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질병원인

Search Result 686,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A Simulation Study for Improving Operations of an Emergency Medical Center (응급진료센터 운영 개선을 위한 시뮬레이션)

  • Mo, Chang-Woo;Choi, Seong-Hoon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 /
    • v.18 no.3
    • /
    • pp.35-45
    • /
    • 2009
  • Emergency medical center(EMC) is the place for patients who need medical treatment immediately due to a disease, childbirth, or all sorts of accidents. Currently, most of EMCs use temporary beds because regular EMC beds cannot afford to serve all incoming patients. However, since it decreases the quality of service(QoS) of EMC patients and their guardians and efficiency of the EMC, some improvements are highly required to diminish the usage of temporary beds. The system duration time is one of the typical QoSs. This thesis proposes the information which is critical to make a better decision for cut down the number of temporary beds without sacrificing QoS of patients. The key point is to control the duration time of medical treatments for the consultation and hospitalization process, since it is the major reason of overcrowding in EMC and the usage of temporary beds. In this paper, we proposed an Arena simulation model reflecting real world substantially. Arena is one of the most widely accepted simulation softwares in the world. Using the developed model, we can obtain the optimal EMC operation parameters through simulation experiments. Optquest, included in the Arena, is used to make the developed simulation model collaborate with an optimization model. The results showed one can determine the set of optimal operation parameters decreasing the required number of temporary beds without deteriorating EMC patient's QoS.

Effects of Bisphenol A and BPA Alternatives on the Nervous System (Bisphenol A와 대체물질들이 신경계에 미치는 영향)

  • Ha Jung Moon;Seung Hyun Lee;Hyun Seung Shin;Eui-Man Jung
    • Journal of Life Science
    • /
    • v.33 no.4
    • /
    • pp.371-381
    • /
    • 2023
  • Endocrine disrupting chemicals (EDCs), used in a variety of products in modern society, are hormone-like substances that cause various diseases. Humans are exposed to EDCs through their inclusion in pesticides, plastics, cosmetics, detergents, and drugs. Bisphenol A (BPA), one of the representative endocrine disruptors, is an estrogen-like substance that has been widely used commercially in plastic and epoxy resins. BPA is a chemical that can disrupt the endocrine system, leading to reduced reproductive function, obesity, cancer, and neurodevelopmental disorders. Since the adverse health effects of BPA began to be reported the use of BPA has been regulated worldwide. Various alternatives to BPA have been widely used worldwide; representatively, bisphenol S (BPS) and bisphenol F (BPF) are the most commonly used in commercial contexts. BPS and BPF may cause endocrine-disrupting effects like those of BPA due to their similar chemical structures. Recent studies have reported that BPS and BPF disrupt the neurodevelopmental process and cause neurodevelopmental disorders. Therefore, future studies will be required for safety verification of BPA alternatives and the development of new alternatives to BPA for brain health. In this review, we reviewed the effects of BPA and the alternatives, BPS and BPF, on the nervous system.

Evaluation and Management of Frailty, and Its Association With Pain (노쇠의 평가와 관리, 그리고 통증과의 연관성)

  • Kang Joon Lee
    • Korean Journal of Psychosomatic Medicine
    • /
    • v.32 no.1
    • /
    • pp.1-9
    • /
    • 2024
  • Frailty is a clinical syndrome as an increased vulnerability to stressors, leading to a decrease in physiologic reserves and a decline in the ability to maintain a good homeostasis. This condition leads to an increased risk of hospitalization, disability and mortality. Frailty occurs due to various causes and requires a multidimensional approach. It is also important to detect and manage it early. Frailty is also deeply related to neuropsychiatric problems such as pain and depression. In evaluating frailty, it is desirable to comprehensively consider not only physical areas such as disease, nutrition, movement, and sensory functions, but also psychosocial areas, and representative scales include Fried's physical frailty phenotype and Rockwood's frailty index. Physical activity and appropriate protein intake are important for frailty management, and inappropriate drug use should be reduced and oral care, cognitive function, and falls should also be noted. Frailty and pain can affect each other, and pain can promote frailty. Evidence has been published that hormone and protein abnormalities, immune system activity and inflammatory response, and epigenetic mechanisms work in common in the field of frailty and pain. More extensive and high-quality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in the future, and the quality of life will be improved if the results are applied to the suppression and treatment of old age and pain.

