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질병 취약성

Search Result 54, Processing Time 0.042 seconds

Investigating Volumetric changes of Brain Structure in Women Aged 65 to 85 Years Old (65세부터 85세 여성의 뇌 구조 부피 변화 조사)

  • Kim, Yong-Wan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 /
    • v.14 no.7
    • /
    • pp.947-956
    • /
    • 2020
  • The human body becomes vulnerable to various diseases due to deterioration in structure and function as it ages. In particular, changes in brain structure weaken the immune system against diseases such as vascular and metabolic neuropsychiatric diseases. In this study, we used a magnetic resonance imaging technique that allows non-invasive observation of brain structures and measurement of how the volumes of the brain, gray matter, white matter, and subcortical regions changes with aging in women aged 65 to 85 years. As a result of our investigation, we observed a significant linear decrease in subcortical regions with ag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changes due to aging in the brain structure area are closely related to neuropsychiatric diseases in old age, and can provide information in understanding the vulnerability of the brain in old age.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News Usage on Influenza A(H1N1) and Media Users' Behavioral Intention toward Personal and Public Health Protection: Focusing on Protection Motivation Theory (신종플루 뉴스 이용 정도가 개인 및 공중에 대한 건강보호 행위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보호동기이론을 중심으로)

  • Kim, Yeo-Ra
    •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 /
    • v.51
    • /
    • pp.5-25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news usage on Influenza A(H1N1) and media users' behavioral intention toward health protection. Specifically, the study investigated causal relationships among exposure of media information on Influenza A(H1N1) as an independent variable, psychological protection motivation factors such as perceived severity, vulnerability, response efficacy, & self-efficacy as mediated variables and behavioral intention on personal and public health protection as dependent variables using structure equation model analysis. Self-reported questionnaires were administrated to 460 college students. The result indicated the followings. First, the level of news usage on Influenza A(H1N1)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on influencing behavioral intention toward personal and public health protection. Second, perceived severity, vulnerability, and self-efficacy were significant variables on behavioral intention toward personal health protection whereas perceived vulnerability and response efficacy were significant on public health protection. The function among factors in protection motivation theory is dependent upon whom protected from illness.

  • PDF

Exploring What Effects on Vaccination for Covid-19: Converging Health Locus of Control and Health Belief Model (코로나 19 백신 접종영향 요인의 탐색: 건강통제소재와 건강신념모형의 융합)

  • Joo, Jihyuk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12 no.11
    • /
    • pp.347-357
    • /
    • 2021
  • Since the outbreak of Covid-19, many countries have tried to defense Covid-19 to protect their people and as an influential and reliable policy as of now, they have recommended vaccinating. Thus, this research explored what influences the intention to vaccinate against Covid-19 with three health locus of control from multi-dimension health locus of control (MHLC) and perceived susceptibility and severity from health belief model (HBM) through PLS path modeling. Consequently, chance locus of control (CHLC) influence indirectly intention to vaccinate against Covid-19 mediating with susceptibility perception. It implies that the more fatalistic people attitude toward Covid-19, the more susceptible they perceived to the disease, and then, the stronger intention to vaccinate they would have. Thus, the health promotion authorities should motivate to activate people's susceptibility perception toward the disease through utilizing a variety of policies and consider that the fatalistic tendency toward the disease of people could play an antecedent role in the process.

Understanding Stress : Psychosocial Aspect (스트레스의 사회 심리적 이해)

  • Chung, Sang-Keun
    • Korean Journal of Psychosomatic Medicine
    • /
    • v.9 no.1
    • /
    • pp.66-80
    • /
    • 2001
  • Most people experience stress during his or her life. The types of psychosocial stressors are variable. Also, the stress appraisal, coping, and responses in stress process are variable. These varieties reflect individual differences due to ongoing social situation, personal dispositions such as personal resources and vulnerability factors, etc. The stress process results in psychosocial growth or no substantial change in functioning or health, or adverse change in functioning(illness) or health to person. Therefore, the preventive management and treatment of stress need to be tailored to individual characteristics. All physicians managing the stress-related patients have to understand the multidimensional aspects of stress. To understand stress better in psychosocial aspect, I comprehensively reviewed the literature on stress.

