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질식사고

검색결과 54건 처리시간 0.041초

CFD를 활용한 밀폐공간 가스질식사고의 피해 영향 평가 (An Estimation of the Consequence Analysis for Asphyxiation Accident in Confined Space using C.F.D.)

  • 조완수;김의수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28-34
    • /
    • 2018
  • Recently, various engineering approaches have been widely used in the accident investigation field to identify the cause of the accident and to predict damage by accident. Computational analysis is the most commonly used method of accident investigation technique. This technique is mainly used to identify the mechanism of the accident generation and to determine the cause when it is difficult to reproduce the situation at the time of the accident or when it is impossible to perform a reproduction experiment. In this study, The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analysis for nitrogen asphyxiation accident generated by defect of building structural between diffusion outlet and cooling tower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inflow path of the suffocation gas, death possibility by concentration of suffocation gas and predicted the time of death due to the accident using 3D modeling and FLACS program. We can quantify diffusion concentration of asphyxiation gas and predict mechanism of death occurrence by accident and evaluate the consequence Analysis through this study. In the future, This method can be widely used in the field of gas safety by improving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analysis.

발사대 및 시험장 건물 내의 산소농도 관리 (Oxygen contents monitoring in the building for launch and test facilities)

  • 김지훈;유병일;조상연;강선일;오승협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2009년도 제33회 추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246-249
    • /
    • 2009
  • 산소를 추진제로 사용하는 발사체를 발사하기 위한 발사대 및 그것을 시험하기 위한 설비를 보유하고 있는 건물은 언제나 누출된 산소로 인한 화재 및 폭발의 위험성을 지니고 있다. 또한 질소, 헬륨 등과 같은 각종 고압가스류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밀폐된 공간에서의 가스 누출로 인한 질식사의 위험에도 노출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공간 내의 공기 중 산소 농도를 관리하여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산소 농도 관리의 방법과 시스템 구성 및 적용 결과를 정리하였다.

  • PDF

Life-Road : 증강현실과 비콘을 사용하는 긴급대피용 애플리케이션 개발 (Life-Road : Development of an Emergency Evacuation Application using Augmented Reality and Beacon)

  • 조면균
    • 디지털정책학회지
    • /
    • 제2권4호
    • /
    • pp.11-15
    • /
    • 2023
  • 최근 사람이 많이 모이는 극장에서 갑자기 화재가 나서, 대피로를 찾지 못한 많은 사람들이 뒤엉켜 다치고 연기를 마시어 질식하는 등 대형 화재 사고가 있었다. 젊은 사람이 대부분인 상황에도 대피하지 못하였는데 만약 노약자였다면 더 큰 인명피해로 이어질 수 있었다. 특히 실내의 경우는 GPS로부터 정확한 위치정보를 전달받기 어렵기 때문에 비콘을 이용한 위치기반서비스와 직관적으로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증강현실로 대피로를 보여주는 긴급대피 시스템이 절실하게 필요하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비콘(Beacon)과 화재센서(IoT) 이용한 화재위치 및 대피로 경로 파악을 바탕으로 하여 증강현실 기반의 긴급대피용 스마트폰 앱을 개발하였다. 향후 제안 시스템이 사람이 밀집되는 실내공간에 적용된다면 갑작스런 화재사고에서도 신속한 대피가 가능하여 인명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을 것이다.

단일병원에서 관찰한 최근 10년간의 소아 우발사고에 관한 연구 : 이물흡인을 중심으로 (Clinical Study of Childhood Accidents from a Hospital Over Ten Years with Regard to Foreign Body Aspiration)