Electronic Cigarette or Vaping Product Use-Associated Lung Injury: A Case Report (전자담배 관련 급성 폐 손상: 증례 보고)

  • Jiyun Lim;Bo Da Nam;Jung Hwa Hwang;Yang-Ki Kim;Eunsun Oh;Eun Ji Le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 /
    • v.82 no.6
    • /
    • pp.1581-1588
    • /
    • 2021
  • Electronic cigarette (e-cigarette) or vaping product use-associated lung injury (EVALI) has emerged as a social issue as e-cigarette use is rapidly increasing worldwide and is related to many deaths in the United States. To our knowledge, this is the first case report of EVALI in South Korea of a 24-year-old man with acute respiratory symptoms and a history of e-cigarette use. Chest CT revealed diffuse bilateral ground-glass opacities with subpleural sparing, airspace consolidation, and centrilobular micronodules as typical patterns of EVALI with organizing pneumonia and diffuse alveolar damage. Infection was excluded with meticulous laboratory examinations, and the patients' illnesses were not attributed to other causes. EVALI was diagnosed by meeting the diagnostic criteria with consistent clinico-radiologic findings through a multidisciplinary approach. Radiologists should have good knowledge of EVALI radiologic findings and play a cardinal role in the proper diagnosis and management of EVALI.

