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질소시비수준

검색결과 396건 처리시간 0.021초

파종량 및 질소시비수준이 봄 연맥의 생육특성 , 사료가치 및 사초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eeding Rates and Nitrogen Fertilization Levels on the Agronomic Charicteristics , Nutritive Value and Forage Yield of Spring Oat)

  • 한건준;김동암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59-66
    • /
    • 1992
  • 본 시험은 봄 연맥(Avena sativa L.)에 대한 파종량및 질소시비수준이 생육특성, 사료가치 및 사초의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1987년 9월부터 11월 까지 약 2개월간에 걸쳐서 수행되었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출현솔은 파종량이 ha당 120,160 및 200kg으로 증가함에 따라서 93.4, 71.4 및 70.6%로 낮아졌다(P<0.01) 2. 분벽솔 발생은 파종량의 증가에 대하여 유의적인 감소가인정되어(P<0.05), ha당 파종량 120kg, 질소시비수준 200kg인 구가 3.3개로 가장많았던 반면 파종량이 200dkg으로 높아지면 2.1개로 낮아졌다.3. 엽폭은 파종량에 의해 영향을 받아서 파종량이 증가할수록 엽폭은 감소하였으며 (P<0.05), 엽신장은 파종량과 질소시비수준에 의해 유의성이 나타나지 않았고, 파종량이 낮을수록 엽신장은 약간 증가되는 경향만을 나타내었다. 4. 초장은 질소시비수준에 의해서는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 파종량의 증가에 대하서는 유의성을 나타내어(P<0.05), 파종량이 높아질수록 초장은 깅어졌다.5.파종량이 낮고 질소시비량이높은 시험구가 조단백질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P<0.05).질소시비효과가 커서 질소시비수준이 ha당 100,150,200kg으로 높아짐에 따라 19.3,20.2,및 21.4%로 조단백질 함량이 높아졌다. ADF와 NDF는 파종량과 질소시비수준에 따른 함량의 변화가 없었지만 MDF함량에서 파종량과 질소시비수준에 의한 상호작용만이 인정되었다. In vitro 건물소화솔은 파종량과 질소시비수준증가에 따라 높아지는 경향만을 나타냈다.6. 파종량이 120,160, 및 200kg/ha로 증가되면 건물수량도 ha당 3,197,3.583 및 3.713kg로 증가되었으나 질소시비수준에 따른 건물수량 증가는 그 효과가 인정되지 않았다.7. 조단백질수량은질소시비수준 증가에 의해서만 고도의 유의적 증가를 나타내어(P<0.01), 질소시비수준이 ha당 100,150,및 200kg일때 증가되었다.8. In virto 가상화건물수량은 파종량이나 질소시비량에 의하여 유의적으로 증가되지 않았다. 본 시험에서 얻어진 결과에 의하면 우리나라에서 청예리용을 위한 봄 연맥의 파종량은 연맥의 가을철 청예로서의 이용적 측면을 고려해 볼 때 ha 200kg 정도로 높여주고 질소시비수준은 ha당 100kg 정도가 적당하다고 생각된다.

  • PDF

질소시비수준이 소과종 수박의 수량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Nitrogen Fertilizer level on the Yield and Quality of watermelon(Citrullus vulgaris S.).)

  • 이상규;김광용;정주호;이용범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1997년도 봄 심포지움 및 학술논문발표요지
    • /
    • pp.46-52
    • /
    • 1997
  • 소과종 수박의 고밀도 지주재배시 질소시비량을 260kg/㏊, 200, 140, 0, 무비구로 하여 생육, 수양, 품질 및 무기양분 흡수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 생육특성은 질소시용구가 0kg시용구와 무비구보다 초장, 엽면적, 생체중 및 건물중이 좋았고, 질소시용구간에는 차이가 없었으며 엽수는 모든 처리구에서 차이가 없었다. 나. 수량특성은 140kg/ha시용구가 32,010kg/ha로 가장 높았고, 착과율도 79%로 가장 높았다. 다. 품질특성은 140kg 시용구가 식미지수 3.9, 당도 12.5 $^{\circ}$Bx로 다른 처리구보다 좋았고, 무비구가 12.0 $^{\circ}$Bx로 처리구 중에서 가장 낮았다. 과피두께는 질소 시비량이 증가할수록 두꺼웠다. 라. 식물체(잎)내 T-N의 함량은 질소시비량이 많았던 처리구일수록 증가폭이 컸으며, 모든 처리구에서 생육중기에 가장 많이 흡수되었다. 인산함량은 질소시비량에 따라서 큰 차이가 없었으며 칼슘함량은 질소시비량이 많을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마그네슘 함량은 칼슘과는 달리 질소시비량이 많을수록 생육후기에 낮았다. 마.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소과종 수박을 밀식하여 지주재배를 실시할 때 토양 염류집적을 줄여주고, 품질 및 수량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질소시비량을 대과종 수박재배시의 70% 수준으로 줄여서 시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사료된다.

