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질경이

Search Result 82,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Classifica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Roadbed Plant Communities in Daegu, Korea (대구지역 노상식물군락의 분류와 분포 특성)

  • Ahn, Kyung-Whan;Kim, Jong-Won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v.28 no.1
    • /
    • pp.31-36
    • /
    • 2005
  • An important theme of this paper is to search for more genelalities of diversity and distribution pattern on the trampled plant communities in Daegu area. A total of 50 phytosociological releves were analyzed by the Zurich-Montpellier School's method and generalized habitat characteristics by using Euclidean coefficient and PCoA (Principal Coordinates Analysis). Five plant communities were classified and matched into largely two physiognomic types: grass-types such as Eragrostis ferruginea community, Eleusine indica community, Setaria viridis community, Digitaria ciliaris community, and forb-type of Plantage asiatica community only. These plant communities correspond to quite distinctive four habitat types, with both soil stability and moisture in microhabitat conditions: stable-moderate, unstable-moderate, stable-dry, and unstable-dry. Top-ten species showing the highest relative net contribution degree(r-NCD) were Digitaria ciliaris, Eleusine indica, Eragrostis ferruginea, Plantago asiatica, Echinochloa crus-galli, Trifolium repens, Polygonum aviculare, Setaria viridis, Setaria glauca and Artemisia princeps. The front three species showing more than 50% in percent r-NCD possess florescence after monsoon season. It is critically pointed out that the regional ecological differentiations i.e. the Daegu bioclimatic division, the $C_4$-plant dominant season(post-monsoon) of Korean peninsula, and species composition different from Japan's Plantaginetalia asiaticae, are the basis for deriving characteristics of the roadbed trampled plant communities of Daegu.

Creeping Bentgrass(Agrostis palustris Huds.) Control in Kentucky Bluegrass(Poa pratensis L.) Fairways (켄터키 블루그래스 페어웨이에서 문제가 되는 크리핑 벤트그래스 방제)

  • Tae Hyun-Sook
    • Asian Journal of Turfgrass Science
    • /
    • v.19 no.2
    • /
    • pp.65-72
    • /
    • 2005
  • Creeping bentgrass (Agrostis palustris Huds.) had been the problematic weed for Kentucky bluegrass (Poa pratensis L.) fairway since it shows light green color all year.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best herbicides combination to control creeping bentgrass in Kentucky bluegrass. fairway without injury. To investigate the efficacy of herbicides, five post-emergence herbicides of asulam WG ($87.6\%$), imazaquin SL ($20\%$), fenoxaprop-P-ethyl EC ($7\%$), mecoprop SL ($50\%$), triclopyr-TEA SL ($30\%$) and one pre-emergence herbicide pendimethalin EC ($31.7\%$) treated on 21 Sept. and 10 Nov. 2003. Kentucky bluegrass visual quality evaluated 30 and 50 days after application for phytotoxic effects of the herbicides. As a result, asulam WG (0.2g/$m^{2}$) and imazaquin SL (0.3ml/$m^{2}$) showed approximately $90\%$ of control in creeping bentgrass, but visual quality of Kentucky bluegrass significantly decreased from 20 to 50DAT (day after treatment). However, creeping bentgrass was acceptably controlled(over $80\%$) by fenoxaprop-P-ethyl EC (0.4ml/$m^{2}$)+triclopyr-TEA SL(0.3 ml/$m^{2}$) applied twice on 21 Sept. and 1 Oct. 2003 without serious injury on Kentucky bluegrass.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an application of fenoxaprop-P-ethyl EC (0.4ml/ $m^{2}$)+triclopyr-TEA SL (0.3 ml/$m^{2}$) may be more effective to control creeping bentgrass in Kentucky bluegrass with the least phytotoxicity by herbicides.