홍삼 유래 성분들의 면역조절 효능

  • Jo, Jae-Yeol
    • Food preservation and processing industry
    • /
    • v.8 no.2
    • /
    • pp.6-12
    • /
    • 2009
  • 면역반응은 외부 감염원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하고 외부감염원을 제거하고자 하는 주요항상성 유지기전의 하나이다. 이들 반응은 골수에서 생성되고 비장, 흉선 및 임파절 등에서 성숙되는 면역세포들에 의해 매개된다. 보통 태어나면서부터 얻어진 선천성 면역반응을 매개하는 대식세포, 수지상 세포 등과, 오랜기간 동안 감염된 다양한 면역원에 대한 경험을 토대로 얻어진 획득성 면역을 담당하는 T 임파구 등이 대표적인 면역세포로 알려져 있다. 다양한 면역질환이 최근 주요 사망률의 원인이 되고 있다. 최근, 암, 당뇨 및 뇌혈관질환 등이 생체에서 발생되는 급 만성염증에 의해 발생된다고 보고됨에 따라 면역세포 매개성 염증질환에 대한 치료제 개발을 서두르고 있다. 또한 암환자의 급격한 증가는 암발생의 주요 방어기전인 면역력 증강에 대한 요구들을 가중시키고 있다. 예로부터 사용되어 오던 고려인삼과 홍삼은 기를 보호하고 원기를 회복하는 명약으로 알려진 대표적인 우리나라 천연생약이다. 특별히, 홍삼은 단백질과 핵산의 합성을 촉진시키고, 조혈작용, 간기능 회복, 혈당강하, 운동수행 능력증대, 기억력 개선, 항피로작용 및 면역력 증대에 매우 효과가 좋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홍삼에 관한 많은 연구에 비해, 현재까지 홍삼이 면역력 증강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분자적 수준에서의 연구는 매우 미미한 것으로 확인되어져 있다. 홍삼의 투여는 NK 세포나 대식세포의 활성이 증가하고 항암제의 암세포 사멸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어졌다. 현재까지 알려진 주요 면역증강 성분은 산성다당류로 보고되었다. 또 한편으로 일부 진세노사이드류에서 항염증 효능이 확인되어졌으며, 이를 통해 피부염증 반응과 관절염에 대한 치료 효과가 있는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본 연구는 KT&G 연구출연금 (2009-2010) 지원을 받아 이루어졌기에 이에 감사드린다]. 면역반응은 외부 감염물질의 침입으로 유도된 질병환경을 제거하고 수복하는 중요한 생체적 방어작용의 하나이다. 이들 과정은 체내로 유입된 미생물이나 미세화학물질들과 같은 독성물질을 소거하거나 파괴하는 것을 주요 역할로 한다. 외부로 부터 인체에 들어온 이물질에 대한 방어기전은 현재 두 가지 종류의 면역반응으로 구분해서 설명한다. 즉, 선천성 면역 반응 (innate immunity)과 후천성 면역 반응 (adaptive immunity)이 그것이다. 선천성 면역반응은 1) 피부나 점막의 표면과 같은 해부학적인 보호벽 구조와 2) 체온과 낮은 pH 및 chemical mediator (리소자임, collectin류) 등과 같은 생리적 방어구조, 3) phagocyte류 (대식세포, 수지상세포 및 호중구 등)에 의한 phagocytic/endocytic 방어, 그리고 4) 마지막으로 염증반응을 통한 감염에 저항하는 면역반응 등으로 구분된다. 후천성 면역반응은 획득성면역이라고도 불리고 특이성, 다양성, 기억 및 자기/비자기의 인식이라는 네 가지의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외부 유입물질을 제거하는 반응에 따라 체액성 면역 반응 (humoral immune response)과 세포성 면역반응 (cell-mediated immune response)으로 구분된다. 체액성 면역은 침입한 항원의 구조 특이적으로 생성된 B cell 유래 항체와의 반응과 간이나 대식세포 등에서 합성되어 분비된 혈청내 보체 등에 의해 매개되는 반응으로 구성되어 있다. 세포성 면역반응은 T helper cell (CD4+), cytotoxic T cell (CD8+), B cell 및antigen presenting cell 중개를 통한 세포간 상호 작용에 의해 발생되는 면역반응이다. 선천성 면역반응의 하나인 염증은 우리 몸에서 가장 빈번히 발생되고 있는 방어작용의 하나이다. 예를 들면 감기에 걸렸을 경우, 환자의 편도선내 대식세포나 수지상세포류는 감염된 바이러스 단독 혹은 동시에 감염된 박테리아를 상대로 다양한 염증성 반응을 유도하게 된다. 또한, 상처가 생겼을 경우에도 감염원을 통해 유입된 병원성 세균과 주위조직내 선천성 면역담당 세포들 간의 면역학적 전투가 발생되게 된다. 이들 과정을 통해, 주위 세포나 조직이 손상되면, 즉각적으로 이들 면역세포들 (주로 phagocytes류)은 신속하게 손상을 극소화하고 더 나가서 손상된 부위를 원상으로 회복시키려는 일련의 염증반응을 유도하게 된다. 이들 반응은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발적 (redness), 부종 (swelling), 발열 (heat), 통증 (pain) 등의 증상으로 나타나게 된다. 즉, 손상된 부위 주변에 존재하는 모세혈관에 흐르는 혈류의 양이 증가하면서 혈관의 직경이 늘어나게 되고, 이로 인한 조직의 홍반과, 부어 오른 혈관에 의해 발열과 부종이 초래되는 것이다. 확장된 모세혈관의 투과성 증가는 체액과 세포들이 혈관에서 조직으로 이동하게 하는 원동력이 되고, 이를 통해 축적된 삼출물들은 단백질의 농도를 높여, 최종적으로 혈관에 존재하는 체액들이 조직으로 더 많이 이동되도록 유도하여 부종을 형성시킨다. 