  • 김철민;송준영;김자형;김기수;홍수종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5권9호
    • /
    • pp.1134-1140
    • /
    • 2002
  • 목 적: 소아에서 우발사고는 경제 및 문화수준의 향상으로 인한 생활의 기계화와 자동화에 의해 점차 증가하는 추세이며 소아기 사망의 중요한 원인이 되고 있다. 이에 저자들은 응급실을 방문한 우발사고 환아들을 대상으로 상부 위장관이나 기도내 이물흡인과 중독을 중심으로 후향적으로 의무기록을 조사하여 소아 우발사고의 예방대책을 수립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본 조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1990년 1월 1일부터 1999년 12월 31일까지만 10년간 서울아산병원 응급실을 방문한 만 15세 미만의 외상, 추락, 화상, 이물흡인 및 중독 환아 6410명을 대상으로 하여 사고의 유형별 분석 및 이물질의 종류, 성과 연령, 위치, 치료 방법에 대하여 병원의 입원기록지를 바탕으로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 과 : 1) 사고의 유형별 분포를 보면 외상환아가 5,038례로 가장 많았고 다음이 추락 803례, 화상 353례, 이물 흡인 188례, 중독 28례의 순으로 발생하였고, 남녀비는 1.8 : 1이었다. 2) 이물흡인의 경우 총 188례 중 남녀비는 2 : 1이었으며, 연령별 발생 분포는 6세 이하가 169례(89%)로 가장 많았고 특히 1-2세가 57례(30%)로 많은 분포를 나타내었다. 중독의 경우 남녀비는 1.3 : 1이었고, 연령별 분포는 1-2세가 12례(42%)로 가장 많았고 1세 이하에서 6례(21%), 6세 이상에서 6례(21%)가 관찰되었다. 3) 이물흡인의 위치는 상부 위장관이 112례(59%)로 가장 많은 분포를 보였고, 호흡기관 57례(30%), 외이도가 15례(7%) 순이었다. 상부 위장관 이물의 경우 식도가 69례(61%)로 가장 많았고 위가 43례(38%)를 보였다. 기도내 이물의 경우 우측 및 좌측 주 기관지가 각각 27례(47%)로 동일한 분포를 보였다. 4) 이물의 종류를 보면 상부 위장관의 경우 동전이 65례(58%)로 가장 많았고, 핀이 12례(10.7%), 장난감 및 열쇠가 각각 6례(5.3%), 반지 및 바둑알이 각각 5례(4.5%)였으며, 기도내 이물의 경우 땅콩이 36례(63%)로 가장 많았고, 장난감 부속품이 11례(19%)였다. 5) 이물흡인의 치료 방법으로 상부 위장관 이물의 경우 경성 식도내시경으로 제거된 경우가 60례(54%), 굴곡성 내시경으로 제거된 경우가 29례(26%), 수술을 받은 경우가 7례(6%)였으며, 16례(14%)는 자연 배출되었다. 식도내 이물과 위내 이물 중 핀과 같은 날카로운 경우 진단 즉시 내시경으로 제거하였고, 위내 이물 43례 중 20례는 진단 후 24시간 이내에 제거하였다. 그러나 추적 관찰시 시행한 단순 복부 방사선사진에서 위내 이물이 십이지장을 지난 23례 중 16례(70%)는 2주 이내에 모두 합병증이 없이 자연 배출되었고, 7례(30%)는 장폐쇄 증상 등이 동반되어 수술적으로 제거되었으며 수술 후 합병증은 동반되지 않았다. 기도내 이물의 경우 51례에서 경성 기관지내시경으로 제거되었으나 6례에서는 이미 심한 질식과 뇌손상으로 사망하였다. 6) 중독의 원인별 분포를 보면 약물이 원인인 경우가 14례(50%)였고, 그 중에서 경련성 질환을 가진 환아에서 Carbamazepine이 5례(18%), Valproic acid가 4례(14%)였다. 결 론: 지난 10년간 우발사고의 원인으로 외상이 가장 많았고, 추락, 화상, 이물흡인 그리고 중독의 순이었다. 최근에 이물흡인과 중독이 영유아에서 많이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기도내 이물흡인의 경우 사망률이 가장 높기 때문에 기도 유지를 위한 적절한 처치가 필요함을 알 수 있다.