Two newly naturalized plants in Korea: Nuttallanthus canadensis (L.) D. A. Sutton and Lamium purpureum var. hybridum (Vill.) Vill. (한국 미기록 귀화식물: 솔잎해란초와 유럽광대나물)

  • Ji, Seong-Jin;Yang, Jong-Cheol;Jung, Su-Young;Chang, Chin;Park, Soo-Hyun;Kang, Young-Sik;Oh, Seung-Hwan;Lee, You-Mi
    •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 /
    • v.42 no.1
    • /
    • pp.91-97
    • /
    • 2012
  • Two naturalized plants belonging to Plantaginaceae and Labiatae are newly recorded for Korean flora. Nuttallanthus canadensis (L.) D. A. Sutton, a taxon of the unrecorded genus Nuttallanthus (Plantaginaceae), was founded in Seogwipo-si, Jeju-do. This species can be distinguished from the Linaria species by its corolla with a pale blue to a pale purple color, a lower lip longer than the upper lip and seed with 4-7 angles when cross-sectioned. Lamium purpureum var. hybridum (Vill.) Vill. was found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Jeongeup-si, Jeollabuk-do and Gochang-gun, Jeollanam-do. It can be distinguished from L. purpureum L. by its irregularly dentate bracts and upper lips 3-4 mm in length. New Korean names were given, as Sol-lip-hae-rancho to Nuttallanthus canadensis (L.) D. A. Sutton and Eu-reop-gwang-dae-na-mul to Lamium purpureum var. hybridum (Vill.) Vill. In addition, their descriptions, photos, illustrations and keys to related genera and species are provided here.

Functional Package Wild Vegetables Combination and Production Model Productivity Test (기능성 꾸러미 산채류 조합 선발 및 생산모델 생산성 검정)

  • Gue-Saeng Yeom;Jung-Seob Moon;Song-Hee Ahn;Se-Hyun Ki;Dong Chun Cheong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0.12a
    • /
    • pp.71-71
    • /
    • 2020
  • 산채는 사람에 의하여 개량 육성되어 논밭에서 재배하고 있는 농작물과 달리 자연 그대로 산야에서 자생하는 식물 중 식용으로 가능한 것을 말한다. 산채류의 이용형태별 생산가능시기는 3~5월의 생채 생산과 6~7월의 건채 생산으로 소비자의 기호에 부합하는 신선 생채의 소비한계는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재배유형별 생채 수량검정을 통해 수확시기 연장 및 재배품목을 다양화 시킬 필요 있다. 따라서 본 시험은 재배가능한 산채류를 수집하고 기능성 분류를 통한 꾸러미 산채 조합을 구성하였고 조합된 산채류 들에 대한 생산성 검정을 위해 해발 500m의 전라북도 농업기술원 허브산채시험장에서 2018년 5월 말 갯기름나물 등 15 종을 정식하여 각 작물의 생육특성, 수확한계기 등을 조사하였다. 기능성 분류 결과 항당뇨, 항고지혈증, 항비만, 항혈전, 항염증 총 5가지 조합을 구성하였다. 산채류별 광합성특성 조사결과 돌단풍, 개미취, 섬쑥부쟁이, 질경이, 갯기름나물, 참취의 적정광량은 600~800 μmole/m2/s이였고 눈개승마, 어수리, 참당귀는 400~500 μmole/m2/s, 곤달비, 곰취, 단풍취는 200~300 μmole/m2/s이였다. 기능성 꾸러미 산채류 지상부 생육특성 결과 갯기름나물, 질경이, 참취, 곤달비 섬쑥부쟁이 등이 생육이 우수하였다. 수량성은 섬쑥부쟁이 1,694.6kg/10a로 가장 높았으며, 갯기름나물 1,673.4kg/10a, 참취 1,521.3kg/10a, 질경이 1,398.3kg/10a, 곤달비 1,300.6kg/10a 등이 높았다. 반면 돌단풍 111.8kg/10a, 단풍취 69.5kg/10a, 우산나물 25.4kg/10a로 아주 낮은 수량성을 보였다. 산채류 출현기는 산마늘이 2월 7일로 가장 빨랐으며 대부분 산채류들이 2월 11일에서 2월 25일에 출현하였고 단풍취, 우산나물이 3월 6일로 늦은 출현기를 보였다. 기능성 꾸러미 생채 수확가능 시기는 3월 상순부터 6월 하순까지 가능하였고 수확기간은 섬쑥부쟁이 117일, 두메부추 109일, 어수리 102일, 참당귀 102일로 길었고 돌단풍, 산마늘, 눈개승마, 우산나물은 생채 수확가능 시기가 짧았다. 건나물 수확기간은 돌단풍, 눈개승마는 3월부터 6월까지 가능하였고, 대부분의 산채류들이 5월부터 10월까지고 산마늘과 우산나물은 건나물을 생산할 수 없었다. 산채류 기능성 꾸러미별 생채 조합 가능 시기는 항당뇨는 3월 중하순, 항고지혈증은 3월 중순, 항비만은 3월 하순, 항혈전 3월 하순, 항염증은 3월 중하순으로 조사되었다.

