의결과 및 회의록을 비롯한 심의위원별 심의수당 지급내역, 기수별 중심위 심의위원 명단 등 제반 자료는 파일형태로 각 업무담당자가 개별적으로 관리하여 왔다. 이로 인해 업무담당자는 각종 보고자료나 통계자료 작성시 직접 중심위 관련 자료를 직접 찾아 이들 자료를 집계하고, 보고자료를 작성함으로서 많은 노력과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 수기로 작성되던 중심위 운영대장을 디지털화하여 중심위 운영에 따른 제반자료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중심위 운영대장에 관한 구축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Estimation of Representative Area-Level Concentrations of Particulate Matter(PM10) in Seoul, Korea (미세먼지(PM10)의 지역적 대푯값 산정 방법에 관한 연구 - 서울특별시를 대상으로)

  • SONG, In-Sang;KIM, Sun-Young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19 no.4
    • /
    • pp.118-129
    • /
    • 2016
  • Many epidemiological studies, relying on administrative air pollution monitoring data, have reported the association between particulate matter ($PM_{10}$) air pollution and human health. These monitoring data were collected at a limited number of fixed sites, whereas government-generated health data are aggregated at the area level. To link these two data types for assessing health effects, it is necessary to estimate area-level concentrations of $PM_{10}$. In this study, we estimated district (Gu)-level $PM_{10}$ concentrations using a previously developed pointwise exposure prediction model for $PM_{10}$ and three types of point locations in Seoul, Korea. These points included 16,230 centroids of the largest census output residential areas, 422 community service centers, and 610 centroids on the 1km grid. After creating three types of points, we predicted $PM_{10}$ annual average concentrations at all locations and calculated Gu averages of predicted $PM_{10}$ concentrations as representative Gu-estimates. Then, we compared estimates to each other and to measurements. Prediction-based Gu-level estimates showed higher correlations with measurement-based estimates as prediction locations became more population representative ($R^2=0.06-0.59$). Among the three estimates, grid-based estimates gave lowest correlations compared to the other two(0.35-0.47). This study provides an approach for estimating area-level air pollution concentrations and assesses air pollution health effects using national-scale administrative health data.

Development of the Decommissioning DB System on the KRR 1&2 (연구로 해체 DB 시스템 구축)

  • Park, Hee-Seong;Jeong, Kwan-Seong;Lee, Kune-Woo;Oh, Won-Zi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4.05a
    • /
    • pp.85-88
    • /
    • 2004
  • 해체 활동 시작 단계에서부터 최종처리까지 발생되는 일련의 모든 자료를 체계적이고 과학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해체 DB structure를 구축하기 위하여 해체 정보 전략 계획을 수립하였고, 해체 DB 정보 영역을 분류하여 세부항목을 도출하였으며, 시스템 개발 도구 및 운영환경을 설정하였다. 자료흐름도(DFD)와 개체 관계도(ERD)를 이용하여 해체 자료 구조를 최적화하였고, Prototype 과정을 거쳐 해체 자료가 체계적으로 저장 관리 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개발 하였다. 현재(2001년6월부터 2003년12월)까지 연구로 해체활동을 통해 발생한 해체 현장 자료를 이용하여 해체 DB 시스템을 시험한 결과 무작위로 데이터를 추출하여 집계한 결과와 잘 일치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A Study on Web-based Road Maintenance Status System (WEB 기반의 도로보수현황 시스템 구축 연구)

  • Lim, Jae-Kyu;Kim, Byeong-Kon;Kim, Young-Jin;Kim, Seong-Hee;Lee, Seok-Won;Park, Jeong-Kyu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3.11a
    • /
    • pp.1599-1602
    • /
    • 2013
  • 최근 정보화 산업이 고도화 되어 신속하고 다양한 통계정보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 도로보수현황은 수기작성 및 e-Mail에 의한 자료 취합으로 집계의 신속성이 떨어지고, 자료 관리와 정보 제공을 위한 매체가 파일 및 책자로 국한되어 있어 효과적으로 활용되지 못하고 있다. 매년 발간하는 도로보수현황의 신속한 자료 취합, 통계자료의 시의성 확보 등 활용성 제고를 위해 도로보수현황 시스템 구축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도로보수현황의 자료 관리 체계 개선을 바탕으로 WEB 기반의 도로보수현황 시스템 구축에 대해 기술하고자 한다.

