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질병단계

Search Result 257,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Biomarker Detection of Specific Disease using Word Embedding (단어 표현에 기반한 연관 바이오마커 발굴)

  • Youn, Young-Shin;Kim, Yu-Seop
    • 한국어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6.10a
    • /
    • pp.317-320
    • /
    • 2016
  • 기계학습 기반의 자연어처리 모듈에서 중요한 단계 중 하나는 모듈의 입력으로 단어를 표현하는 것이다. 벡터의 사이즈가 크고, 단어 간의 유사성의 개념이 존재하지 않는 One-hot 형태와 대조적으로 유사성을 표현하기 위해서 단어를 벡터로 표현하는 단어 표현 (word representation/embedding) 생성 작업은 자연어 처리 작업의 기계학습 모델의 성능을 개선하고, 몇몇 자연어 처리 분야의 모델에서 성능 향상을 보여 주어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Word2Vec, CCA, 그리고 GloVe를 사용하여 106,552개의 PubMed의 바이오메디컬 논문의 요약으로 구축된 말뭉치 카테고리의 각 단어 표현 모델의 카테고리 분류 능력을 확인한다. 세부적으로 나눈 카테고리에는 질병의 이름, 질병 증상, 그리고 난소암 마커가 있다. 분류 능력을 확인하기 위해 t-SNE를 이용하여 2차원으로 단어 표현 결과를 맵핑하여 가시화 한다. 2차원으로 맵핑된 결과 값을 코사인 유사도를 사용하여 질병과 바이오 마커간의 유사도를 구한다. 이 유사도 결과 값 상위 20쌍의 결과를 가지고 실제 연구가 되고 있는지 구글 스콜라를 통해 관련 논문을 검색하여 확인하고, 검색 결과를 점수화 한다. 실험 결과 상위 20쌍 중에서 85%의 쌍이 실제적으로 질병과 바이오 마커 간의 관계를 파악하는 방향으로 진행 되고 있으나, 나머지 15%의 쌍에 대해서는 실질적인 연구가 잘 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 PDF

Expression of Endogenous Retroviruses and Disease (내인성 레트로바이러스의 발현과 질병)

  • Lee, Jae-Yeong
    •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 /
    • v.43 no.4
    • /
    • pp.237-242
    • /
    • 2007
  • One of the chief characteristics of the retrovirus life cycle is the appearance of provirus caused by integration of viral genome into the host cell genome, and its delivery stably to the next generation as a part of host germ line. This stable form is called endogenous retrovirus (ERV) and expressed by exogenous or endogenous factors. HERVs and MuERVs are present in humans and mice correspondingly, and their expressions frequently cause diseases. Several diseases such as cancer, autoimmunity and neurological disorders are related with HERVs. Therefore, various strategies should be established for the development of effective therapies for the suffering patients.

Biomarker Detection of Specific Disease using Word Embedding (단어 표현에 기반한 연관 바이오마커 발굴)

  • Youn, Young-Shin;Kim, Yu-Seop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6.10a
    • /
    • pp.317-320
    • /
    • 2016
  • 기계학습 기반의 자연어처리 모듈에서 중요한 단계 중 하나는 모듈의 입력으로 단어를 표현하는 것이다. 벡터의 사이즈가 크고, 단어 간의 유사성의 개념이 존재하지 않는 One-hot 형태와 대조적으로 유사성을 표현하기 위해서 단어를 벡터로 표현하는 단어 표현 (word representation/embedding) 생성 작업은 자연어 처리 작업의 기계학습 모델의 성능을 개선하고, 몇몇 자연어 처리 분야의 모델에서 성능 향상을 보여 주어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Word2Vec, CCA, 그리고 GloVe를 사용하여 106,552개의 PubMed의 바이오메디컬 논문의 요약으로 구축된 말뭉치 카테고리의 각 단어 표현 모델의 카테고리 분류 능력을 확인한다. 세부적으로 나눈 카테고리에는 질병의 이름, 질병 증상, 그리고 난소암 마커가 있다. 분류 능력을 확인하기 위해 t-SNE를 이용하여 2차원으로 단어 표현 결과를 맵핑하여 가시화 한다. 2차원으로 맵핑된 결과 값을 코사인 유사도를 사용하여 질병과 바이오 마커간의 유사도를 구한다. 이 유사도 결과 값 상위 20쌍의 결과를 가지고 실제 연구가 되고 있는지 구글 스콜라를 통해 관련 논문을 검색하여 확인하고, 검색 결과를 점수화 한다. 실험 결과 상위 20쌍 중에서 85%의 쌍이 실제적으로 질병과 바이오 마커 간의 관계를 파악하는 방향으로 진행 되고 있으나, 나머지 15%의 쌍에 대해서는 실질적인 연구가 잘 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 PDF