마지막으로 혈관 내 존재하는 면역세포들은 혈판 내벽에 점착되고 (margination), 혈관벽의 간극을 넓히는 역할을 하는 히스타민 (histamine)이나 일산화질소(nitric oxide : NO), 프로스타그린딘 (prostagladins : PGE2) 및 류코트리엔 (leukotriens) 등과 같은 chemical mediator의 도움으로 인해 혈관벽 사이로 삼출하게 되어 (extravasation), 손상된 부위로 이동하여 직접적인 외부 침입 물질의 파괴나 다른 면역세포들을 모으기 위한 cytokine (tumor necrosis factor [TNF]-$\alpha$, interleukin [IL]-1, IL-6 등) 혹은 chemokine (MIP-l, IL-8, MCP-l등)의 분비 등을 수행함으로써 염증반응을 매개하게 된다. 염증과정시 발생되는 여러 mediator 중 PGE2나 NO 및 TNF-$\alpha$ 등은 실험적 평가가 용이하여 이들 mediator 자체나 생성관련효소 (cyclooxygenase [COX] 및 nitric oxide synthase [NOS] 등)들은 현재항염증 치료제의 개발 연구시 주요 표적으로 연구되고 있다. 염증 반응은 지속기간에 따라 크게 급성염증과 만성염증으로 나뉘며, 삼출물의 종류에 따라서는 장액성, 섬유소성, 화농성 및 출혈성 염증 등으로 구분된다. 급성 염증 (acute inflammation)반응은 수일 내지 수주간 지속되는 일반적인 염증반응이라고 볼 수 있다. 국소반응은 기본징후인 발열과 발적, 부종, 통증 및 기능 상실이 특징적이며, 현미경적 소견으로는 혈관성 변화와 삼출물 형성이 주 작용이므로 일명 삼출성 염증이라고 한다. 만성 염증 (chronic inflammation)은, 급성 염증으로부터 이행되거나 만성으로 시작된다. 염증지속 기간은 보통 4주 이상 장기화 된다. 보통 염증의 경우에는 염증 생성 cytokine인 Th1 cytokine (IL-2, interferone [IFN]-$\gamma$ 및 TNF-$\alpha$ 등)의 생성 후, 거의 즉각적으로 항 염증성 cytokine인 Th2 cytokine(IL-4, IL-6, IL-10 및 transforming growth factor [TGF]-$\beta$ 등)이 생성되어 정상반응으로 회복된다. 그러나, 어떤 원인에서든 면역세포에 의한 염증원 제거 반응이 문제가 되면, 만성염증으로 진행된다. 이 반응에 주로 작용을 하는 염증세포로는 단핵구와 대식세포, 림프구, 형질세포 등이 있다. 암은 전세계적으로 사망률 1위의 원인이 되는 면역질환의 하나이다. 산화적 스트레스나 자외선 조사 혹은 암유발 물질들에 의해 염색체내 protooncogene, tumor-suppressor gene 혹은 DNA repairing gene의 일부 DNA의 돌연변이 혹은 결손 등이 발행되면 정상세포는 암화과정을 시작하게 된다. 양성세포 수준에서 약 5에서 10여년 후 악성수준의 암세포가 생성되게 되면 이들 세포는 새로운 환경을 찾아 전이하게 되는데 이를 통해 암환자들은 다양한 장기에 동인 오리진의 암세포들이 생성한 종양들을 가지게 된다. 이들 종양세포는 정상 장기의 기능을 손상시켜며 결국 생명을 잃게 만든다. 이들 염색체 수준에서의 돌연변이 유래 암세포는 거의 대부분이 체내 면역시스템에 의해 사멸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계속되는 스트레스나 암유발 물질의 노출은 체내 면역체계를 파괴하면서 최후의 방어선을 무너뜨리면서 암발생에 무방비 상태를 만들게 된다. 이런 이유로 체내 면역시스템의 정상적 가동 및 증강을 유도하게 하는 전략이 암예방시 매우 중요한 표적으로 인식되면서 다양한 형태의 면역증강 물질 개발을 시도하고 있다. 인삼은 두릅나무과의 여러해살이 풀로써, 오랜동안 한방 및 민간에서 원기를 회복시키고, 각종 질병을 치료할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전통생약이다. 예로부터 불로(不老), 장생(長生), 익기(益氣), 경신(經身)의 명약으로 구전되어졌는데, 이는 약 2천년 전 중국의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에서 "인삼은 오장(五腸)을 보하고, 정신을 안정시키고, 혼백을 고정하며 경계를 멈추게 하고, 외부로부터 침입하는 병사를 제거하여주며, 눈을 밝게 하고 마음을 열어 더욱 지혜롭게 하고 오랫동안 복용하면 몸이 가벼워지고 장수한다" 라고 기술되어있는 데에서 유래한 것이다. 다양한 연구를 통해 우리나라에서 생산되는 고려인삼 (Panax ginseng)이 효능 면에서 가장 탁월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특별이 고려인삼으로부터 제조된 고려홍삼은 전세계적으로도 그 효능이 우수한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대부분의 홍삼 약효는 dammarane계열의 triterpenoid인 ginsenosides라고 불리는 인삼 saponin에 의해 기인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들 화합물군의 기본 골격에 따라, protopanaxadiol (PD)계 (22종) 및 protopanaxatriol (PT)계 (10종)으로 구분되고 있다 (표 1). 실험적 접근을 통해 인삼의 약리작용 이해를 위한 다양한 노력들이 경주되고 있으나, 여전히 많은 부분에서 충분히 이해되고 있지 않다. 그러나, 현재까지 연구된 인삼의 약리작용 관련 연구들은 심혈관, 당뇨, 항암 및 항스트레스 등과 같은 분야에서 인삼효능이 우수한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그러나 면역조절 및 염증현상과 관련된 최근 연구결과들은 많지 않으나, 향후 다양하게 연구될 효능부분으로 인식되고 있다.

