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질량농도

Search Result 527,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2008년 황해지역의 광역적 대기오염 이동에 대한 에어로졸 크기 분포 특성

  • Kim, ak-Seong;Jeong, Yong-Seung;Son, Jeong-Ju
    • 한국지구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4a
    • /
    • pp.37-37
    • /
    • 2010
  • 2008년 동아시아 대륙에서 발생기원이 다른 황사와 인위적 오염입자의 광역적 이동 사례를 NOAA위성 RGB 합성영상과 지상 TSP, PM10, PM2.5 질량농도 관측으로 구별하였다. 또한 Terra/Aqua 위성MODIS (MODerate Imaging Spectroradiometer) 센서의AOD (Aerosol Optical Depth)와 FW (Fine aerosol Weighting)를 통해 동아시아 지역에서 발생기원이 다른 대기 에어로졸의 분포와 입자 크기 특성을 분석하였다. 중국 북부와 몽골, 그리고 중국 황토고원에서 모래폭풍이 발생하여 광역적으로 이동하여 청원에 먼지입자(황사)로 영향을 주는 6 사례를 분석했다. 질량농도 TSP중 PM10 은 70%, PM2.5 는 16% 로 조대입자 (> $2.5{\mu}m$)의 비율이 큰 것은 사막과 반사막의 자연적 발생원에서 생성되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모래 폭풍이 이동 과정에서 중국 동부의 산업 지역을 거쳐 유입 되는 사례에서는 TSP 중 PM2.5 가 23% 까지 증가하기도 했다. 중국 동부로부터 황해를 거쳐 한반도로 유입하고 있는 다른5사례는 TSP 중 PM10, PM2.5가 각각 82%, 65% 로 PM2.5 의 비율이 높았는데 인위적 오염입자의 영향 때문이다. 동아시아 지역에서 인위적 오염입자의 광역적 이동 사례에 대한 평균 AOD는 $0.42{\pm}0.17$로 황사에 의한 AOD ($0.36{\pm}0.13$)와 비교하여 대기 에어로졸에 대한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특히, 중국 동부에서 황해, 한반도, 동해에 이르는 광역적 지역에 높은 AOD값이 분포했다. 인위적 오염입자의 사례는 FW가 평균 $0.63{\pm}0.16$로 모래폭풍의 이동 사례의 $0.52{\pm}0.13$ 보다 높은 값을 보이고 있어, 대기 에어로졸에 대한 인위적 미세 오염입자의 기여가 크게 나타나고 있었다.

  • PDF

Chemical Properties of the Metallic Elements and the Mass Concentration of PM10 and PM2.5 Observed in Busan, Korea in Springtime of 2006-2008 (2006-2008년 봄철 부산 지역 PM10과 PM2.5의 질량농도 및 금속성분의 화학적 특성)

  • Jeon, Byung-Il;Hwang, Yong-Sik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31 no.3
    • /
    • pp.234-245
    • /
    • 2010
  • Twenty-four hour integrated $PM_{10}$ and $PM_{2.5}$ samples were measured during springtime (March, April, and May) in Busan for three years from 2006 to 2008, and mass concentrations and metallic elements of measurement were analyzed to investigate temporal, spatial, 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mass concentration and metallic elements in association with meteorological conditions including Asian Dust (AD) vs. non Asian Dust (NAD) seasons, and other air mass transport patterns. The result showed that $PM_{10}$, $PM_{2.5}$ and $PM_{10-2.5}$ concentrations were on average of $126.2{\pm}89.8$, $85.5{\pm}41.6$, and $40.7{\pm}54.9{\mu}g/m^3$, respectively, and the $PM_{2.5}/PM_{10}$ and $PM_{10-2.5}/PM_{2.5}$ ratios were 0.70 and 0.48, respectively. The highest concentrations of PM were observed when air parcels were originated from both northwest sector covering Beijing and west sector including Shanghai areas.

