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질병 치료

검색결과 1,509건 처리시간 0.029초

감염성 질병의 치료에 있어서 부신피질호르몬제 (corticosteroid)는 어떻게 이용돼야 하는가(I)

  • 이방환
    • 대한수의사회지
    • /
    • 제30권2호
    • /
    • pp.67-74
    • /
    • 1994
  • 감염성 질병을 치료하는 데 있어서는 거의 모든 경우에 항생약제요법을 위주로 하고 여기에 여러 보조요법중의 하나로서 종종 corticosteroid요법이 첨가된다. 이 경우에 예상밖의 탁월한 효과를 거둔 경우가 있는가하면 반면에 오히려 치료효과를 지연시키거나 또는 예기치 못했던 부작용이나 속발증이 유발되어 수의사를 곤경에 빠뜨리는 경우가 종종 경험된다. 따라서 corticosteroid의 정체와 그 적절한 사용법을 분석$\cdot$검토해 볼 필요를 느끼게 된다.

  • PDF

호스피스 완화요법으로서의 미술치료

  • 안정희
    •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2003년도 동계 심포지엄
    • /
    • pp.217-227
    • /
    • 2003
  • 신체적 질병의 심리적이고 신체적인 측면을 위한 미술치료의 사용은 여러 가지 이유로 확대되었다. 그 이유로는 대체의학에 대한 관심과 이미지를 제작하는 창조적인 과정이 심각한 질병과 싸우는 사람들에게 효과적인 치료라는 인식의 확산을 들 수 있다. 미술치료는 사람들이 고통과 몸을 쇠약하게 하는 그 밖의 증상들과 대결하도록 도와 감정과 신체적 증상들의 정체를 밝히고 그들이 의학적 치료에 능동적으로 참여하게 한다(1998, Cathy A. Malchiodi), 완화의학이 삶이 제한된 질환을 가진 환자 삶의 질을 최대한 높이는데 목적을 두고 연구하며 치료하는 의학의 한 전문분야로서 질환의 초점을 완치에 두는 것이 아니라 통증과 증상 조절 등 완화에 두고 의학적 문제뿐만 아니라 정신사회적, 영적인 문제까지 해결하는데 관심을 둔다면 예술치료의 한 분야인 미술치료는 그 대안이 될 수 있다.

  • PDF

소 모기매개 바이러스성 질병의 예방과 대책

  • 조인수
    • 대한수의사회지
    • /
    • 제32권7호
    • /
    • pp.418-425
    • /
    • 1996
  • 최근에 소의 밀집사육, 빈번한 이동, 인건비상승에 따른 관리인력 부족 등으로 인해 과거에 비해 각종 질병의 발생이 증가되고 있으며 그중에서도 전염성 질병의 발생이 증가하고 있다. 또한 빠른 우군교체에 따라 과거에 비해 소들의 질병발생형태가 많이 변하고 있다. 소의 질병중 특히 바이러스성 질병은 근본적인 치료약제가 없기 때문에 한번 발생하면 빠르게 다른 지역으로 전파되는 경향이 있으며 소의 생산성저하를 야기시키는 가장 큰 원인이 되고 있다. 이러한 소의 바이러스성 질병은 IBR, BVD, PI-3감염증 등의 호흡기 질병, rotavirus, coronavirus감염증과 같은 소화기 질병 그리고 모기매개 바이러스에 의한 질병으로 크게 분류 할 수 있다. 특히 최근들어 모기매개 바이러스성 질병이 크게 문제시 되고 있으며 이들 질병으로 소 아까바네병, 츄잔병, 유행열, 이바라기병이 있다. 수의과학연구소에서는 매년 모기출현 전에 전국의 소 3,000두를 대상으로 모기매개질병에 대한 방어항체분포조사를 실시하고 있으며 그 결과를 이용하여 농촌진흥청에서는 금년 5월 소의 모기매개성 전염병의 발생주의보를 발령한 바 있다. 이같이 금년에도 발생이 예상되는 소 모기매개 바이러스성 질병의 예방과 대책에 대해 기술하고자 한다.