GRA(Generic Risk Analysis) 기법을 이용한 공기분리시설에 대한 준 정량적 위험성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emi Quantitative Risk Analysis for Air Separation Unit using a GRA(Generic Risk Analysis) Method)

  • 신정수;변헌수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56-66
    • /
    • 2013
  • 가스제조 시설들은 불활성 가스공급을 통하여 제조업 시설의 안전한 운영 및 유지하는 역할을 하며, 폭발성, 가연성 및 독성가스를 공급하여 화학제품 제조에 필요한 기초 원료의 공급을 담당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가스의 제조과정에서 고온, 고압, 초저온 및 촉매반응 등의 운전조건 하에서 시설이 운전되기 때문에 안전하고 신뢰성 있는 운영이 반드시 필요하다. 이러한 공장들은 공정관리가 복잡하며 제조물질의 누출로 인한 화재, 폭발 및 독성가스 누출로 인한 중대산업사고의 위험성이 있고, 불활성가스로 인한 질식재해, 고온 및 초저온으로 인한 화상 등 잠재적인 위험요소를 많이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신뢰성 있는 준 정량적 위험성평가 기법인 GRA(Generic Risk Analysis) 모델을 공기분리시설(ASU)에 적용하여 초기위험도(Initial Risk) 산정, 안전방벽(Safety Barriers) 적용, 잔여위험도(Residual Risk) 산정 및 중요안전요소(EIS, Elements Important for Safety)를 도출 하였으며, 위험성 평가 결과로 도출된 중요안전요소에 대한 효과적인 안전관리 및 시행절차의 구축을 제안하였다.

사망사고 관련된 유해화학 물질 남용자들의 혈액 중 톨루엔과 부탄의 분석 (Analysis of Blood Toluene and Butane in Death Cases of Inhalant Abusers)

  • 김남이;양영근;정희선;박성우
    • 분석과학
    • /
    • 제12권6호
    • /
    • pp.577-582
    • /
    • 1999
  • 혈액 중에서 톨루엔을 HS-SPME 법을 이용하여 GC/MSD로 분석하였으며, 부탄가스류의 분석은 HS 법을 이용하여 CC/FID로 분석하였다. 우리 나라의 경우 지난 3년 동안 청소년들이 본드류나 부탄가스류 등을 흡입한 상태에서 사망한 경우가 총 75건이 발생하였다. 본드류를 흡입하다가 사망한 사람은 27명이었으며, 그 중에서 9명은 톨루엔 중독상태에서 자제력의 상실 등으로 인하여 고층에서 떨어지는 추락사를 하였으며, 이때의 혈중 농도 분포는 $1.3{\sim}21.6{\mu}g/mL$으로 상당히 높은 농도였다. 또한 부탄가스를 흡입하다가 질식 사망 또는 흡입 사망한 사람은 54명이었으며, 이 중에는 본드류와 부탄가스를 동시에 흡입하다가 사망한 6명도 포함되었다.

  • PDF

요양시설 화재 시 피난에 관한 연구 (A Study of Evacuation in Elderly Care Facilities Fire)

  • 차종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1호
    • /
    • pp.602-607
    • /
    • 2017
  • 과학기술의 발달로 인류의 평균 수명이 늘어나고 그에 따라 노인 인구의 수가 크게 증가하게 되었다. 이러한 노인 인구들은 현대 사회의 핵가족화, 노령화, 서구문명의 영향에 따른 경로 효친 사상의 약화 등에 따라 가족과의 동거가 아닌 노인전문 시설에서 요양하게 되는 경우가 크게 증가하였으며, 이에 맞추어 노인요양시설의 수가 크게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최근 2014년 5월 28일 전남 장성에 위치한 노인요양병원에서 화재가 발생하였는데, 소방대원의 빠른 화재 진압에도 불구하고 사상자 28명 중 21명이 연기로 인한 질식으로 인해 사망하였다. 이러한 사고들에 대하여 화재 시 대피가 어려운 노인들이 위치한 병실로 연기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대책을 마련하고자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기유입 방지를 위해서 에어커튼 방식을 이용하는 것으로 계획하고 연기발생기로 연기를 발생시켜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 결과 에어 커튼이 설치된 병실에 병실 문이 닫혀 있을 경우 90% 이상의 연기유입을 차단하는 효과를 확인하였다.