  • PDF

A Clinicopathological Analysis of 52 Cases of Renal Biopsy in Children (소아에서 시행한 신장 조직검사 52례에 대한 임상병리적 분석)

  • Yang Jong-Il;Lee Jae-Ho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v.8 no.2
    • /
    • pp.205-213
    • /
    • 2004
  • Purpose: To evaluate the clinical manifestations of various glomerular diseases in children, a clinicopathological study was performed in 52 children who had renal biopsy. The type and relative incidence of the glomerular pathologies were analyzed, and the clinical predictability and usefulness of renal biopsy in glomerular diseases were assessed. Methods: Medical records of fifty two children with renal disease who had undergone percutaneous renal biopsy under ultrasonic guidance at Chungnam University Hospital from October 1995 to August 2003 were reviewed. In addition, we compared the clinical findings before renal biopsy with the pathological diagnosis. Results: The male to female ratio was 1.6:1 and they were $9.8\pm2.6$ years old on average. The chief complaints for biopsy were hematuria in 22 cases which was the most common (42.3%), proteinuria in 16 cases(30.8%), and hematuria & proteinuria(26.9%). Among the 22 cases of hematuria, there were 15 cases of gross hematuria(68.2%) and 7 cases of microscopic hematuria(31.8%). In terms of histopathologic diagnosis, most of them were primary glomerular diseases(84.6%), which included IgA nephropathy(28.8%), thin glomerular basement membrane disease(25.0%), focal segmental glomerulosclerosis(FSGS)(11.5%), membranous proliferative glomerulonephritis(7.7%), minimal change lesion(3.8%), acute poststreptococcal glomerulonephritis(3.8%) and membranous glomerulonephritis(3.8%). The clinical manifestations and pathologic diagnosis were not correlated. Conclusion: The clinical manifestations could not predict the pathological diagnosis. Therefore, renal biopsy would be inevitable in diagnosis of glomerular diseases for effective management and assessment of prognosis.