  • PDF

A Phytosiciological Study of the Shrubby and Herbaceous Vegetation of the Riverside in the Upper Stream of Nak-dong River, Korea (낙동간 상류부의 하천변 관목 및 초본성 식생의 식물사회학적 연구)

  • 송종석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15 no.2
    • /
    • pp.104-117
    • /
    • 2001
  • 경상북도 낙동상 상류부에 위치한 하천변 식물군락에 대해 식물사회적 조사를 하였다. 그 결과 아래처럼 10군강에 속하는 30군락단위와 상급단위 미결정의 1군락단위를 식별하였다. 특히, 과거에 인위적 영향을 반영하여 쑥군강에 속하는 군집 군락이 가장 많이 출현하였다. A. 관목식물군락-A-1나도버들군장, 버드나무군단: 버드나무-왕버들군집, 버드나무군집, 시무나무군집, 갯버들군집, 눈갯버들군집, 선버들군집, A-2 찔레꽃 군강: 국수나무군락, 구기자나무군락: A-3 상급단위 미결정의 군락: 누리장나무군락; B, 초본식물군락 B-1 가래군강: 노랑어리연꽃군집, 마름군락, B-2 좀개구리밥군강: 좀 개구리밥-개구리밥군랍, B-3 가막사리군강: 고마리군집, 미꾸라지낚시-여뀌군집, 개기장-여뀌군집, B-4 갈대군강; 창포군집, 갈풀-미나리군집, 달뿌리풀군집, 물억새군집, 갈대군락, B-5 쑥군강:물쑥군집, 쑥군락, 물봉선군락, 왕고들빼기-환삼덩굴군집, 칡-환삼덩굴군집, 수크려군랑, B-6 명아주군강: 물피군락, 바랭이군란, 큰개여뀌군락, B-7 억새군강: 억새군락, B-8 질경이군강: 비노리-질경이군락, 이들 식생단위는 거의가 일본의 것과 공통하고 있어 한국에 고유한 하천변 식생은 매우 드물다는 사실을 나타내었다. 한편 하천에는 고유한 군강의 군집, 군락은 하류에서 상류로 감에 따라 양적으로 증가 하였으마, 귀화식물의 수는 그 반대였다. 또, 각 군락과 환경과의 관계, 하천변 식생의 복원생태 및 자연보호 등에 관해 상세히 논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Hypotensive Action of Methanol Extract of Plantaginis Seed in the Rabbit (차전자 메탄올 엑기스의 혈압강하작용에 관한 연구)

  • 고석태;임동윤
    • YAKHAK HOEJI
    • /
    • v.22 no.3
    • /
    • pp.163-174
    • /
    • 1978
  • Plantaginis seed has been applied in Chinese medicine a as well as in folk remedy. It was advocated that Plantaginis S Semeη exerts good therapeutic effects as anti-inflammatory, antitussive, obstipant and diuretic agent in some cases of alimentary, respiratory a and renal disorders.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order to r re-evaluate the pharmacological action, especially the hypotensive a action of Plantaginis Semen and to elucidate the mechanism of its a action, making use of Plantaginis Semen methanol extract (PME), because its basic pharmacological action, i. e., hypotensive action is n not clear. 1) PME, when administered into intravenous route, elicited the h hypotensive response dependent on the dose of PME given to the rabbit anesthetized with urethane. 2) This hypotensive response of P PME was inhibited by atropine and potentiated by physostigmine, but not influ$\varepsilon$need by vagotomization. 3) Depressor effect of PME was blocked by chlorisondamine, phentolamine, and bethanicline, while not altered by cyproheptadine, diphenhydramine and propran¬olol. 4) The secondary pressor response after blocking the depressor e effect of PME by chlorisondamine was produced, but this pressor response was deminished by atropine. 5) PME augmented the pressor e effect of norepinephrine and angiotensin, on the other hand, reduced b blood pressure elevated by carotid occlusion reflex. 6) These observa¬t tions suggest that PME may induce the hypotensive response via dual mechanisms of parasympathomimetic and sympatholytic action, that the positions of this action are cholinergic peripheral site and sympathetic ganglia respectively, and that PME may possess the pressor activity caused by stimulation of "atropine-sensitive site" which seems to existsin the sympathetic ganglia.