  • PDF

자살시도자의 정신건강의학과 치료 연계 형태에 따른 동반질병 심각도의 차이 (Severity of Comorbidities among Suicidal Attempters Classified by the Forms of Psychiatric Follow-up)

  • 이혁;오승택;김민경;이선구;석정호;최원정;이병욱
    • 정신신체의학
    • /
    • 제24권1호
    • /
    • pp.74-82
    • /
    • 2016
  • 연구목적 자살시도자는 일반적인 경우에 비해 의사결정 능력이 떨어지며, 다시 자살을 시도할 위험성이 높기 때문에 재시도 전에 정신건강의학과 치료로 연계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신체적 질병이 있는 사람은 자살시도를 할 확률이 높고, 사망률 역시 높아진다. 이 연구는 자살시도자의 특성을 조사하고, 자살시도 후 응급실에 방문하여 정신건강의학과 치료를 받기로 결정하는 데 신체적 질병이 어떤 영향을 주는지 분석하였다. 방 법 2012년 1월부터 12월까지 경기도의 일 종합병원 응급실에 내원한 132명의 자살시도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의 의무 기록을 후향적으로 검토해 인구통계학적, 임상적 요인을 조사하였고 정신건강의학과 치료 연계여부에 따라 분석하였다. 결 과 입원과 외래 상관 없이 정신건강의학과 치료를 받는 것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정신건강의학과 진단 유무, 직업 유무, 정신건강의학과 치료 과거력, 자살시도 과거력이었다. 정신건강의학과 치료 형태를 입원과 외래로 나누어 동반된 의학적 질병의 심각도(Charlson comorbidity index)를 비교했을 때, 입원을 통해 정신건강의학과 치료를 받은 자살시도자와 치료 자체를 거부한 자살시도자는 외래에서 치료를 받은 자살시도자보다 동반된 의학적 질병의 심각도가 높게 나타났다. 결 론 이 연구 결과 응급실에 내원한 자살시도자에게 동반된 의학적 질병의 심각도(Charlson comorbidity index)가 정신건강의학과 치료 형태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정신건강의학과 의사는 응급실에 내원한 자살시도자에 대해 의학적 동반질병의 여부 및 심각도를 평가하여 동반된 의학적 질병이 상대적으로 심각함에도 불구하고 자의퇴원을 진행하려고 하는 자살시도자에게 좀 더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어야 한다.

돼지 주요 질병 병성감정 (부검요령 및 시료채취)

  • 한정희;김재훈
    • 한국수의병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의병리학회 2002년도 추계학술대회초록집
    • /
    • pp.86-105
    • /
    • 2002
  • 질병진단에 있어서 부검의 중요성은 두 말할 필요가 없다. 왜냐하면 정확한 진단은 질병의 본질과 병원체의 병리기전(pathogenesis)을 이해함으로써 합리적인 치료와 예방대책을 수립할 수 있다. 특히 최근에는 동물질병과 환경 위해 요소 등 공중위생적인 측면이 상당히 부각되어 사람에게도 영향을 줄 수 있는 인수공통 전염병의 예방을 용이하게 한다. 특히 축산업의 발달에 따라 돼지나 닭의 경우는 개체 진료보다는 집단 단위 (herd 또는 flock)의 위생관리가 중요하기 때문에 질병에 대한 역학적 상황 분석과 부검 진단은 필수 불가결한 과정이다. (중략)

  • PDF

한국인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의 봉독약침 치료반응과 Matrix Metalloproteinase-1의 유전자 다형성 연구 (Response to Bee Venom Acupuncture and Polymorphism of Matrix Metalloproteinase-1 Gene in Korean Patients with Rheumatoid Arthritis)

  • 이상훈;최도영;이윤호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21권1호
    • /
    • pp.211-225
    • /
    • 2004
  • 목적 :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의 골 파괴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 Matrix Metalloproteinase-1(MMP-1) 유전자의 단일 염기 다형성을 분석하고, 나아가 봉독약침 치료에 대한 반응과의 연관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 미국류마티스학회의 류마티스 관절염 기준에 해당하는 122명의 한국인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와 건강한 92명의 대조군을 대상으로 pyrosequencing 방법을 이용하여 MMP-1 유전자의 -519 위치의 다형성을 비교 분석하였으며,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군을 다시 유전자 유형에 따라 동통 관절수, 종창 관절수, 조기 강직, 통증 강도, 삶의 질 평가도구인 HAQ, 환자 및 의사의 전반적 질병상태 평가, ESR, CRP 등의 항목을 치료 전후 평가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 1. 류마티스 환자군과 건강한 대조군간에 MMP-1 유전자의 단일 염기 다형성의 유전자형의 분포와 대립유전자 발현 빈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이는 MMP-1 유전자 다형성이 한국인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의 질병 감수성과 관련이 있음을 추정할 수 있다. 2. 각 유전자형 그룹간 치료전 질병의 중증도 평가에서 임상 평가와 혈액의 급성 염증 반응물질 평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3. 급성 염증 반응의 지표인 ESR과 CRP level의 봉독약침 치료 전후 변화는 MMP-1의 유전자 다형성과 유의한 연관이 없었다. 4. 각 유전자형 그룹간의 치료 전후 질병 호전도 비교에서, AA 유전자형이 종창 관절수 평가에서 더나은 호전을 보였으며, 다른 모든 평가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향후 관련 유전자와의 연관성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 PDF