부산지역 대기 중 PM10 농도와 화학적 조성

  • 황용식;전병일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3.05a
    • /
    • pp.328-331
    • /
    • 2003
  • 1) PM10의 질량농도는 평균 98.21 ${\mu}g$/$m^3$로 나타났으며, 최고농도는 330.56 ${\mu}g$/$m^3$로서 연간 기준치인 80 ${\mu}g$/$m^3$를 초과하였다. 또한 K(1.23 ${\mu}g$/$m^3$)>Ca(1.12 ${\mu}g$/$m^3$)>Na(0.79 ${\mu}g$/$m^3$)>Al(0.76 )>Fe(0.75 ${\mu}g$/$m^3$) 순으로서 높은 조성을 보였으며, Cd(2.72 ng/$m^3$)이 가장 낮은 질량 농도를 보였다. 2) Cd, Ni, Pb 및 Zn은 평균 지각농축계수가 10이상의 인위적인 기원으로 봄철과 여름철에 비하여 서풍계열의 바람이 우세한 겨울철에 매우 높은 값을 보였으며, 연구 지역의 서쪽에 인접한 사상공단과 서남쪽에 위치한 신평.장림공단으로부터 서풍계열의 바람을 타고 이동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이들 중금속은 조대입자보다는 미세입자의 조성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평균 토양입자의 기여율은 9.5%로 나타났다. 3) PM10의 조성에 관여하는 금속 원소들은 토양, 해양 및 인위적인 오염물질에 의한 기원을 동시에 포함하고 있으나 해양기원보다는 토양 및 인위적인 기원들 간의 상관성이 우세하게 나타났다.

  • PDF

Dynamic Modeling and Control Strategies for Retention and Formation on a Paper Machine using a Microparticulate Retention Aid System

  • Cho, Byoung-Uk;Garnier Gil;Ven Theo G.M. van de;Perrier Michel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ical Association of the Pulp and Paper Industry Conference
    • /
    • 2006.04a
    • /
    • pp.103-112
    • /
    • 2006
  • 제지 기계의 습부 공정을 안정화시키고, 또한 종이의 지필도에 악영향을 끼치지 않으면서 종이의 기계방향 물성의 변이를 줄이기 위해서, 보류도와 지필도 공정을 동시에 제어하기 위한 제어전략들이 개발되었다. 보류도와 지필도에 미치는 주 변수들에 관한 연구를 양이온성팜(CPAM)/벤토나이트 보류제와 파일럿 제지 기계를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마이크로파티클 보류제 첨가량이 보류도와 지필도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하기 위해서 deposition efficiency 모델과 bridging strength 모델을 개발하였다. 제지 기계 보류 공정의 동특성 모델을 질량수지분석을 사용해서 개발하였다. 지료화학 변수의 효과를 모델에 포함하기 위해서, 보류도를 작업조건들에 의존하는 변수로 모델에 포함시켰다. 또한 지필도의 실험적 모델을 개발하고 보류공정을 위한 동특성 모델들과 연계해서 지필도의 동특성을 모사하였다. 여러 제어 전략들이 시뮬레이션상에서 실험되어졌다. 평량과 종이의 회분율 대신에 종이내의 펄프 질량과 충전제 질량을 제어하면 decouper를 사용하지 않고도 두 제어 루프간 상호작용을 줄일 수 있음을 보였다. 지필도의 제어를 위해서, 헤드박스 펄프 농도제어와 폴리머유량과 벤토나이트 유량의 비율제어를 제안하였다. 지종 변경시 백수농도의 설정값을 계산하는 문제를 해결하였다. 또한, 평량, 회분율, 백수농도 및 헤드박스 펄프 농도의 다변수제어가 논의되었다.

  • PDF

Monitoring of Trace Elements and Airborne Particulates in Taejon Areas using Neutron Activation Analysis and Gent Air Sampler (Gent Air Sampler와 중성자방사화분석을 이용한 대전지역의 대기분진중 미량금속 측정연구)

  • 정용삼;문종화;김선하;백성열;박광원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0.04a
    • /
    • pp.330-332
    • /
    • 2000
  •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쾌적한 대기환경의 관리 유지는 우리 모두의 관심사중의 하나이다. 호흡기관을 통해 인체내로 흡입되는 $PM_{10}$ 대기분진은 자연적이고 인위적인 발생원에 의해 다양한 미량원소들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흔히 환경영향 평가를 위한 대기관측시료로 이용되고 있으며, 특히 $PM_{2.5}$ 분진의 질량농도(TSPM)나 원소의 농도가 높을 때 장.단기적으로 인체 보건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중략)