  • PDF

Evaluation of water purification Ability using vegetation for water purification (수질정화를 위한 식생의 수질정화능력 평가)

  • Lee, Jong Jun;Kim, Byeong Jun;Choi, I Song;Park, Jae Ro;Oh, Jong M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551-555
    • /
    • 2015
  • 본 연구는 수체 내 오염물질을 직접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친자연형 소재와 생물을 통한 처리의 다양한 기술 및 공법 중 식생을 이용한 수질의 정화효율에 대해 조사 하였다. 사용된 식생은 환경부 '하천식물자료집'을 바탕으로 수질정화능력이 있고 다년생으로 안정적인 생육특성을 갖는 식생으로 노랑꽃창포, 부들, 수크령, 질경이택사, 창포를 선정하여 약 13 L 크기의 원통형 반응조내에서 실험을 진행하였다. 선별된 식생들은 물가에 서식하는 식물로 15 cm 마사토를 식재 기반으로 하여 반침수 조건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유입수는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에 위치한 기흥저수지 샘플과 경기도 화성시에 위치한 황구지천 샘플 혼합액 7 L를 주입하여 유입수 대비 유출수의 COD, T-N, T-P에 대한 저감 효율을 검토하였다. 노랑꽃 창포와 창포의 경우 침수된 부분에 플럭이 발생하여 투명도가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고, 수크령과 질경이택사의 경우 노랑꽃 창포와 창포에 비해 플럭의 발생은 적었지만 투명도는 비교적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부들은 다른 식생에 비해 성장이 왕성한 것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수체의 탁도 또한 매우 낮아 투명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험 종료 시점에는 창포의 경우 수체 내에서 잎 자체가 분해되어 식재기반 상부가 검정색으로 혐기화 된 것으로 나타났고, 부들의 경우 플럭이 약간 형성되었으나 투명도가 좋고 성장이 왕성한 특징을 나타내었다. 부들의 경우 COD, T-P의 평균 제거효율이 각각 47.1%, 46.0%로 조사되었고, 노랑꽃창포의 경우 T-N의 평균 제거효율이 63.9%로 선별 된 식생 중 가장 높게 조사되었다. 따라서 수질정화를 위한 공법으로는 부들과 노랑꽃창포가 적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Study on the Restoration Method of DMZ Barren Land through the Application of Native Plants (자생식물 적용을 통한 DMZ 불모지 복원공법 연구)

  • Young-Eun Kim;Dong-Hak Kim;Hyeong-Bok Cho;Mi-Young Huh;Sang-Jun Kim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2.09a
    • /
    • pp.65-65
    • /
    • 2022
  • 지속가능한 DMZ 일원의 생태복원 추진을 위해 DMZ 생태교란지에서 복원공법 모니터링을 실시하였다. 본 실험은 강원도 인제군, 철원군 및 경기도 연천군의 DMZ 내(450m2)에서 진행되었으며, 흰민들레, 구절초, 매발톱, 질경이, 꿀풀이 공시식물로 사용되었다. 각 대상지의 식생유형별 시공방법에 따른 침입종 억제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2022년 4월부터 9월까지 일반식생기반재와 특수식생기반재로 처리된 실험구의 전체 피도, 도입종 피도, 침입종 피도, 초장, 출현종 등을 측정하였다. 전체 피도는 세 곳 모두 일반 기반재보다 특수기반재에서 더 높게 나타났으나 대상지에 따라 침입종 피도가 미치는 영향은 달랐다. 도입종의 피도는 인제, 철원, 연천에서 동일하게 흰민들레가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고, 특수기반재에서 보다 높은 피도를 보였다. 폭염 및 폭우로 6월 이후 흰민들레가 감소하면서 구절초, 매발톱의 피도가 점차 증가하였으며 기반재 간의 큰 차이는 없었으나 일부 지역에서는 구절초 피도가 특수기반재보다 일반기반재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모든 지역에서 질경이와 꿀풀의 생장은 미미하였다. 같은 처리를 했음에도 대상지별로 소재식물의 출현 여부, 생장률, 침입종의 피도 등이 다른 것으로 보아 복원지의 환경 여건에 따라 적용해야 하는 종, 시공방법, 주변 완충지역의 범위 등에 차이를 두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