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질적관리

Search Result 960,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HEC-6를 이용한 하상변동 모의 방법

  • 우효섭;유권규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1995.02b
    • /
    • pp.95-133
    • /
    • 1995
  • 1) 하천 종횡단 자료, 유사량 자료, 수문 자료 등을 입력하여 하상변동을 모의하는 소하천은 지류(tributary)라 하고, 단순히 유량의 유입 또는 자료만을 입력하는 소하천, 첩수로, 배수로, 취수구 등은 국소 유입점이라 하여 구분함. 2) 각 행이 필수적(required)으로 필요한가 선택적(optional)으로 필요한가 하는 사항은 다음과 같이 나타낸다. 1필수 : 반드시 필요하며 빠질 경우 실행되지 않음, 2선택 : 필요할 때만 입력하면 되며 없어도 무방, 3한번필수 : 반복적으로 수행 또는 입력하는 경우, 처음 수행시는 반드시 필요하지만 다음부터는 입력값을 변경하고자 할 경우만 입력하는 경우, 4특수선택 : 특별한 경우를 모의하고자 할 경우만 선택. 3) HEC-6는 조도계수를 지정된 단면의 상류에 적용하나 HEC-2는 그 단면의 상하류에 적용한다. 그러나 그 결과는 어느 방법이나 거의 일치한다. 4) 우리나라의 하천과 HEC-6모형이 개발된 미국의 하천이 다름을 유의 하여야 한다. 여기서 제방이라함은 우리나라와 같이 인공제방이 축조된 곳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그보다는 미국의 서부 건조지역을 흐르는 하천과 같이 유량 변화가 거의 없는 하천에 하도의 양쪽에 자연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자연제방을 의미하는 것이다. 따라서 만제 유량의 개념도 원래 모형에서 제시된 의미와는 달리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5) 한국건설기술연구원(1989)의 연구에서 지적된 바와 같이 유사량 공식에 따라 계산된 유사량이 큰 차이가 날 수 있으므로, 유사량 공식을 선정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요소이며 대상하천의 상황에 적합한 공식을 선정하는데 상당히 신중을 기해야 한다. 있다. 청주권의 무심천도 계획상은 대청댐의 물을 공급 받을수도 있도록 되어 있으나 현실상으로 상수도 원수로서의 공급마저도 매년 심한 원수 수질 문제(5-6월, 10월경의 취수장 부근의 부영양화 현상으로 인한 악취와 물 맛의 문제)를 1984년부터 겪고 있다. 이와 같이 도시권 하천의 수자원은 자연적, 인위적, 경제적, 법적, 제도적 여러 제한 요소로서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날로 심해 가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최적 물관리 시스템의 개발이 새로이 시작하는 수자원 개발 사업에서는 계획 단계에서부터 절실히 요구되는 바이며 기존 시설물의 관리 운영은 과감히 그 운영 관리 기준을 보완 재 정비하여야 할 것이다. 지금까지 대부분의 수자원 종합 개발 계획이 홍수방이나 용수 공급 및 수력 개발 등에 주력하여 왔으나 이제는 보다 더 수자원의 환경 보전적 차원과 도시의 안정적 발달을 위한 지역 및 권역 계획과 연계지워져서 양적인 안정 공급과 더불어 질적인 향상과 연계지워서 경제-사회적 요구에 부응할 수 있도록 도시권의 수자원을 최적 관리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여야 할 것이다. 이는 각 도시 하천의 수자원의 정량적·정성적인 특성 및 제한 요소를 충분히 감안하여 수요-공급 개념에 의하여 과감히 기존 시설(예: 팔당댐의 운영, 대청댐의 운영 등)의 관리 운영 체계를 개선하여 나가야 할 것이며, 수질 보전적-환경 보전 차원에서 저수관리 체계를 확고히 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여야 할 것이다.펄스주입법에 의해 증착된 박박은 강유전성 이력을 나타내었다.지역과 비도시지역을 비교하는 조사 연구가 필요하며, 이러한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자녀의 식습관에 대한 교육을 위한 교재, 교구의 개