  • PDF

동물 결핵

  • Jo, Yun-Sang
    • Journal of the korean veterinary medical association
    • /
    • v.44 no.9
    • /
    • pp.803-818
    • /
    • 2008
  • 동물의 결핵은 Mycobacterium bovis의 감염에 의한 만성 소모성 질병이며 인수공통전염병이다. 동물로부터 사람으로의 결핵 전염은 생유 섭취하던 시대에 상당히 많이 보고되었다. 우유의 살균처리와 소에서 피내진단에 의한 양성우 살처분 및 보상금 지급 정책을 전개하면서 M. bovis의 사람전염은 급격히 감소하였다. 소 결핵은 우리나라에서 연간 0.15% 내외의 발생을 보이고 있으며, 발생의 주원인으로는 외부입식소, 인근발생농장, 과거발생농장의 사후관리소홀 등이다. 사람 결핵의 주원인균인 M. tuberculosis와 M. bovis는 유전체가 99.9% 유사하며, M. bovis를 M. tuberculosis의 아종으로 분류하기도 한다. 두 세균은 M. tuberculosis complex에 속하며, M. tuberculosis와 M. bovis이외에도 M. africanum, M. canettii, M. microti, M. pinnipedii 등이 있다. M. bovis는 M. tuberculosis complex중에서 가장 넓은 숙주범위를 가진다. M. bovis의 대표적인 숙주는 종이름에도 나타나 있듯이 소이다. 소결핵 전파원으로서는 M. bovis에 감염된 소가 가장 중요하다. 소 이외에도 면양, 산양, 말, 돼지, 사슴, 엘크, 영양 (antelope, kudus, elands, sitatungas, oryxes, addaxes), 개, 고양이, 흰족제비 (ferrets), 낙타, 여우, 밍크, 오소리, 쥐, 영장류, 라마, 맥 (tapirs), 코끼리, 코뿔소 (rhinoceroses), 주머니쥐, 땅다람쥐 (ground squirrels), 수달 (otters), 물개, 산토끼 (hares), 두더쥐 (moles), 너구리 (raccoons), 코요테, 사자, 호랑이, 표범, 살쾡이 (lynx) 등에 감염될 수 있으나, 대부분 종결숙주 (spillover host)로 가축의 결핵방제가 유지되고 있는 국가에서는 야생동물 결핵의 가축 전염이 문제시되고 있다. M. bovis는 주로 호흡기와 소화기를 통하여 감염되며, 결핵결절이 형성되는 부위를 관찰하면 감염경로를 추정할 수 있다. 결핵에 감염되면, 초기에는 뚜렷한 임상증상을 보이지 않으나, 아침, 추운 날씨, 또는 운동 중에 심한 기침을 하며, 호흡곤란을 일으킬 수 있다. 결핵은 감염되어도 대부분 무증상이기 때문에 피내진단, 결핵결절 병리소견, 원인균 분리 등에 의해 진단하여야 한다. 감염된 결핵균은 탐식세포에 탐식되어 특징적인 육아종성 결절 병변으로 진행된다. 현재 결핵은 피내진단과 결핵결절 병리소견 등에 의해 판정하고 있다. 최신 진단법으로는 피내진단을 대체할 수 있는 인터페론 감마 검사법과 우군의 결핵 스크리닝과 말기 결핵 검사에 우수한 항체진단법이 개발되어 있다. 그러나, 소 결핵 근절을 위해서는 일관성있는 진단법과 진단기준을 적용하는 것이 중요한 성공요인중 하나이다. 소결핵 청정국인 호주와 캐나다에서는 피내진단과 도축장 결절검사를 결핵 양성우 색출방법의 근간으로 삼고 있으며, 소결핵 근절의 최종단계에 이르러서는 특이적인 검사법을 적용하였지만, 근절목적상 민감성이 높은 피내진단법을 사용하였다. 이와 더불어, 피내진단 양성우의 부검소견과 원인균 분리를 통해 결핵을 확진하여 출처농장의 역추적 검사를 통하여 결핵 양성소를 제거하였다. 한편, 결핵의 농장간 및 지역간 전파방지를 위해 결핵 청정농장과 결핵 오염농장, 결핵 청정지역과 결핵 오염지역 구분을 통하여 결핵 오염농장과 결핵 오염지역으로부터 결핵 청정농장과 결핵 청정지역으로의 이동전 결핵 검진을 통해 개체 이동에 따른 결핵 전파를 근본적으로 차단하는 시스템을 엄격히 적용한 것이 주요한 성공 요인중 하나였다. 호주 결핵 근절정책 성공요인을 요약하면, 일관성 있는 결핵진단법 적용, 양성우 출처농장의 철저한 역추적 검사, 개체 이동전 결핵 음성증명 확인, 농가단체의 경제적 및 방역상 적극적인 지원 및 협조 결핵의 지속적인 모니터 링과 현장요구에 부응하는 방제신기술의 지속적인 연구개발 등을 들 수 있다. 최근 들어 국내 동물 결핵은 소, 특히, 한우의 결핵발생이 증가하고 있으며, 사슴 결핵발생도 증가하고 있다. 농장간 및 지역간에 결핵 감수성 가축, 특히, 소와 사슴의 거래가 아주 복잡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현실을 고려할 때, 결핵전파의 주원인인 결핵감염 소나 사슴의 농장내 반입을 철저히 차단해야 할 것이다. 이때, 개체 검사는 물론이고, 출처농장에 대한 결핵 음성을 확인한 후 입식하여야 할 것이며, 입식 후에도 60일정도 격리사육하면서 피내진단등 결핵검진 후 음성인 경우에만 합사하여야 할 것이다. M. bovis는 사람을 비롯한 거의 모든 온혈동물에서 결핵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결핵 감염소로 판정된 농장 종사자는 각 시도 보건소의 협조를 받아 결핵검진을 받도록 해야 한다. 농장 가축에 접촉할 수 있는 야생동물의 접촉을 차단하여야 하며, 특히, 농장 사료의 야생동물에 의한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사료창고관리를 철저히 해야 한다. 결핵 감염소를 다룰 때는 분비물 또는 가검물에 의해 감염될 수 있기 때문에 개인방역장비 - 방역복, 마스크, 비닐장갑, 비닐장화 - 를 착용한 상태에서 다루어야 한다. 특히, 결핵 감염소를 매몰 또는 소각하는 과정에서 결핵 감염소의 배설물 및 분비물 처리를 철저히 하여야 한다. 모든 작업을 마친 후에는 개인방역장비, 매몰 또는 소각에 사용하였던 장비 등을 청소 및 소독하고 필요시 소각 또는 매몰하여야 하며, 개인감염위험과 타인 감염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노출부위를 세척하여야 한다.