Classification of Statistical Error Types Through Analysis of Wind and Flood Damage History Data (풍수해 피해이력 자료 분석을 통한 통계적 오류유형 분류)

  • Kim, Ku-Yoon;Lee, Mi-Ran;Lee, Jun-W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10a
    • /
    • pp.135-136
    • /
    • 2022
  • 최근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태풍 및 국지성 집중호우 등 자연재해 발생빈도가 증가함에 따라 풍수해로 인한 인명피해와 재산피해가 증가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재해연보를 통해 자연재난 피해이력 통계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며, 당해연도 자연재해상황을 기간별, 시도별, 수계별, 월별, 원인별 총괄통계와 인명피해, 시설피해와 관련된 피해면적, 피해액, 복구액 등 세부내용으로 구성하여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행정안전부는 국가재난정보시스템을 통해 취합된 지자체 피해이력 통계자료를 입력하고 있는데 입력하는 과정에서 누락, 오기 등의 오류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경제적 손실이 증가하고 있는 풍수해 재난이 발생하게 될 경우 피해비용 집계, 피해액 산정 등 정확한 자료로서 구축되지 않으면 연구 및 분석을 수행하기 위한 통계자료로서 활용될 수 없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1985년부터 2018년까지 재해연보에 대해서 기간별-시군구별 자료분석을 통해 피해이력 데이터 오류 유형에 대해 분류하였다.

  • PDF

Development Scheme of the Domestic Education System for Hydrological Survey Experts (수문조사 전문가 양성을 위한 국내 교육체계의 발전 방안)

  • Han, Hak Young;Jang, Bok Jin;Jung, Sung 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582-582
    • /
    • 2016
  • 최근 이상기후와 높아지는 물 수요 등으로 인하여 물관련 문제가 전 세계적으로 심각해지고 있다. 따라서 많은 국가에서 깨끗한 물을 국민에게 공급하고 물로 인한 재해로부터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국가적 체계와 정책은 이제 당연한 중요과제가 되고 있다. 이러한 물 관련 문제에 대하여 적극적이고 합당한 대안의 의사결정을 위해서는 신뢰도 높은 수문자료가 중요한 기초자료가 된다. 따라서 이러한 수문자료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조직체계, 충분한 예산, 높은 기술력 등과 함께 전문인력이 필수조건이다. 이러한 전문인력을 양성하기 위해서는 교육과 경험이 매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국토해양부(현재 국토교통부)는 수문조사 전문가 수요를 충족시키고자 2008년 4월 하천법을 전부 개정하여 수문조사 관련 업무 종사자에 대한 교육을 명시화하고 이를 시행토록 의무화하였다. 교육을 수행할 기관으로 한국건설기술연구원(유량조사사업단)과 한국수자원공사(K-Water 교육원)를 선정 후 위탁하여 2009년부터 교육기관별로 매년 2회 이상 수문조사 종사자 교육훈련이 실시되고 있다. 이에 따라 수문조사 관련 업무 종사자는 교육대상자로써 전문인력으로 발전되고 국가로부터 관리되고 있다. 현재까지도 수문조사 종사자는 수문조사 관련 업무에 종사한 날부터 2년 이내에 30시간 이상의 교육을 받아야 하고, 3년마다 재교육을 받아야 함을 규정(하천법시행령 제13조) 하고 주기적인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수문조사 종사자 교육훈련이 처음 실시된 2009년부터 2015년까지 총 1,311명이 수료하였다. 교육수료자수는 최대 277명(2009년)에서 최소 155명(2013년)으로 7년 평균 188명으로 집계되었으며, 이중 재교육수료자는 2015년까지 총 260명으로 집계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의 수문조사 전문가 양성을 위해 국토교통부에서 실시한 수문조사 종사자 교육훈련의 성과와 현황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국외 수문전문가 양성을 위한 교육관련 선진사례로서 프랑스의 물 전문가를 위한 국립교육센터(CNFME)를 선례로서 조사하였다. 그리하여 향후 우리나라의 수문관련 전문가 양성을 위한 우리나라 교육체계의 발전방안에 대하여 제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