  • PDF

개발사업으로 인한 토양손실량 예측 및 침사지 설계

  • 우효섭;김창완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1998.02d
    • /
    • pp.1101-1179
    • /
    • 1998
  • 최근에 내무부에서는 개발사업으로 인한 토사유출 피해 중 인명과 재산 피해와 같은 재해 성격을 가진 대규모 토사유출을 사전에 미리 저감시킬 목적으로 재해영향평가제를 도입하여 추진하고 있다. 이에 따라 건설 엔지니어링 업계에서는 대규모 개발 사업으로 인한 가속화된 토양손실량 예측과 침사지 설계에 많은 관심이 쏟아지고 있으나 이 분야의 기술축적과 자료부족으로 과업수행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 강좌에서는 이러한 엔지니어링 업계의 기술적인 어려움을 다소 나마 해소할수 있도록 개발사업으로 인한 가속화된 토양손실량 예측방법과 침사지 설계 기준에 대해 외국의 자료를 바탕으로 그 동안 국내에서 수행한 각종 재해영향평가 자료를 검토하여 제시한다. 먼저, 재해영향평가제의 취지, 토사유출과 재해, 토사유출 재해 저감대책 등에 대해 간략히 설명한다. 다음, 침식량 예측 방법으로 미국의 범용토양 손실공식(USEL) 방법의 적용 절차에 대해 구체적으로 소개한다. 침사지 설계 편에서는 침사지 설계 개념과 구체적인 설계 절차를 제시하고 참사지 규모의 결정방법을 소개한다. 본 강좌의 교재는 미국교통연구단(TRB)의 국립합동도로연구프로그램(NCHRP)#70 자료를 주로 참고하였다. 이 자료는 부록에 원본 전부를 수록하였다. 다만 아직 이 분야 연구가 미흡한 관계로 본 강좌에서는 재해저감 측면에서 합리적인 침사지 설계 기준을 완전히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참고로 국립방재연구소의 박무종/강대환 연구팀이 기존의 재해영향평가서 자료 중에서 10개를 선정하여 침사지 소요수면적 산정, USEL 적용, 강우침식도 R의 산정 등에 대해 사례 조사 분석한 결과를 부록에 수록하였다.을 기해야 한다. 있다. 청주권의 무심천도 계획상은 대청댐의 물을 공급 받을수도 있도록 되어 있으나 현실상으로 상수도 원수로서의 공급마저도 매년 심한 원수 수질 문제(5-6월, 10월경의 취수장 부근의 부영양화 현상으로 인한 악취와 물 맛의 문제)를 1984년부터 겪고 있다. 이와 같이 도시권 하천의 수자원은 자연적, 인위적, 경제적, 법적, 제도적 여러 제한 요소로서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날로 심해 가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최적 물관리 시스템의 개발이 새로이 시작하는 수자원 개발 사업에서는 계획 단계에서부터 절실히 요구되는 바이며 기존 시설물의 관리 운영은 과감히 그 운영 관리 기준을 보완 재 정비하여야 할 것이다. 지금까지 대부분의 수자원 종합 개발 계획이 홍수방이나 용수 공급 및 수력 개발 등에 주력하여 왔으나 이제는 보다 더 수자원의 환경 보전적 차원과 도시의 안정적 발달을 위한 지역 및 권역 계획과 연계지워져서 양적인 안정 공급과 더불어 질적인 향상과 연계지워서 경제-사회적 요구에 부응할 수 있도록 도시권의 수자원을 최적 관리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여야 할 것이다. 이는 각 도시 하천의 수자원의 정량적·정성적인 특성 및 제한 요소를 충분히 감안하여 수요-공급 개념에 의하여 과감히 기존 시설(예: 팔당댐의 운영, 대청댐의 운영 등)의 관리 운영 체계를 개선하여 나가야 할 것이며, 수질 보전적-환경 보전 차원에서 저수관리 체계를 확고히 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여야 할 것이다.펄스주입법에 의해 증착된 박박은 강유전성 이력을 나타내었다.지역과 비도시지역을 비교하는 조사 연구가 필요하며, 이러한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자녀의 식습관에 대

  • PDF

회야강 하구 주변의 지형변화(진하 해수욕장을 중심으로)