  • PDF

답압조건의 크리핑 벤트그라스 훼어웨이에서 여러 가지 잔디관리방법이 엽조직 및 토양 질소함유량에 미치는 상호작용효과 (Traffic and Cultural Practice Interactions on the Leaf and Soil Nitrogen Contents of 'Pennccross' Creeping Bentgrass (Agrostis palustris Huds.) Fairway Turf)

  • 김경남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13-126
    • /
    • 1998
  • Wear simulator로 답압이 가해진 크리핑 벤트그라스 (Agrostis palustris Huds.) 훼어웨이에서 관수방법·예지물 순환 및 질소시비수준의 여러 가지 잔디관리 요인이 엽조직 및 토양질소 함유량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포장은 'Penncross'크리핑 벤트그라스 반디밭으로 1988년에 sharpsburg silty-clay loam (Typic Argiudoll) 토양에 조성하였으며, 실험은 1989년부터 1991년까지 3년간 수행하였다. Split-split-plot 실험디자인을 사용하여 주구에 daily or biweekly irrigation, 세구에 clipping return or removal, 세세구에 low-N (5g), moderate-N (15g), high-N (25g N m-2 yr-1)처리를 난괴법 3 반복으로 배치하였다. 생육기간중 잔디예초는 12mm 예고로 일주일에 4번 실시하였고, 기타 잔디관리는 high maintenance 수준으로 유지되는 한지형 양잔디 훼어웨이 기준으로 실시하였다. 엽조직 및 토양샘플은 1989년 2회, 1990년과 1991년에는 3회씩 채취하여, 네브라스카 주립대 토양식물분석실에서 분석하였다. 답압이 가해진 크리핑 벤트그라스 훼어웨이 잔디에서 엽조직 질소함유량은 여러 가지 잔디관리 방법간 상호작용 효과가 관찰되었다. 1989년 나타난 질소시비수준과 관수방법간의 상호작용에서 daily irrigation 지역의 엽질소 함유량은 질소시비량이 low-N 수준에서 high-N 수준으로 증가함에 따라 3.51%에서 3.94%로 quadratic pattern으로 증가하였다. High-N 처리지역에서 엽질소 함유량은 daily irrigation 관수방법이 biweekly irrigation 관수방법보다 약 4% 정도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엽질소 함유량은 특히 질소시비 수준에 따라 크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1990년 질소시비량이 low-N 수준에서 high-N 수준으로 증가함에 따라 3.50%에서 4.25%로 quadratic pattern으로 증가하였고, 1991년에는 4.20%에서 4.60%까지 linear pattern으로 증가하였다. High-N 처리구의 엽조직 질소함유량은 low-N 처리구와 비교시 1990년에는 21%, 1991년에는 10%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잔디조성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엽조직의 질소함유량도 증가하였다. Low-N 수준에서 1991년 엽질소 함유량은 1990년에 비해 20% 증가하였으며, high-N 수준에서는 1991년의 엽조직 질소함유량이 1990년 보다 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잔디조성후 경과기간에 따라 연간 시비량을 조절할 필요가 있으며, 특히 새로 조성된 잔디밭과 조성된 지 어느 정도 지난 기존 잔디밭간에 차별화된 관리프로그램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잔디관리에서 답압이 가중되는 정도에 따라 지역별로 장기간 차별화된 관리 접근을 해야하고, 정기적으로 토양 및 엽분석을 실시해서 시비프로그램에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하겠다. 본 연구결과 나타난 잔디관리 요인간 상호작용효과는 잔디관리시 여러 가지 관리방법에 따른 효과를 입체적으로 분석해서 해당 골프장 현실에 적합한 통합적인 잔디관리(integrated turfgrass management)의 필요성을 제시한다고 할 수 있겠으며, 또한 답압가중 정도에 따른 잔디관리요인간의 반응효과차이는 향후 무답압 지역에서 실시된 연구결과를 답압을 받고 있는 경기장 및 골프장 등의 잔디밭에 적용할 경우에는 주의깊게 데이터 활용을 해야 되리라고 사료되었다.