결핵입원환자의 치료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Influencing Treatment Result in Inpatients with Tuberculosis)

  • 이현숙;황슬기;김상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0호
    • /
    • pp.196-205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2006년부터 2012년까지의 질병관리본부의 퇴원손상심층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결핵환자의 환자 특성과 입원 및 질병관련 특성, 의료기관 특성에 따른 의료이용 현황과 치료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질병관리본부에서 제공하는 퇴원손상심층조사자료를 활용하였고, 제6차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KCD-6)의 중분류상 퇴원시 주진단 코드와 부진단 코드가 결핵(A15.0~A19.9)인 환자를 추출하여 총 8,305건을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통계 프로그램 SPSS 20(Statistical Package for the Science)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교차분석(chi-square test)과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먼저, 환자 특성과 치료결과가 호전되었는지의 관련성에 있어서는 연령그룹이 20-39세, 40-64세, 65세 이상과 의료급여의 결핵환자가 호전될 확률이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p<0.000). 그 다음, 입원 및 질병관련 특성과 치료결과와의 관련성 분석에서는 A16, A17, A19(p<0.000)와 A18(p<0.002) 모든 결핵코드와 재원일수가 31-90일(p<0.000)과 91-180일(p<0.041)인 경우에 호전될 확률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마지막으로, 의료기관 특성과 치료결과의 관련성 분석에서는 300-499(p<0.008), 500-999(p<0.011), 1,000병상 이상(p<0.015)과 도지역(p<0.041)의 경우 호전될 확률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p<0.015). 결과적으로 결핵환자 발생시 철저한 접촉자 조사 및 예방치료, 정기적인 검진을 통한 조기 발견 방안 등 정부에서도 성공적인 결핵환자관리 프로그램을 지원하고 이를 적절하게 뒷받침 할 수 있는 단기적 뿐만 아니라 중장기적으로 종합적인 정책을 추진해야 한다.

유비쿼터스 건강관리를 위한 무자각 생체계측 기술

  • 박광석
    • 전기의세계
    • /
    • 제53권9호
    • /
    • pp.24-29
    • /
    • 2004
  • 건강관리(Healthcare)는 “의료진을 통한 질병의 예방 또는 치료 및 정신적 육체적 건강상태의 관리”로 정의되어 있다. 즉 건강의 관리는 질병(illness)을 극복하기 위하여 적절하게 조치하는 부분과 건강상태(Wellness)를 유지하기 위하여 적합한 방법을 사용하는 두 부분으로 나뉘어 질 수 있다. 그 동안 건강관리가 주로 질병을 극복하는 부분에 비중을 두어 발전되었으나, 경제적 수준의 향상과 건강에 대한 욕구의 증대에 따라 점차 건강 상태의 적절한 관리와 유지에 대한 비중의 증대로 나타나고 있다.(중략)

  • PDF

성병을 진단한다

  • 한국건강관리협회
    • 건강소식
    • /
    • 제12권8호통권117호
    • /
    • pp.12-24
    • /
    • 1988
  • '사회적으로 가장 심각한 질병'이라는 말을 단 한번도 떼어버리지 못한 성병의 역사를 더듬어 올라가보면 기원전으로 까지 거슬러 올라가야 하니, 성병은 인류의 역사와 함께 시작되었다 해도 과언이 아닐 듯 싶다. 이토록 오랜 역사를 가진 성병이 최근들어 더 심각하게 떠오르는 이유는 AIDS라는 새로운 질병의 등장 때문이 아닐까 싶다. 성병이 인류의 역사가 흘러가는 한 퇴치될 수 없는 질병이라 하더라도 예방을 위한 최선의 노력과 치료대책을 수립해 실천하는 것이 개인과 국가에 도움을 주는 일이라 하겠다.

  • PDF

부로일러 질병명과 예방$\cdot$치료 (0~8주)

  • 대한양계협회
    • 월간양계
    • /
    • 제4권2호통권28호
    • /
    • pp.62-65
    • /
    • 1972
  • Feed Stuffs yearbook issue라는 책자에 실린 B.S. Pomeroy 박사의 부로일러 질병에 대한 예방치료법을 소개함과 아울러 필자의 약간의 설명을 첨가 하였다. 현재 국내에서 발생되고 있는 부로일러 질병은 장염, 마렉병, 난황염, 살모넬라균증, 뇨산침착증, 폐렴, 백혈병 등을 들 수 있는데 이에 대한 설명은 가금협회육용계 능력검정시(1971. 11.1$\~$12.31)에 안양가축위생연구소 의뢰한 가검물분석을 중심으로 하여 차후 설명하기로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