  • Park, Sang-Gil;Choe, Seon-Ho;Cheon, Su-G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1990.07a
    • /
    • pp.221-221
    • /
    • 1990
  • 진하 해수욕장은 부산에서 약 40km 정도 동해안도로를 거슬러 올라가면 경남 울주군 진하리에 위치한 조그마한 자연해변의 해수욕장이다. 해수욕장의 동쪽에서는 회야천이 흘러 들어오고, 이 하천의 3km 상류지점에는 댐을 축조하여 온산공단 및 주변지역의 생활용수를 공급하고 있다. 어울려서, 쾌적한 위락시설 단지로서는 최적이라고 생각된다. 현재 이 해안은 매년 침식이 진행되면서 해수욕을 할 수 있는 해변 공간이 줄어들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 해안을 보전하기 위해서 관청과 주민들은 많은 심혈을 기울이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의 조사단은 1987년부터 해마다 수침측량을 실시하여 해수욕장의 지형변화를 조사하고 있다. 특히 이 해수욕장의 사빈은 몇년전 부터, 침식형의 사빈으로 변화되어 매년 많은 모래가 유실되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어, 관청 및 주민들의 관심을 집중시키고 있다. 따라서, 금년에도 울주군청에서는 회야강 하구에 생성된 사주를 준설하여 준설된 모래를 해수욕장에 인공적으로 투입하여 양빈을 실시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 작업은 하구폐색의 문제를 해결할 뿐만 아니라 선박의 운행에도 큰 도움을 주고 있다. 이러한 작업은 기초해안 자료를 충분히 검토된 상태에서 실시되어야 한다. 그러치 못할 경우는 인위적으로 투입된 모래는 파랑에 의해서 다시 심해방향이나, 해안류를 따라서 다시 하구로 밀려오는 현상이 일어 날 것이다. 본 연구는 회야강 하구의 지형변화와 진하 해수욕장의 사빈의 변화를 정확히 파악하고져 단기간 동안 심천 측량을 실시한 결과를 이용하여 기존이론으로 해석한 결과를 제시함을 목적으로 한다.고 동시에 광 스트레스에 대한 저해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보인다. 있다. 청주권의 무심천도 계획상은 대청댐의 물을 공급 받을수도 있도록 되어 있으나 현실상으로 상수도 원수로서의 공급마저도 매년 심한 원수 수질 문제(5-6월, 10월경의 취수장 부근의 부영양화 현상으로 인한 악취와 물 맛의 문제)를 1984년부터 겪고 있다. 이와 같이 도시권 하천의 수자원은 자연적, 인위적, 경제적, 법적, 제도적 여러 제한 요소로서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날로 심해 가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최적 물관리 시스템의 개발이 새로이 시작하는 수자원 개발 사업에서는 계획 단계에서부터 절실히 요구되는 바이며 기존 시설물의 관리 운영은 과감히 그 운영 관리 기준을 보완 재 정비하여야 할 것이다. 지금까지 대부분의 수자원 종합 개발 계획이 홍수방이나 용수 공급 및 수력 개발 등에 주력하여 왔으나 이제는 보다 더 수자원의 환경 보전적 차원과 도시의 안정적 발달을 위한 지역 및 권역 계획과 연계지워져서 양적인 안정 공급과 더불어 질적인 향상과 연계지워서 경제-사회적 요구에 부응할 수 있도록 도시권의 수자원을 최적 관리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여야 할 것이다. 이는 각 도시 하천의 수자원의 정량적·정성적인 특성 및 제한 요소를 충분히 감안하여 수요-공급 개념에 의하여 과감히 기존 시설(예: 팔당댐의 운영, 대청댐의 운영 등)의 관리 운영 체계를 개선하여 나가야 할 것이며, 수질 보전적-환경 보전 차원에서 저수관리 체계를 확고히 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여야 할 것이다.펄스주입법에 의해 증착된 박박은 강유전성 이력을 나타내었다.지역