  • PDF

Strategies for Public Health Service Development in the Times of Local Autonomy (지방자치시대의 공공보건사업 발전 전략)

  • 박정한
    • Health Policy and Management
    • /
    • v.12 no.3
    • /
    • pp.1-22
    • /
    • 2002
  • Health is a fundamental human right and a sine qua non for happiness of people and for national development. Government has a responsibility for the provision of health services for their people. Recent changes of disease pattern, i.e. decrease of Infectious diseases and increase of chronic and degenerative diseases Including cancer and cardiovascular diseases, together with universal coverage of health insurance and improved living standard have prompted medical care utilization and skyrocketed the national health expenses. The goal of national health policy is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through the betterment of health level. To achieve this goal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healthcare system for lifetime,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healthcare delivery system, and to strengthen the public health services for disease prevention and health promotion. The current public health service programs are Inefficient due to an inconsistent policy for health service program, lack of health information system, irrational health program planning and evaluation, and Inadequate training of health workers. Local government has a legal responsibility for health service program planning and promoting the competence of health workers. Thus, municipal and provincial health departments should expand their roles and strengthen their function. The strategies for developing public health service programs at local level are ${\circled}1$ stipulating the goals of health policy, ${\circled}2$ promoting the ability for health program planning and evaluation, ${\circled}3$ establishing health information and surveillance system, ${\circled}4$ training of health workers, ${\circled}5$ establishing an institution for health information management and training of health workers, and ${\circled}61$ collaboration with local universities.

Data Storage and Security Model for Mobile Healthcare Service based on IoT (IoT 기반의 모바일 헬스케어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 저장 및 보호 모델)

  • Jeong, Yoon-Su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5 no.3
    • /
    • pp.187-193
    • /
    • 2017
  • Objects Internet-based healthcare services provide healthcare and healthcare services, including measurement of user's vital signs, diagnosis and prevention of diseases, through a variety of object internet devices. 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new security vulnerability can occur when inter-working with the security weakness of each element technology because the internet service based on the object Internet provides a service by integrating various element technologies. In this paper, we propose a user privacy protection model that can securely process user's healthcare information from a third party when delivering healthcare information of users using wearable equipment based on IoT in a mobile environment to a server. The proposed model provides attribute values for each healthcare sensor information so that the user can safely handle, store, and store the healthcare information, thereby managing the privacy of the user in a hierarchical manner. As a result of the performance evaluation, the throughput of IoT device is improved by 10.5% on average and the server overhead is 9.9% lower than that of the existing model.

Objectives and Strategies of Government Health Promotion Policy (정부의 건강증진사업 목표 및 추진방향)