  • PDF

암의 발생기작

  • 임영희
    • Proceedings of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Conference
    • /
    • 1997.06b
    • /
    • pp.8-10
    • /
    • 1997
  • 종양은 아직 그 발생 원인과 기작이 정확히 밝혀져 있지 않으므로 정확한 정의를 내리는 것은 어려우나 일반적으로 종양이란 정상 세포가 갖고 있는 세포 분열의 특이성을 상실하여 일어나는 조직의 자율적인 과잉 성장을 말한다. 이와 같은 세포의 비정상적인 증식에 의한 종양을 임상 및 병리 형태학적으로 양서 종양과 악성종양으로 분류한다. 양성 종양을 일으키는 종양 세포는 정상 세포와 비슷할 뿐 아니라 그 주변 세포들과 확실한 경계를 이루고 있으며 증식도 느리며 다른 부위로의 전이가 없다. 이에 반해 악성종양은 일반적으로 증식도 빠르고 이형의 세포로서 주변의 조직으로 확산, 전이될 뿐만 아니라 최종적으로 숙주인 개체를 사망시킨다. 악성종양은 다시 상피 조직에서 유례한 암, 비상피 조직에서 유래된 육종, 백혈구에서 유래된 백혈병 등으로 구별하지만 그의 본질은 거의 같으며 모든 악성종양은 통속적으로 암이라고 불리운다. 종양의 발생원인으로 크게 3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화학물질, 바이러스 및 유전적 요인에 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최초의 발암물질로 알려진 benzopyrene에 의한 발암 등 연구에 의해 화학적 발암원들은 직접 발암 물질로 작용하는 것이 아니라, 일단 체내에서 대사된 후 이들 대사 산물일 DNA 등에 작용함으로써 발암이 유도 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와 같이 화학적 변화를 거친 후에야 DNA에 영향을 미치는 것외에 다른 화학물질들은 또 다른 기작을 통해 암을 유발하는데 쥐의 피부에 benzopyrene을 한 번 처리하면 암을 유발하지 않으나 여기에 phorbol ester를 처리하면 높은 빈도로 암이 형성된다. 여기서 benzopyrene과 같이 세포의 DNA에 돌연변이를 일으키는 작용을 하는 발암물질을 발암개시제라 하고 phorbol ester처럼 그 자체로는 발암능이 없으나 발암개시제에 노출된 세포에 영향을 미쳐 발암능을 크게 강화시켜 주는 것을 발암촉진제라고 한다. 암은 세포증식 제어계에 DNA가 이상을 일으킨 현상을 말하는 데 이와 같은 DNA의 변형된 유전정보에 의해 암과 관련된 단백질을 합성하므로 이 DNA를 암유전자라 부르며 바이러스에서 유래된 것을 V-one 그리고 세포에서 유래된 것을 c-one이라 한다. 암유전자는 본래 암을 형성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증식제어 유전자로서 변이나 비정상으로 활성화 됨으로써 암을 유발시키므로 proto-oncogene이라 부른다. 또한 고등동물의 유전자 중에는 세포성장을 억제하는 유전자들이 있으며 이들은 세포의 성장 생존 분화를 조절하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따라서 이들 유전자는 세포의 암변형을 억제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들 유전자의 이상으로 세포성장 억제기능이 상실되면 세포의 과잉 성장이 초래되면 결과적으로 암으로 유발하는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최근의 연구에 의하면 암세포에서 암억제 유전자의 이상과 암유전자의 활성화가 함께 발견 되면서 정상세포가 암으로 변형되는 과정에는 암억제 유전자의 이상과 암유전자의 활성화가 동시에 관여한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정상 세포가 암을 유발하기 위해서는 발암의 다단계설에서와 같이 여러 단계의 변과가 필요한데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정상세포의 염색체가 변화되어 정상세포들이 가지고 있는 세포분열의 특이성을 상실하고 증식이 빠르고 저항력이 강한 세포가 선택 되어지고 비정상 서ㅔ포으 과잉 분여러에 의해 종양이 형성되며 이어서 혈관의 신생을 촉진하는 맥관형성, 전이 등이 과정을 거쳐 신체의 다른 부위로 전이된다. 20세기 초까지는 암은 노화와 함께 자연발생적으로 일어나는 피할 수 없는 질병으로 여겨졌으며 그 치료도 조기에 발견된 암환자에게 외과적인 치료를 하는 것이 최선의 방법 이었다. 그러나 현재에는 암환자의 80% 이상이 환경적 요인에 의해 암이 발생 된다고 믿어지고 있다. 과거 치료에 중점을 둔 것에서 점차 예방의 가능성과 그 방법의 모색에 관심을 갖게 되었으며 치료적인 면에서도 외과적 수술 이외에 방사선 치료, 항암제의 투여 등 약물요법, 면역요법의 이용 이외에 더 나아가 gene theraph 및 tumor vaccines 개발에 대한 관심도 증가되고 있다. 국제암연구협회에서는 인간에게 발암이 가능한 물질의 종류를 정기적으로 발표하고 있는데 지금까지 발암 가능성이 높다고 널리 알려진 위험요인을 크게 나누어 보면 다음과 같다. 흡연, 음주, 식이요인, 호르몬 및 기타 요인으로 약물, 자외선 등을 들 수 있는데 현재까지 이들 요인에 의한 발암 기작이 완전히 규명된 것은 아니지만 이들에 의한 발암의 확률이 높다는 것은 사실이므로 이 위험요인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암발생을 예방할 수 있을 것이다. 암발생의 예방법으로는 암발생 자체를 예방하는 것과 이미 발생한 암환자를 조기 발견하고 치료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현재까지의 여러 연구 결과들을 보면 유전적인 요인을 제외한 대부분의 발암 위험인자들은 개개인의 생활습관과 밀접히 관련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1992년 대한 암협회에서는 '암 예방 14개 권장 사항'을 발표하여 국민 홍보활동을 하고 있는데 그 내용의 반 이상이 식생활 습관과 관련되어 있을 정도이므로 암예방에 있어서의 식품의 역할이 매우 크다 할 수 있다. 따라서 건전한 생활습관과 더불어 적절한 식품의 섭취는 암예방을 위한 기본이 될 것이다.