  • PDF

토양재배시 질소 시비수준에 따른 Chicory의 생육 양상 (The Growth Pattern of Chicory as to the Level of Nitrogen Fertilization)

  • 박권우;원재희;장광호;장매희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1994년도 가을 심포지움 및 학술논문발표요지
    • /
    • pp.92-93
    • /
    • 1994
  • 본 실험은 질소 시비수준에 따라 치커리의 품종간에 어떤 질적, 양적 변화를 가져오는지 알고자 하는 실험으로 치커리를 재배하는데 좀 더 향상된 품질을 만들어 보급함에 그 기초적 자료를 얻고자 실시하였다. 실험에서는 Chicory의 3가지 품종에 있어 질소시비량을 달리한 토양재배시 생육추이와 상품성을 고려하여 적정 시비량 수준을 조사하였다. (중략)

  • PDF

제주화산회토양 초지에서 양돈분뇨 시용에 따른 목초 생산성과 토양특성 변화 I. 목초생산 및 유해성분 축적에 미치는 효과

  • 김문철;현해남
    • 한국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초지조사료학회 1999년도 제24회 정기총회 및 프로그램, 제37회 학술발표회 및 특별강연 초록
    • /
    • pp.91.2-92
    • /
    • 1999
  • 본 시험은 1997년 9월부터 1998년 10월까지 제주 화산회토양의 혼파초지에서 양돈 분뇨시용에 따른 목초생산 및 유해성분 축적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키 위해 질소시비 수준과 양돈분뇨의 시비수준을 달리하여 분활구 배치법으로 시험이 수행되었다. 목초초장이나 건물수량은 질소시비수준 1, 150 및 300kg/ha에 따라서 통계적으로 유의적 차이를 얻었으나 양돈분뇨시용 1, 750, 1,500 및 3,000kg/ha 효과는 얻지 못했다.(중략)

  • PDF

예취높이와 질소시비수준이 수수-수단그라스계 잡종의 생육특성 , 건물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utting Heigth and Nitrogen Fertilization Levels on the Growth Chrateristics and Dry Matter Yield of Sorghum-Sudangrass Hybrid)

  • 이상무;문상호;구재윤;전병태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41-48
    • /
    • 1992
  • 본 실험은 예취높이와 질소시비수준이 sorghumsudangrass hybrid(Sordan 79)의 고사주, 신지발생(측지+분벽경), 고지의 건물비솔, 총건물수량 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예취높이(5cm, 10cm, 15cm, 20cm)를 주구로 하고 질소시비수준(150kg,250kg,350kg/ha)을 구로 하여 1988년 5월부터 9월 까지 건국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사료포장에서 실시한 결과를 요 하면 다음과 같다. 1. 초장은 예취높이와 질소시비수준이 높은 구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고온시에 큰 차이를 나타냈다. 2. 예취후 소사주는 예취 높이가 낮아질수록 증가하였으며 (P<0.01) 질소시비수준에 있어서는 증가될수록 고사주 발생도 높게 나타났다. 3. 예취후 측지의 발생은 예취 높이가 높아질수록 증가하였으며 (P<0.01) 신지의 발생은 질소시비수준이높은 구에서 높은 경향을 보였다. 4.예취높이가 높아질소록 재생건물수량에 있어서 측지가 차지하는 비솔은 증가하였으며(P<0.05), 예취높이가 낮은 구의 재생건물수량은 대부분 분벽경이 차지하였다. 5. 건물수량은 질소시비수준이 높아질수록 모든 구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P<0.01) 예취높이 20cm구가 대부분 건물수량이 높았다.량이 높았다.

  • PDF

질소시비수준이 소과종 수박의 수량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Nitrogen Fertilizer Level on the Yield and Quality of Watermelon (Citrullus vulgaris S.))

  • 이상규;김광용;정주호;이용범;배종향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97-102
    • /
    • 1997
  • 소과종 수박의 고밀도 지주재배시 질소시비량을 260, 200, 140, 0kg/ha, 무비구로 하여 생육, 수량, 품질 및 무기양분 흡수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생육특성은 질소시용구가 0kg 시용구와 무비구보다 초장, 엽면적, 생체중 및 건물중이 좋았고, 질소 시용구간에는 차이가 없었으며 엽수는 모든 처리구에서 차이가 없었다. 수량특성은 140kg/ha 시용구가 32,010kg/ha으로 가장 높았고, 착과율도 79%로 가장 높았다. 품질특성은 140kg/ha 시용구가 식미지수 3.9, 당도 12.5 $^{\circ}$Bx로 다른 처리구보다 좋았고, 무비구가 12.0 $^{\circ}$Bx로 처리구 중에서 가장 낮았다. 과피두께는 질소시비량이 증가할수록 두꺼웠다. 엽내 T-N의 함량은 질소시비량이 많았던 처리구일수록 증가폭이 컸으며, 모든 처리구에서 생육중기에 가장 많이 흡수되었다. 인산함량은 질소시비량에 따라서 큰 차이가 없었으며 칼슘함량은 질소시비량이 많을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마그네슘 함량은 칼슘과는 달리 질소시비량이 많을수록 생육후기에 낮았다.