The Comparison of the Perceived Needs between Patients with Cancer, their Caregivers, and Nurses According to the Cancer Patient,s Phases of Illness (질병단계에 따라 암환자, 돌보는 가족원, 간호사의 간호요구 지각 비교)

  • 양영희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
    • v.27 no.4
    • /
    • pp.787-795
    • /
    • 1997
  • This descriptive study was conducted to ascertain whether the needs of patients with cancer, their caregivers and their nurses changed according to the illness phases and if the perceived needs of the three groups were different for three categories of nursing needs. At two hospitals in Seoul and Choongnam, three groups of subjects, -patients with cancer(79), caregivers(92), and nurses(72) - responded to a questionnaire consisting of items on educational need(11 items), physical need(8 items), emotional need(9 items) using a 4-point Likert scale. The patients and caregivers were selected according to the phase of the cancer (initial, intermediate or recurred, terminal phases). Finding revealed that the level of perception and degree of satisfaction of the needs were low, just around two points in patients and caregivers. Of the three categories of needs, physical needs were received the highest score and the degree of satisfaction of physical needs was also the highes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level of perception and satisfaction of needs in patients and caregivers according to the phases of the illness and the degree of per reception and the satisfaction of the patient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nd caregivers showed the same resul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vel of importance of the needs of nurses according to the phases of the cancer. They perceived emotional needs were the most important in first phase and second phase, physical needs in third phase and the educational needs were more important in the first phase than in any other phase. The degree of importance of needs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degree to which needs were addressed, according to the nurses response. In a comparison of patient and caregiver's perceived degrees of need, and need satisfaction, and nurse's perceived degree of need provision, patient and caregiver scores were lower than the nurses.

  • PDF

The Comparison of the Coping Patterns of Cancer Patients and Their Caregivers According to the Phases of Illness (암환자와 가족원의 질병단계에 따른 대처 방법의 비교)

  • 양영희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
    • v.28 no.4
    • /
    • pp.970-979
    • /
    • 1998
  • Cancer has been considered a life-threatening disease and coping patterns could have a strong impact the physical and psychological health of patients and their famil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hange of coping patterns according to the phases of illness in the patients with cancer and their family caregivers and to compare the coping patterns of patients with those of their caregivers. The phases of illness consisted of 1st(initial) stage, 2nd(metastatic or recurred) stage and 3rd (terminal) stage based on literature. The coping methods were measured using the modified Ways of Coping Questionnaire by Lazarus & Folkman(1984). Seventy-nine patients(35 in stage 1, 31 in stage 2, and 13 in stage 3) and ninety-two caregivers (38 in stage 1, 30 in stage 2 and 24) agreed to participate from two general hospitals in Seoul and Choongnam. No significant changes were found in the coping patterns according to the phases of illness in both groups. Patients in stage 2 and caregivers in stages 2 and 3 problem-focused coping methods were significantly used more than emotion-focused coping methods. Patients in stage 1 significantly used two coping strategies that were cognitive reconstruction and emotion expression more than caregivers. Patients in stage 2 significantly used emotion-focused coping methods including minimizing threat, blame, and emotion expression excepting wishful thinking more than caregivers. We need more research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ping methods and their efficiencies through longterm observation and attempt to develope the nursing interventions that could have an improvement on positive coping methods and provide guidance on the problems the patients experience.