  • PDF

호소의 부영양화 및 관리

  • 공동수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Toocicology Conference
    • /
    • 1994.05a
    • /
    • pp.51-53
    • /
    • 1994
  • 담수는 인간의 생존에 필수적인 요소이다. 우리는 매일 일정량의 물을 섭취하고 있으며, 일상에서 직접, 간접적으로 물과 관련되지 않고서는 생활할 수 없다. 지구 표면의 약 70%가 물로서 덮여 있다고는 하지만 인간의 생활에 직접적인 이용가치가 있는 담수(지표수)는 전체 물의 용적의 2%에 지나지 않는다. 한국의 연평균 강수량은 1,274mm로서 세계 연평균 강수량인 970mm보다 많은 편이나 인구 1인당 연간 강수량은 약 3,000m3으로서 세계 평균인 34,000m3의 11분의 1에 지나지 않는다. 수자원총량중 지하침투와 증발에 의해 손실되는 양을 제외한 하천유출량은 전체의 55%인 697억m3으로서 이것이 곧 가용수자원량이다. 그러나 하절기 강우집중도가 높은 우리나라 실정에서는 가용수자뭔량중 수자원총량의 37%가 홍수시 유출되고 실제 이용량은 수자원총량의 18%인 230억m3에 불과하여 인구증가와 함께 수자원의 가치가 더욱 증대하고 있는 실정이다. 더우기 지하수 이용량은 19억m3에 불과함에 따라 우리나라는 실제 이응수자 원량의 90% 이상을 지표수에 의존하고 있으며, 그 중 약 40%가 호소수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수자원 이용효율의 취약성으로 인해 제한된 수자원 용량과 생활 및 농공용수의 과수요에 따른 불균형으로 근래 많은 하천이 갈수기나 평수기시 친천화되어 가고 있어 수중생태계에 큰 위협을 주고 있다. 또한 이에 더하여 산업발달과 함께 수질오염원은 양적으로는 물론 질적으로도 증가일로에 있어 기존의 유기 및 중금속 오염물질을 포함해 수많은 신생 유기화합물질이 수계에 유출되고 있으며, 이에 더해 질소 및 인으로 대표되는 영양물질의 유입과다로 국내 대다수의 호수가 부영양화의 새로운 위협에 직 면해 있다. 우리나라에는 적은 유입유량에 큰 저수용량 및 긴 체류시간으로 대표되는 대규모 자연호는 없으며, 대부분이 매단위 강을 막아 형성된 체류시간 1년 이하의 인공호로서 그 중 안동호, 충주호, 대청호 등은 비교적 체류시간이 긴 호소형 인공호로, 팔당호나 기타 대부분의 호수는 체류시간이 짧은 하천형 인공호로 대별된다(Table 1). 이처럼 국내 호소는 국외의 자연 호와는 다른 구조적 특성을 가짐에 따라 부영양화 특성 역시 매우 상이하고, 호소형 인공호와 하천형 인공호간의 차이 역시 현저하여 일률적인 관리대책을 설정하기가 어려운 실정에 있다. 또한 각 호수의 유역특성이 상이함에 따라 호수별로 유역 오염원의 오염부하율이 현저히 달라(Table 2) 호수에 따른 특성적인 유역관리(Lake-specific management)가 요구되고 있다 정상상태(Steady state)가 아닌 국내 호소에 대해 국외 자연호의 인단순모델 (Simple phosphorus budget model)을 그대로 적용하는 것에 다소 무리한 점이 따르나, 평균적인 개념으로 OECD의 유역부하량 및 호소특성에 따른 부영양화 판정모델을 적용한다면, 국내 주요 호수는 모두 부영양 수준에 있다. 또 각 호수별로 부영양화 제어를 위해 요구되는 인의 삭감부하량은 상당량이 되어 현실적으로 관리가 이미 어려운 실정에 와 있다. 호수의 부영양화는 조류 발생으로 이어지며, 그에 따른 폐해는 각종 형태로 나타나는데 대표적으로 이취미 발생이나 유해조류에 의한 독성물질의 배출, 정수처리 과정의 THM 발생등이 주로 문제가 되고 있다. 따라서 국내 호수의 구조적 특성별 부영양화 실태를 파악하고 그에 따른 영향 및 관리방안에 관한 종합적 고찰이 차후 수질관리를 위해 요구되고 있으며, 특히 납조류로 대표되는 유해조류의 독성영향에 관한 연구는 시급한 실정에 있다.

  • PDF

Illness Experiences and Palliative Care Needs in Community Dwelling Persons with Cardiometabolic Diseases (심혈관대사질환이 있는 지역사회 거주 환자의 질환경험 및 완화의료 요구)

  • Cha, EunSeok;Lee, JaeHwan;Lee, KangWook;Hwang, Yujin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v.22 no.1
    • /
    • pp.8-18
    • /
    • 2019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better understand the illness experiences and palliative care needs in community-dwelling persons with cardiometabolic diseases. Methods: This qualitative descriptive study was conducted with 11 patients (and three family members) among 28 patients contacted. Interviews were led by the principal investigator in her office or at participants' home depending on their preference. All interviews were digitally recorded and transcribed by a research assistant. The interviews were analyzed by two independent researchers using a conventional method. Results: Participants' ages ranged from 42 to 82 years (nine men and two women). Three themes were identified: (1) same disease, but different illness experiences; (2) I am in charge of my disease(s); (3) preparation for disease progression. Participants were informed of the name of their disease when they were diagnosed, but not provided with explanation of the diagnosis or meant or how to do self-care to delay the disease progression, which increased the feelings of uncertainty, hopelessness and anxiety. Taking medication was considered to be the primary treatment option and self-care a supplemental one. Advanced care plans were considered when they felt the progression of their disease(s) while refraining from sharing it with their family or health care professionals to save their concerns. All participants were willing to withhold life-sustaining treatment without making any preparation in writing. Conclusion: Education on self-care and advanced care planning should be provided to community-dwelling persons with cardiometabolic diseases. A patient-centered education program needs to be developed for this population.