  • Lee, Jong-Gu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Health Promotion Conference
    • /
    • 2005.09a
    • /
    • pp.3-32
    • /
    • 2005
  • 정부의 건강증진사업은 국민의 건강수명 연장과 삶의 질 향상에 궁극적인 목적이 있다. 이는 건강 지지적인 환경을 조성하고 질병을 예방${\cdot}$관리하며 평생 건강서비스를 제공하고 건강한 생활양식을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건강증진사업을 위한 기반으로 연구와 개발 강화, 법과 규칙의 조정, 기금과 인력과 같은 자원 확보는 필수적이다. 정부의 건강증진전략은 첫째 자원할당의 우선순위를 확보하는 것으로 건강증진, 질병 및 손상의 예방, 재활관련 사업에 더욱 많은 자원을 할당하는 것이며, 둘째로 국가차원의 건강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실행하는 것이다. 포괄적인 생애주기별 건강증진 프로그램(건강증진종합계획)과 모아보건, 학교보건, 산업보건, 그리고 만성질환예방프로그램 등이 포함된 포괄적인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실행하는 것이다. 셋째로, 건강증진기금을 공공보건을 위한 하부기반과 건강증진 프로그램에 투자함으로써 사업의 하부기반을 정비하는 것이다. 건강증진사업을 위한 하부기반으로는 정책과 위임사항을 들 수 있는데, 국민건강증진법과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2005년 6월에 서울시 의회를 통과한 건강도시추진위원회를 들 수 있다. 정부의 건강증진사업의 법적 기반은 1995년에 제정된 국민건강증진법이다. 국민건강증진법은 국민들이 건강에 대한 가치를 인식하고 책임의식을 함양하며, 올바른 건강지식을 갖고, 국민들이 건강한 생활양식을 실천할 수 있는 환경 조성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건강증진사업은 대중을 위한 보건교육과 건강상담, 영양관리, 구강보건관리, 질병의 조기발견과 치료를 위한 건강검진, 지역사회 건강문제에 관한 조사와 연구, 담배소비 감소와 건강증진부담금 부과를 통한 국민건강상태의 향상을 위한 사업이다. 훈련과정으로는 보건복지부에서 2005년부터 수행하고 있는 시와 지역을 위한 현장관리 프로그램과 서울시가 수행예정인 지역수준의 지도자 훈련과정이 있다. 건강증진사업의 원활한 진행을 위한 기금조성은 건강증진기금이 담배세로부터 조성되고 있으며 2004년 12월 31일 현재 담배 한 갑 당 500원으로 인상되어 부과되고 있다. 기금의 관리와 운용은 보건복지부가 담당하며, 기금은 건강한 생활양식형성에 대한 지원활동, 국민을 위한 보건교육과 교육자료 개발, 건강증진과 만성질환에 대한 연구, 질병의 조기발견을 위한 건강검진, 구강보건관리활동에 사용되고 있다. 향후 건강증진사업 투자계획은 1단계 (98-02년)에는 사업기반조성기, 2단계(03-06년) 보건소사업발전기, 3단계(07-11년)통합사업정착기로 구성되고 2단계의 인프라구축에 사용될 투자 비율은 30%에서 3단계에 15%로 감소될 예정이며, 사업실행 영역은 50%에서 65%로 확대될 계획이다. 2005년 건강증진사업의 중점목표는 건강증진사업의 지방 분산화, 건강증진사업의 근거마련, 사회적 형평성의 달성에 있다. 건강증진사업의 지방분산화를 위해서는 중앙에 관리센터가 설치되어 기획과 평가, 연구와 개발, 현장관리 훈련을 담당하게 되고, 지역관리센터에서는 자치적인 보건소 중심 건강증진사업의 수행과 평가를 진행하게 된다. 건강증진사업의 근거마련을 위해서 효과가 입증된 사업에 우선순위를 두며, 기획과 평가위원회를 설치하고, 건강증진사업의 평가결과를 환류 할 수 있는 체계를 마련하는 것이다. 또한 건강증진포럼을 구성하며 현 건강조사 체계를 수정한다. 한편 형평성 제고의 측면에서는 저소득층, 노인, 장애인들과 같은 취약계층의 건강상태 향상을 위한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역할을 강화하고, 지역간${\cdot}$사회적 집단 간의 건강증진사업관련 형평성을 제고한다.

  • PDF

Community Health Practitioner (새로운 건강요원$\cdot$보건진료원)

  • Kim S J
    • The Korean Nurse
    • /
    • v.23 no.1 s.124
    • /
    • pp.25-35
    • /
    • 1984
  • 인간 궁극의 목적은 ''행복한 생활''이며 이를 위한 가장 중요한 조건이 ''건강''이라는데 이론을 제기할 사람이 없다. 그간 우리나라는 1970년대를 거치면서 절대빈곤을 해결하느라고 경제개발계획을 수립하는 등 최선의 노력을 해 왔으며, 따라서 보건정책은 등한시 해 왔던 것이 사실이며 이는 극히 당연한 일이라고 생각한다. 최근 경제 개발 계획의 성공적인 시행으로 중진국의 대열에 서게 되었다. 산업 전략이 빚는 인구 이동의 불가피성, 인구의 도시집중 현상과 사회 구조의 변화는 생활방식 뿐 아니라 의식구조의 변화와 가치관의 변화를 가져왔으며 질병 양상과 건강 문제의 양상을 변화시켰다. 이로 말미암은 경제적, 지역적, 심리적 및 문화적 불균형 상태는 건강관호와 보건의료제도에도 불균형 상태를 갖고 와 불가피하게 된다. 이러한 불균형은 해소되어야 하는 시점에 온 것이며 정부가 목표로 하는 복지사회 건설을 위한 가장 중요한 보건 정책에 정부가 역점을 두게 된 것은 극히 당연하다. 이에 1976년 발족한 한국 보건 개발 연구원이 1977년부터 시작한 시법 사업을 실시한 결과, 지역 주민의 반응, 수용성, 의료 이용도, 의료비 절감 등을 분석하고 그 효율성을 인정받아 1981년 12월 31일 농어촌 보건의료를 위하여 특별 조치법을 제정하고 의료시설, 요원의 도시편중 교통의 불편, 고가의 의료 수가로 소외되어 오던 보건의료 취약지역 주민에게 기본권으로서의 기초 건강 서비스를 제공하기에 이르렀다. 이 건강 관호 제도에 그 바탕을 두며 보건 진료원이 그 척추의 역할을 담당한다. 1981년도와 1982년도에 선발되어 교육을 받고 배치된 738명의 보건 진료원은 38만명의 벽오지주민에게 현재 의료의 손길을 펴고, 질병의 예방을 위한 조치를 취하며 건강의 유지, 증진을 위하여 활동하고 있다. 건강관호는 시설이나 장비가 하는 것이 아니고 건물이 하는 것은 더욱 아니며, 지식과 기술을 갖춘 자격있는 의료인이 소명의식을 갖고 임할 때만 가능하다. 오랜숙원이었던 보건의료의 지역간 경제, 사회적, 문화적 계층간의 불균형을 해소하고 온 국민에게 기본권으로서의 건강을 갖도록 하는 이 새로운 제도는 패기에 넘치는 열정을 지닌 많은 젊은 간호학도들의 참여없이는 성공을 기대할 수 없다. 어떠한 제도이건 새로운 제도가 사회에 정착되기까지는 여러 해 동안의 시행착오와 고난이 반드시 수반되어 왔다는 사실을 우리는 역사를 통해 알고 있다. 그러나 그 제도가 다수를 위해 정의롭고 바람직한 제도일 때 반드시 성공을 거두었다는 사실도 알고 있다.