다중검출 나선형 CT로 진단한 기관지 이물 흡인 (Bronchial foreign body aspiration diagnosed with MDCT)

  • 조혜경;조기영;조성윤;손세정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0권8호
    • /
    • pp.781-784
    • /
    • 2007
  • 이물 흡인은 영아와 어린 소아에서 흔히 발생하는 사고이다. 진단이 늦거나 기도 내에 이물이 오래 머물게 되면 질식의 위험뿐만 아니라 폐렴, 무기폐, 또는 기관지 확장증 등의 합병증이 발생한다. 또한 세기관지염이나 크루프, 천식 등으로 잘못 진단하고 치료하는 경우가 많이 있게 된다. 저자들은 초기에 세기관지염으로 진단되었다가 기관지 이물 흡인으로 확진되어 치료한 증례를 통해, 자세한 병력청취와 세밀한 진찰소견에 의해 이물 흡인을 강력히 의심하는 것이 진단에 매우 중요함을 인식하였다. 이 때, 흉부 방사선 이상 소견이 미약하더라도 무시해서는 아니되며 이상 소견이 뚜렷하지 않다면 시간차를 두고 반복 검사를 하는 것이 진단에 도움이 된다. 이물 흡인의 확진에는 다중검출 나선형 CT 검사가 매우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선박 승무원의 피난 효율 향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the efficiency of the evacuation of the ship's crews)

  • 김원욱;김종수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3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53-154
    • /
    • 2013
  • 이 연구에서는 화재에 의한 인명사고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질식사를 감소시키기 위해서 연기유동 속도를 낮추는 방법에 대해 제안하고자 한다. 기존의 선박은 화재 경보 발령 시 방화문이 자동적으로 폐쇄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는 탈출을 감행하는 승무원이 없을 경우 화재 확산 및 연기의 유동을 지연시켜 승무원 생존율 향상에 아주 유용한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피난을 완료하지 못한 방화문 안쪽에 위치한 승무원들에게는 치명적일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화재로 인해 방화문이 폐쇄될 경우 승무원들이 이문을 열고 탈출을 감행할 경우의 온도 확산 및 연기 유동 속도를 검토하고 제안하는 차단막 구조와 비교 검토하고자 한다.

  • PDF

제조업에서의 용접·용단 작업 중 화재·폭발·질식 사망사고 특성 (The Characteristics of the Fatal Accidents Caused by Fire, Explosion and Asphyxiation during Welding and Flame Cutting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 서동현;한우섭;이근원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21-27
    • /
    • 2019
  • Many accidents have been occurring during welding and flame cutting work related to maintenance and repair as the domestic manufacturing facilities gradually become decrepit. However, it is not easy to find the accurate statistics and analysis data on accidents occurring during welding or flame cutting operations related to maintenance and repair of machinery and equipment. Therefore, in this study, the fatal accident cases of fire/explosion and asphyxiation that occurred during the welding and flame cutting work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were collected and their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Then, we tried to find the connection of the accidents according to the machinery/equipment and the work content, and to provide the materials and measures that can be used to prevent the similar accidents. We collected 329 cases of the fatal accidents related to fire/explosion and leakage/contact of chemical substances in the domestic manufacturing industry during the last 10 years (2008 ~ 2017). Among them, 72 accidents occurred during welding or flame cutting were extracted and the related reports were investigated whether they occurred during usual work or unusual work. Also, the machinery/equipment and the work content related to the accidents were classified and analyzed based on the criteria.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31 cases of the fire/explosion accidents occurred during usual work and 32 cases during unusual work, and it was found that 9 cases of asphyxiation death occurred during usual work. Then, from the analysis results, the connections of the machinery/equipment and the work contents related to the accidents were schematized into a accident tr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