  • PDF

질소시비수준과 시비방법이 율무의 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Nitrogen Levels and Treatments on Agronomic Characteristics and Yield in Job's Tears(Coix lacryma-Jobi L.))

  • 권병선;박희진;성낙술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413-418
    • /
    • 1992
  • 질소시비수준과 추비방법이 율무의 생육과 종실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애원종을 공시하여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시비량과, 추비 횟수가 증가할수록 초장, 엽수, 주당경수, 정립비율, 1$\ell$중, 100립중, 10a당 종실중의 수량형질은 질소 14kg / 10a의 적은 량을 기비로 40%, 1차 추비로 30%, 2차 추비로 20%, 그리고 3차로 10%를 시용했거나 180kg / 10a의 많은 량을 전량기비로 시용했을 때 모두 높게 나타났다. 3. 분산분석에서도 시비량간, 시비방법간, 시비량과 시비방법간의 교호작용에서도 유의차를 나타내었다.

  • PDF

율무에 대한 질소시비가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Nitrogen Fertilization on Growth Characteristics and Grain Yield of Job's Tears)

  • 강치훈;육완방;김두환;윤장근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340-346
    • /
    • 2000
  • 본 실험은 질소 시비 수준 0, 80, 160, $240kg\;ha^{-1}$에 따른 율무 1호 품종의 생육 특성, 조곡 수량, 질소축적 및 수확 후 토양의 화학성분 변화를 조사하였다. 질소시비 수준이 증가될수록 출수, 개화기는 단축되었으나 개화기부터 수확기까지 소요되는 기간은 증가되어 파종에서 수확기까지 소요되는 기간은 0-5 일 증가되었다. 질소시비 수준이 증가할수록 간장, 주분얼경의 수, 착립부위고는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P<0.05). 주간절수, 주간직경, 착립부위장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주간의 소수지경수, 주간의 착립절간은 유의한 증가가 있었으나 $80kg\;ha^{-1}$ 이상에서는 큰 차이가 없었다 (P<0.05) 조명나방 피해는 질소 $240kg\;ha^{-1}$ 처리구에서 30%로 높아 수량감소의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수량구성요소는 질소시비량과 비례하여 양호해지는 경향이었으나 주당립수는 질소시비량 $160kg\;ha^{-1}$ 구에서 가장 많아 조곡 수량이 $3,410kg\;ha^{-1}$로 최고 질소 시비수준인 $240kg\;ha^{-1}$구에 비해 $140kg\;ha^{-1}$ 많았다. 질소사용효율은 질소시비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실험후 토양중 총 질소함량은 실험전에 비해 질소 0, $80kg\;ha^{-1}$ 구에서는 낮았으며 질소 160, $240kg\;ha^{-1}$ 구에서는 높았다.

  • PDF

남부지방에 있어서 수도수량구성요소 및 수량해석II. 질소시비량에 따른 주요형질 및 수량의 변이 (Analytical studies on the Rice Yield Component and Yield in South Region of Korea. II. Variation in the rice yield component and yield under the different nitrogen fertilizing levels)

  • 김용재;김규진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218-226
    • /
    • 1984
  • 남부 답다모작지대에 있어서 수도적정시비량을 구명하기 위하여 질소시비량을 10a당 10, 15, 20, 25kg의 4수준, 이앙기를 5월 20일, 6월 5일, 6월 20일, 7월 5일의 4시기로하여 수량구성요소및 수량의 변이를 검토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난지 도작에 있어서 질소의 적정시비량은 서광벼는 20kg/10a, 동진벼는 15kg/10a 수준이었다. 2. 질소의 적정시비량에서 단위면적당 수수와 등숙률 사이에는 부의 유의 상관관계(서광벼 r =-0.6023* 동진벼 r =-0.8581**)가 인정되었다. 3. 시비수준에 따른 1,2차 지경 및 영화의 퇴화율은 서광벼는 질소 25kg/10a 에서, 동진벼는 질소 20kg/10a 이상의 수준에서 컸다. 4. 등숙비율에 있어서 서광벼는 질소증비에 따른 변이가 크지 않았으나 동진벼는 증비에 따른 급격한 등숙비율의 저하 경향을 보여 수량감소의 주요인이 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