Perceptions of school meal services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dieticians/dietetic teachers in Gwangju area according to the conversion of free meal services (무상급식 전환에 따른 광주지역 중학생과 영양(교)사의 학교급식에 대한 인식)

  • Kim, Sook-Wha;Heo, Young-Ran;Ro, Hee-Kyong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v.48 no.1
    • /
    • pp.113-121
    • /
    • 2015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atisfaction with and perception of the school meal service according to middle school students and dieticians/dietetic teachers in Gwangju area who experienced change to the free meal service and the main contents were as follows. Methods: The research subjects were 197 students (99 boys and 98 girls) and 42 dieticians/dietetic teachers were recruited. Results: Compared to the free meal service before, satisfaction of students was high (53.8%), and 69.9% of students said there was no change in the school meals, however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between gender. Overall 80.2% of middle school students said that there was no change in menu, 70.6% were no change in the frequency of food with high preference, and 64.0% were no change in leftover of meals. 85.7% of dieticians/dietetic teachers said that there was no change in the student's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conversion of free meal services; 59.5% of dieticians/dietetic teachers said that there was no change in the frequency of foods with high preference, the variety of vegetables was increased in the qualitative change item of food materials, and 95% of them were not aware of change in the amount of students' leftover foods. Dieticians/dietetic teachers had limitations in selecting menus with purchase and costs of food materials (26.2%) by conversion of the free meal service and their priority considered was the food cost (45.2%) when they selected menus. Change in feeding affairs was office work management (26.2%) and recipe research and development (19.0%). Conclusion: With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satisfaction with the school meal service was not changed in the awareness of students and dieticians/dietetic teachers. Therefore further study is needed to determine the middle school's satisfaction with school meals based on a variety of factors including the environmental food meal services.

Measuring Attitudes and Satisfaction Level towards Military Foodservices (군 급식소의 이용실태 및 만족도 조사)

  • Kang, Bo-Kyoung;Lee, Young-Eu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v.40 no.7
    • /
    • pp.1032-1042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ttitudes and satisfaction level towards military foodservices as well as suggest effective ways to increase foodservice quality. A questionnaire survey was administered to 413 subjects, which included 400 soldiers and 13 foodservice managers. The survey period was from August 6 to August 25, 2008. The collected data were statistically treated using SPSS V12.0. Most of the investigated soldiers were 20~25 years old. The foodservice managers were male general officials and the majority of them had no prior food service training. None of the foodservice managers had a dietician certificate. Menu was planned through a local foodservice conference, and most food materials were delivered in the form of center-type and military unit-type. Deficiency and deterioration of food service facilities (28.6%) as well as deficiency in the number of cooking personnel (14.3%) increased the difficulty of operational management. Soldiers expressed a desire for increases in Western (25.7%) and Korean traditional foods (21.5%), which meant menu diversity. To increase the quality of military foodservices, taste of food (40.6%), increased portion size (30.4%), and improvement in hygienic conditions (13.6%) were demanded by the soldiers. Food taste (30.8%), improvement in hygienic conditions (23.1%), and better job management were all demanded by the foodservice managers. After factor analysis, quality attributes were rearranged into five dimensions, including facilities, food, menu, service, and sanitation most attributes were over 4 points out of 5 total in importance, but only 3 points in performance. The importance score was higher than the performance score. Soldiers' overall satisfaction level was on average 3.43 points out of 5 points.