  • PDF

Aging of Immune System (면역 반응체계의 노화)

  • Chung, Kyung Tae
    • Journal of Life Science
    • /
    • v.29 no.7
    • /
    • pp.817-823
    • /
    • 2019
  • Immune system provides defense integrity of body against external invaders. In order to accomplish the important defending role immune system is composed of many different components which are regenerated continuously during lifespan. The key components are professional killing cells such as macrophage, neutrophil, natural killer cell, and cytotoxic T cell and professional blocking molecule, antibody, which is produced by plasma cell, the terminal differentiated B cell. Immune response is orchestrated harmoniously by all these components mediated through antigen presenting cells such as dendritic cells. Immune responses can be divided into two ways: innate immune response and adaptive immune response depending on induction mechanism. Aging is a broad spectrum of physiological changes. Likewise other physiological changes, the immune components and responses are wane as aging is progressing. Immune responses become decline and dysregulating, which is called immunosenescense. Immune components of both innate and adaptive immune response are affected as aging progresses leading to increased vulnerability to infectious diseases. Numbers of immune cells and amounts of soluble immune factors were decreased in aged animal models and human and also functional and structural alterations in immune system were reduced and declined. Cellular intrinsic changes were discovered as well. Recent researches focusing on aging have been enormously growing. Many advanced tools were developed to bisect aging process in multi-directions including immune system area. This review will provide a broad overview of aging-associated changes of key components of immunity.

신감미료 및 지질식품소재 생산기술

  • 윤석후
    • The Microorganisms and Industry
    • /
    • v.19 no.1
    • /
    • pp.56-58
    • /
    • 1993
  • 다른 산업과 마찬가지로 식품산업도 세계적인 추세인 자국의 기술보호주의와 무차별 시장 개방 압력 앞에서 존립하려면 우리의 기술을 자립화하는 외에는 방법이 없다. 효소공학, 발효공학, 탄수화물-단백질-지질공학 등 관련 학문의 발전을 통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천연원료를 이용한 식품소재를 개발하며, 제품을 다양화한다면 국제 경쟁력을 갖는 식품 산업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세계 수요의 대부분을 미국과 일본의 몇개 회사에서 독과점적으로 생산되고 있는 지질소재 시장은 현재 약 4억불 정도로 추산되며 각국의 보건, 질병 예방에 대한 관심의 고조에 힘입어 5년 후에는 4배정도 신장할 것으로 예측된다. 우리나라가 상대적으로 우위에 있는 발효기술을 잘 이용하여 세계적으로 수요를 충족시키는 지질소재를 경제적으로 생산하면 세계 시장의 30% 정도는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올리고당의 생산기술 개발을 통하여는 국내 기반이 취약한 고도 분리, 정제 기술이 발전될 것이며 세계 대체감미료 시장에의 진출이 기대된다. 식이섬유의 경우 대두와 곡류 부산물의 가공기술 개발은 물론 공해방지기술의 개발도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