  • PDF

Crab shell과 chemical sorbent의 중금속 제거능 비교에 관한 연구

  • 안희경;박병윤;김동석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0.05a
    • /
    • pp.134-139
    • /
    • 2000
  • Crab shell의 중금속 제거 가능성과 그 효율을 검토하기 위하여 chemical sorbent인 cation exchange resin(CER), zeolite, granular activated carbon(GAC), powdered activated carbon(PAC)의 중금속 제거능을 비교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1) 0.1 mM~l.0 mM의 초기 중금속 농도에서 중금속 제거량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해 보았을 때 중금속 제거의 평형에 도달하는 시간은 농도가 높을수록 오래 걸렸으며 단위 흡착제 질량당 중금속 제거량은 초기 중금속 농도가 높을수록 증가하였다. 특히 구리 이온 제거 실험에서는 낮은 농도에서 crab shell의 구리 이온 제거량이 CER의 경우보다 조금 떨어지는 경향을 보였으나, 대부분의 중금속 제거에 있어서는 crab shell이 다른 chemical sorbent에 비해 뛰어난 중금속 제거능력을 보였다. 2) 흡착 등온 모델에 적용해 보았을 때, 단위 흡착제 질량당 중금속 최대 흡착량이 crab shell > CER > zeolite > PAC =GAC의 순으로, 모든 중금속 제거 실험에서 crab shell이 가장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폐수처리 공정에서는 GAC나 PAC가 많이 이용되고 있는데, 수중의 중금속을 보다 효율적이고 경제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crab shell을 폐수처리 공정에 응용할 수 있는 방안을 검토할 필요성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High Resolution Fine Dust Mass Concentration Calculation Using Two-wavelength Scanning Lidar System (두파장 스캐닝 라이다 시스템을 이용한 고해상도 미세먼지 질량 농도 산출)

  • Noh, Youngmin;Kim, Dukhyun;Choi, Sungchul;Choi, Changgi;Kim, TaeGyeong;Kim, Gahyeong;Shin, Dongho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 /
    • v.36 no.6_3
    • /
    • pp.1681-1690
    • /
    • 2020
  • A scanning lidar system has been developed. The system has two wavelength observation channels of 532 and 1064 nm and is capable of 360-degree horizontal scanning observation. In addition, an analysis method that can classify the measured particle as an indicator of coarse-mode particle (PM2.5-10) and an indicator of fine-mode particles (PM2.5) and calculate the mass concentration of each has been developed by using the backscatter coefficient at two wavelengths. It was applied to the data calculated by observation. The mass concentrations of PM10 and PM2.5, which showed a distribution of 22-110 ㎍/㎥ and 7-78 ㎍/㎥, respectively, were successfully calculated in the Ulsan Onsan Industrial Complex using the developed scanning lidar system. The analyzed results showed similar values to the mass concentrations measured on the ground around the lidar observation area, and it was confirmed that high concentrations of 80-110 ㎍/㎥ and 60-78 ㎍/㎥ were measured at points discharged from factories, respectively.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PM10 and PM2.5 Samplers with an Advanced Chamber System (챔버 기술 개발을 통한 PM10과 PM2.5 시료채취기의 수행 특성)

  • Kim, Do-Hyeon;Kim, Seon-Hong;Kim, Ji-Hoon;Cho, Seung-Yeon;Park, Ju-Myo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 /
    • v.32 no.8
    • /
    • pp.739-746
    • /
    • 2010
  •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1) to develop an advanced chamber system within ${\pm}10%$ of air velocity at the particulate matter (PM) collection area, 2) to research theoretical characteristics of PM10 and PM2.5 samplers, 3) to assess the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PM10 and PM2.5 samplers through chamber experiments. The total six one-hour experiments were conducted using the cornstarch with an mass median aerodynamic diameter (MMAD) of $20\;{\mu}m$ and an geometric standard deviation of 2.0 at the two different air velocity conditions of 0.67 m/s and 2.15 m/s in the chamber. The aerosol samplers used in the present study are one APM PM10 and one PM2.5 samplers accordance with the US federal reference methods and specially designed three mini-volume aerosol samplers (two for PM10 and one for PM2.5). The overall results indicate that PM10 and PM2.5 mini-volume samplers need correction factors of 0.25 and 0.39 respectively when APM PM samplers considered as reference samplers and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mini-volume aerosol samplers when a two-way analysis of variance is tested using the measured PM10 mass concentrations. The PM10 and PM2.5 samplers with the cutpoints and slopes (PM10: $10{\pm}0.5\;{\mu}m$ and $1.5{\pm}0.1$, PM2.5: $2.5{\pm}0.2\;{\mu}m$ and $1.3{\pm}0.03$) theoretically collect the ranges of 86~114% and 64~152% considering the cornstarch characteristics used in this research. Furthermore, the calculated mass concentrations of PM samplers are higher than the ideal mass concentrations when the airborne MMADs for the cornstarch used are smaller than the cutpoints of PM samplers and the PM samplers collected less PM in another case. The chamber experiment also showed that PM10 and PM2.5 samplers had the bigger collection ranges of 37~158% and 55~149% than the theocratical calculated mass concentration ranges and the relatively similar mass concentration ranges were measured at the air velocity of 2.15 m/s comparing with the 0.67 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