Health Management and Services of School-Nurse in Special Schools (특수학교의 보건관리)

  • Lee, Kyung Hee;Park, Jae Yo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 /
    • v.4 no.2
    • /
    • pp.176-192
    • /
    • 1991
  • School nurses, in service of 102 special schools in Korea, were urveyed by mail questionnaires from February to March, 1991 and 77 of hem responded.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o establish the direction of health management in special school and to provide basic reference data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the management of school-nurses' services.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Out of special schools surveyed, 67.5% is private school and 83.2% is located in city. The average number of classes, students, and educational personnels per special school is 17.2, 194, and 28 respectively. The average age of school-nurses surveyed is 32.7. The proportion of graduates from the junior college and upward was 97.4%, the proportion of the married was 71.4%. Out of respondents, 71.4% has religion : 79.2% has past career in the fields of clinics or public health: 62.3% accompanishes independent services: 77.9% belongs to primary school. About 69% of nursing room in special schools surveyed is located at the first floor. Out of special school surveyed, 90.9% has no organization for school health programms: Only 18.2% entrusted everyone of school doctor, school dentist, and school pharmacists with school health. 46.8% of respondents didn't know about the annual budget for school health programmes. The average annual expenditure for school health programme per special school was 317,000F26. won and the purchase cost for medical supplies accounted for the larger part of them. The monthly average number of students utilizing school nursing room was 71 per school, annual utilization times of school nursing room was 4.4 per student and utilization due to injury was prevalent by 26.6% and there is some differences in using the school nursing room according to disabled area. Rate of referral to medical facilities was 1.4%. The leading reason of referral to medical facilities was high fever among those who have visual handicaps, fracture among those who have emotional disturbance, injury by trauma among others. Nine hundred fifty six students of students in special school surveyed have sufferd from epilepsy and prevalence rate of epilepsy was 6.4%. Only 22.6% of respondents replied that they had physical examination more than 2 times per year. Out of respnodents, 98.7% answered that they had health education and 67.1% of them ansered that they educated in a classroom, 98.7% of respondents emphasized need of sex education. Respondents put the most emphasis on the personal hygiene when they performed health education and they used broadcasting education in the area of visual handicaps, OHP or VTR in hearing handicaps, home correspondence or OHP VTR in other area importantly. About 47% of repondents answered that health education was the most difficult and they emphasized that definite guide on health management was requested. Respondents had self-confidence and high perfomance rate in most of school-nurses' services completely, but so they was not in area of evaluation of school health programmes, an examination of physical strength, evaluation of health education, management of school purification area, suture of wounds. In consideration of above findings, we may conclude that special education for school-nurse in special schools as well as improvement of definite guiding principles are requested to establish direction for health management in special schools and to improve the degree of quality for school-nurses' sevices in special schools.

  • PDF

Elderly Workers Living in Urban Areas and Their Experiences in Managing Health (도시 지역 노인 근로자의 건강관리 경험)

  • Kweon, Yoo Rim;Kim, Miyoung
    •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 /
    • v.28 no.5
    • /
    • pp.514-524
    • /
    • 201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the reported experiences of health management among twenty elderly workers living in urban areas. Methods: Corbin and Strauss's grounded theory approach was used to capture the meaning of health management. Theoretical sampling technique was used in the interviews. Using open coding, axial coding, and selective coding,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simultaneously. Results: The core category was 'pursuing health to take root in the workplace.' Four stages of the elderly workers' health management were identified as 'awareness of health changes', 'having the will to be healthy', 'utilization of health care resources', and 'reorganization of health habits.' However, when the elderly workers reported limited capacity to manage their health, then two new categories were described: 'awareness of health changes' and 'settlement with current health.' Conclusion: To the elderly workers the concept of working was equated with being healthy. Further, the participants reported having a future oriented view of health and sought health to extend their working lives. The specialized intervention of health management targeting elderly workers in the settlement stage of current health habits should be provided.

Nursing Students' Practice Experience on Community Visiting Nursing (간호대학생의 지역사회 방문건강관리 실습경험)

  • Ha, Jae-Hyun;Park, Jeong-Hee
    • Research in Community and Public Health Nursing
    • /
    • v.31 no.1
    • /
    • pp.43-53
    • /
    • 2020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xperiences of nursing students' practice on community visiting nursing. Methods: For this study,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a total of 12 nursing students, an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ividual in depth interviews from September to December 2018.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phenomenological analysis method suggested by Colaizzi. Results: The experience of visiting nursing practice consisted of four themes. Four themes are 'Understanding visiting nursing work: Tight time and problems to overcome', 'Understanding visiting nursing object: People waiting for a visiting nurse', 'Visiting nursing practice experience: Sometimes to get reprimanded but rewarding practice', and 'Expectations for visiting nursing business: Hopes for development'. Conclusion: Findings from this study presented vivid experiences of nursing students who on community home visit nursing. Community visiting nursing practice became an opportunity for students to understand visiting nursing and target people and to think about the necessity of visiting nursing and future development direct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institutional and policy basis with regard to the increasing number and role expansion of community visit nur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