  • PDF

A Study on the Relationship among Family Support, Stress and Quality of Life on according to the Phases of Illness in Breast Cancer Patients (유방암 환자의 질병단계에 따른 가족 지지, 스트레스 및 삶의 질의 관계)

  • Cheon, Sang-Sun;Choi, So-Young
    • Women's Health Nursing
    • /
    • v.16 no.1
    • /
    • pp.10-19
    • /
    • 2010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family support, stress and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the phases of illness in breast cancer patients. Methods: A descriptive correlational study was employed with 121 breast cancer patients. The data was collected by using self reported questionnaire. Self reported data was collected by using the Family support scale, Perceived Stress Scale (PSS), and EORTC QLQ-BR23. Phases of illness consisted 1st phase, 2nd phase, 3rd phase. Results: The score of family supporting, stress and quality of life showed a statically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phase of illness. Family supporting and stress had negative relation in the first, second and third phase. Family supporting and quality of life in function area had positive relation in the first, second phase. There was no relation between family supporting and quality of life in symptom area. Stress, quality of life in symptom area and quality of life in function area had correlation in the first, third phase.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 that the new nursing implementation should be considered according to the phase of illness in order to improve the family supporting and quality of life and reduce the stress in breast cancer patients through this study results.

Leukocyte Segmentation using Saliency Map and Stepwise Region-merging (중요도 맵과 단계적 영역병합을 이용한 백혈구 분할)

  • Gim, Ja-Won;Ko, Byoung-Chul;Nam, Jae-Yeal
    • The KIPS Transactions:PartB
    • /
    • v.17B no.3
    • /
    • pp.239-248
    • /
    • 2010
  • Leukocyte in blood smear image provides significant information to doctors for diagnosis of patient health status. Therefore, it is necessary step to separate leukocyte from blood smear image among various blood cells for early disease prediction. In this paper, we present a saliency map and stepwise region merging based leukocyte segmentation method. Since leukocyte region has salient color and texture, we create a saliency map using these feature map. Saliency map is used for sub-image separation. Then, clustering is performed on each sub-image using mean-shift. After mean-shift is applied, stepwise region-merging is applied to particle clusters to obtain final leukocyte nucleus.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our system can indeed improve segmentation performance compared to previous researches with average accuracy rate of 71%.

인간배아 연구와 생명윤리

  • Korean Feder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Societies
    • The Science & Technology
    • /
    • v.34 no.9 s.388
    • /
    • pp.43-68
    • /
    • 2001
  • 인간배아란 무엇인가 - 조직분화단계까지의 세포집단이 대상, 연구 아직 초보단계 안전성 확보가 관건/인간배아 연구 찬성한다 - 질병발생기전 이해 난치병 극복 길 열어, 인간 삶의 질 향상이 목표 연구허용 마땅/인간배아 연구 반대한다 - 수정란 자체가 생명체 파괴 있을 수 없어, 인간존엄성 어느 누구도 해 입힐 수 없다/인간배아 연구와 윤리 - 인간조재ㆍ정체성 혼란에 불안과 두려움, 과학과 종교ㆍ인문사회계 견해 차 좁혀야/주요 선진국 연구동향 - 부시 미 연방정부 예산 지원 발표 큰 파문, 영국 가장 개방적, 독일은 일체 연구금지

  • PDF

The Study of Communication Supporting System Interface for Person with Speech Disorder (중증 언어장애인을 위한 의사소통 시스템 인터페이스에 관한 연구)

  • Joo, Min-Young;Hong, Seung-Wook;Park, Jeong-Hwa;Park, Su-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7.06a
    • /
    • pp.289-292
    • /
    • 2007
  • 우리가 다른 이들과 만나 대화하는 것은 극히 평범한 일이다. 하지만 대화뿐만이 아니라 의사소통마저도 힘들어하는 이들이 있다. 이들은 언어 장애를 가진 이들이다. 언어 장애에는 태어나면서부터 장애를 가지는 선천적 장애와 사고와 질병으로 인한 후천적 장애가 있다. 그 중 후천적 장애는 언어장애와 더불어 신체적 장애를 가진 이들이 있다. 이들을 본 논문에서는 중증 언어 장애인이라고 분류하였다. 중증 언어 장애인의 장애정도를 크게 글자 표현이 불가능한 상태로부터 4가지 단계로 나뉠 수 있다. 글자 표현이 불가능하지만 개체 선택이 가능한 1단계, 손 혹은 발을 이용하여 가부 결정만 가능한 2단계, 지체를 이용하여 표현이 불가능한 3단계, 그리고 마지막 4단계가 3단계의 표현마저도 불가능하여 의사소통이 전혀 불가능한 상태이다. 사고로 인한 후천적 장애인 경우 위의 4가지 단계중 하나의 단계에서 머물러 있지만, 루게릭병과 같은 병은 위의 4가지 단계를 몇 년에 걸쳐서 진행되기 때문에 일반적인 장비로써는 이 들과의 의사소통이 불가능하다. 본 논문에서는 위의 1,2,3단계의 중증 언어 장애인을 대상으로 그들이 의사소통을 정확하고 신속하게 전달하기 위해서 어떠한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인 방법에 대해 논해보고, 향후 발전될 방향에 대해서 그 방향을 제시하였다.