  • PDF

Study on Detection of Oral Bacteria in the Saliva and Risk Factors of Adults (성인의 타액 내 구강세균 검출과 위험요인에 관한 연구)

  • Hong, Min-Hee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5 no.9
    • /
    • pp.5675-5682
    • /
    • 2014
  • As oral diseases are developed by mixed infections, not by any single element, an accurate analysis of the causative microorganisms related to dental caries and periodontal diseases is required. In this study, saliva was collected from selected adults to determine if the bacteria that are well known as the causative microorganisms of dental caries and periodontal diseases would be detected in their saliva.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d whether there would be any differences among adults according to age, smoking, drinking and presence or absence of diseases in the distribution of oral bacteria to determine the risk factors for oral bacteria. The study subjects were 120 adults ranging in age from 20 to 65 years. The experiment data was collected from March 15, to May 2014. The gDNA was collected from the saliva, and the distribution of bacteria for oral diseases was investigated by PCR.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S. mutans was detected from 72 adults, and P. intermedia was detected from 88 adults. Both bacteria were detected from 54 adults, and no oral bacteria was detected in 14 adults. An analysis of the risk factors of oral bacteria showed that smokers had a 2.8-fold higher risk of S. mutans than nonsmokers, and the former had a 3.5-fold higher risk of P. intermedia than the latter. Drinkers had a 3.3-fold higher risk of S. mutans than nondrinkers. Patients who suffered from systemic diseases had a 4.1-fold higher risk of P. intermedia than those with no diseases. Therefore, smoking, drinking and systemic diseases are factors that increase the likelihood of oral bacteria detection. More periodontal disease bacteria were detected from older adults, and more oral bacteria were found in adults who were in their 20s, as dental caries and periodontal diseases were more common in this age group. The adults in which oral bacteria were detected are more likely to have dental caries or periodontal diseases, and they should try to keep their mouth cavity clean and make regular visits to a dental clinic to prevent possible oral diseases.

Usefulness of the Pleural Fluid Adenosine Deaminase with Lymphocyte/Neutrophil Ratio in the Diagnosis of Tuberculous Pleurisy for a Region of Intermediate Prevalence of Tuberculosis (중등도 결핵 유병률 지역에서 결핵성흉막염 진단에 있어 흉수 아데노신 탈아미노효소와 림프구/호중구 비의 유용성)

  • Kim, Chang Hwan;Mo, Eun Kyung;Park, Sung Hoon;Hwang, Yong Il;Jang, Seung Hun;Park, Yong Bum;Kim, Cheol Hong;Kim, Dong-Gyu;Lee, Myung Goo;Hyun, In Gyu;Jung, Ki-Suck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v.66 no.6
    • /
    • pp.437-443
    • /
    • 2009
  • Background: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nsider the significance of pleural fluid adenosine deaminase (ADA) activity combined with lymphocyte/neutrophil (L/N) ratio in the diagnosis of tuberculous pleurisy (TBpl) in a region of intermediate prevalence of tuberculosis (TB). Methods: We collected data from 388 patients with exudative pleural effusions. The final diagnoses were compared to the results from our diagnostic method using pleural fluid ADA and L/N ratio. Results: 108 patients had a final diagnosis of TBpl; 102 cases had high levels of ADA ($\geq$40 IU/L). When we considered ADA $\geq$40 IU/L as a diagnostic criterion, the sensitivity was 94.4%, specificity 87.5%, and posttest posttest probability 74.5%. However, when we considered ADA $\geq$40 IU/L combined with the L/N ratio $\geq$0.75 as a diagnostic criterion, the specificity and post-test probability were rose to 97.5% and 93%, respectively. The other causes of high ADA and L/N ratios were lymphoma and metastatic carcinoma, but mass-like lesions were found on the chest radiographs or CT scans. Conclusion: To evaluate the causes of exudative pleural effusions in a region of intermediate prevalence of tuberculosis, we recommend measuring the pleural fluid ADA and L/N ratio first. If the result is high and malignancies are not suspected, it may be diagnostic of TBp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