  • PDF

Recommandation for Study of Mortality Depending on Disease in Korean Insurance Market (국내 생명보험 질병별 사망율 연구를 위한 제언)

  • Bang, Eun-Joo;Kim, Yong-Eun
    • The Journal of the Korean life insurance medical association
    • /
    • v.22
    • /
    • pp.55-98
    • /
    • 2003
  • 본 연구는 질병별사망율연구(疾病別死亡率硏究)의 이론적 기초를 제시하고 일본 선진보험사의 질병별사망율연구(疾病別死亡率硏究)의 경험을 고찰하고 국내 보험사들의 질병사망율연관데이터의 현황분석을 통해 향후 질병별사망율연구(疾病別死亡率硏究)의 결과를 얻기 위해 현재 보험사들이 전사적으로 준비하여야 할 것에 대해 제언을 하고자 한다. 사망률연구(mortality study)란 인구통계학적 개념을 기본으로 하여 역학적 연구방법의 하나인 코호트방법과 생존분석방법을 결합하여 인구집단(또는 피보험자 집단)을 대상으로 대량의 자료를 장기적으로 관찰하여 그 사망의 빈도와 분포를 기술하고 사망연관지수들을 알아내어 생명보험사업에 있어서 위험선택기술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초과사망을 및 사망비 산출의 실제를 생명표 방법론과 급성심근 경색증 환자의 생존 분석을 통해 알아본다. 생명표 방법론을 이용한 생존 분석방법이란 의학저널에서 발표된 논문을 사망률표로 변경하기 위한 필수적인 단계에 대한 것이다 관찰된 생존 곡선을 생명표 작성법의 한 방법인 비교 경험 사망률로 바꾸는데 초점을 두었다. 일본생명(日本生命)의 경우, 일본 협영생명(協塋生命)의 경우, 일본사망율조사(MA)위원회 생명보험사망을 연구고서등을 통해 질병별사망율연구(疾病別死亡率硏究)를 살펴 보았다. 일본은 질병별사망율(疾病別死亡率)을 구하기 위해서 1950년대 이후부터 체계적으로 자료를 모으고 축적, 분석하여 지속성을 유지하였다. 또한 일본MA위원회의 경우처럼 보험의학의사, 계리, 통계, 전산부서로 구성된 전담위원회의 통일된 협조가 질병별사망율연구(疾病別死亡率硏究)를 가능하게 하였다. 그리고 의학적인 관점에서 볼 때 일본보험의학계는 일본만의 독특한 질병분류로 분석하여 온 것이 특이하다. 질병별사망율연구(疾病別死亡率硏究)에 대해서는 모두가 필요성을 인정하면서도 구체적인 대비책은 없는 것이 우리나라 보험업계의 실정이다. 이러한 현실의 직접적인 이유는 질병별사망율연구(疾病別死亡率硏究)라는 것이 그 특성상 중장기적인 계획이며 많은 전문인력의 통합되고 집중된 노력이 요구되기 때문이다. 우리도 "생명보험사사망율연구위원회(Life Insurance Mortality Committee" (가칭)를 설치하고 장기적인 계획안을 먼저 만드는 것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지금부터 질병별사망율(疾病別死亡率) 데이터를 축적하고 매 5년 또는 매 10년마다 데이터를 분석한다면 질병별사망율(疾病別死亡率)에 대해 고유의 기술을 습득하는 것이 그리 먼 미래의 일만은 아닐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