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진통효과

검색결과 341건 처리시간 0.023초

베트남의 약침 제조법

  • Hanh, Pham Thuc
    • 대한약침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37-37
    • /
    • 2003
  • 약침은 경혈에 약물을 주입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아래의 인자 (즉 약물의 효과와 침의 효과, 주입하는 용액이 침자리에 미치는 효과들) 덕택에 효과를 증강시키는 방법이다. 1970년대와 1980년대 초기에 베트남 전통의들에 의해 적용되어 좋은 효과를 얻었다. 적응증으로는 만성 관절염, 신경성 감각 이상증, 위통, 고혈압, 천식, 좌골신경통, 요통 들이다. 주로 쓰인 침자리는 배수혈과 복모혈, 원혈과 아시혈이다. 약물은 vitamin B1, B6, B12, novocain 2%, 염화나트륨 용액 0.9%에 한 침자리에 0.2 to 2.0ml씩을 주입한다. 때때로 진통제인 voltarene 이나 pervincamine, cerebrolysin을 쓰기도 한다. 치료 기간은 하루에 한 번씩 2주 이하로 하고 적어도 5일은 휴식을 한다. 약침의 위십이지장증의 진통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한 예비실험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베트남에서 약 전체 인구의 5.63%가 위산과다에 따른 궤양성 통증을 가지고 있는데, 이 예비 연구는 이들에 약침의 진통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관찰 대상이 된 남자 41명, 여자 15명(나이 20-69세 사이) 이 모두 경증에서 중증도의 위통을 3-15년 동안 앓았는데 이들 모두 엑스 선 촬영과 위내시경으로 확증을 받았다. 관찰기간 동안 부작용은 없었는데 약침군은 26 환자로 Vit B1, B2, B6, novocain 2%, 하루에 한 번씩, 15일 동안 개별적 진단에 따른 침자리에 치료받았고, 대조군은 30 명으로 atropin 농도 0.25 mg/injection 도 근육주사를 하루에 한 번씩 같은 기간동안 받았다. 결과는 약침군에서 Good: 7.7%, Rather good: 88.5%, no response: 3.8%. (편역자 주: 발표 초록에서 대조군에 대한 결과가 빠져 있음). 결론적으로 약침과 아트로핀 주사가 모두 궤양성 통증을 완화시키는데 그 진통정도는 동등하다고 판단하였다. 약침의 진통효과가 오래 지속되었고 환자들은 부작용을 호소하지 않았다.

Collagen-induced Arthritis Rat Model에서 염증성 통증에 대한 봉독약침의 진통효과 및 기전연구: 5HT-3 & Muscarinic Cholinergic Mechanisms에 대한 연구 (Antinociceptive Effect and the Mechanism of Bee Venom Pharmacopuncture on Inflammatory Pain in the Rat Model of Collagen-induced Arthritis: Mediation by 5HT-3 & Muscarinic Cholinergic Receptors)

  • 서병관;박동석;백용현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28권1호
    • /
    • pp.37-44
    • /
    • 2011
  • 배경 및 목적 : 봉독약침요법(bee venom pharmacopuncture, BVP)은 rheumatoid arthritis(RA)의 치료에 활용되고 있으나, RA로 인한 염증성 통증에 대한 봉독약침의 진통효과와 specific mechanism은 아직까지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RA animal model로서 collagen-induced arthritis(CIA) rat model에서 봉독약침의 a1-adrenergic, 5HT-3 그리고 muscarinic cholinergic mechanism을 확인하고자 한다. 방법 : CIA를 유도하기 위하여 male Sprague-Dawley rat에 freund's incomplete adjuvant에 유화(乳化)시킨 bovine type II collagen을 주입하고 14일 후 booster injection 시행하였다. 진통효과는 tail flick latency (TFL)로 평가하였다. 결과 : 관절염의 유도 이후 염증성 통증 역치는 시간이 지나면서 낮아지며, 5주 이후로는 통증 역치에 큰 변화가 없이 유지되었다. 첫 번째 immunization으로부터 5주 경과 후 족삼리($ST_{36}$)에 봉독약침처치(0.25 mg/ kg)를 시행하여 유의한 진통효과를 관찰하였다. 또한 봉독약침의 진통효과는 ondansetron(5HT-3 receptor antagonist, 0.5mg/kg, i.p.), atropine(muscarinic cholinergic receptor antagonist, 1mg/kg, i.p.)의 전처치에 의하여 억제되었으나, prazosin(a1-adrenergic receptor antagonist, 1mg/kg, i.p.)의 전처치에 의해서는 억제되지 않았다. 결론 : 봉독약침은 CIA로 인한 염증성 통증에 유의한 진통효과를 나타내며 그 analgesic mechanism은 5HT-3와 muscarinic cholinergic receptor에 의하여 매개되며 a1-adrenergic receptor에 의하여 매개되지는 않았다.

상복부 술후 진통을 위한 요부 경막외 Narcotics의 투여효과 (Analgesic Effects of Lumbar Epidural Narcotics for Relief of Upper Abdominal Post-operative Pain)

  • 서일숙;구본업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2권1호
    • /
    • pp.39-44
    • /
    • 1985
  • 상복부 수술후 진통을 위하여 경막외 narcotics 주입시 임상에서 경막외강 천자가 가장 많이 시술되고 있는 부위 안 요부 경막외강에 morphine과 demerol을 각각 주입하여 진통 효과를 관찰하였다. 전신 마취하에서 상복부 수술을 받은 환자 20명을 대상으로 하여서 morphine 1 mg을 주입한 10명의 I군, demerol 10mg을 주입한 10명의 II군에서의 진통 효과를 관찰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Morphine 을 주입한 I군에서는 평균 진통 시간이 29.4시간이었다. 2. Demerol을 주입한 II군에서는 평균 진통 시간이 4.0시간이었다. 3. Morphine을 주입한 I군이 Demerol을 주입한 II군보다 진통 시간이 훨씬 길었으며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다. (P<0.05) 이상의 결과로 보아 상복부 수술후 진통 목적으로 마약제를 경막외강에 투여시 시술이 안전한 요부 경막외강내로 투여하여도 우수한 진통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마약제로는 morphine의 투여가 demerol의 투여보다 더욱 진통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사료된다.

  • PDF

가감소합향원(加減蘇合香元) 정유향기(精油香氣)의 흡입(吸入), 경구투여(經口投與) 및 피부도찰(皮膚塗擦)에 따른 진통효과(鎭痛效果) 비교(比較) (Effects of the Essential Oil from Modified SuHeXiang Wan (Storax Pill) in Mice after Inhalation, Oral Administration, and Inunction)

  • 김성수;박광록;이동웅;구병수
    •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223-230
    • /
    • 2008
  • 소합향원 (蘇合香元) 가감방(加減方) 정유향기의 진통효과가 투여방법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비교, 검토함으로서 본 약재의 새로운 적용방법을 탐색해 보고자 한다. 방법 : 가감소합향원에서 추출한 정유향기를 실험동물을 대상으로 7일간 경구 (50mg/kg, 100mg/kg), 흡입 (매일 3시간씩 1일 2회), 또는 피부도찰 (10mg) 방법으로 투여하여 페닐퀴논-유도 writhing test, 아세트산-유도 writhing test 및 hot-plate test를 실시하였다. 결과 : 가감소합향원 정유향기는 페닐퀴논-유도 writhing test에서는 피부도찰이 가장 효과적 이었으며 그 효과는 양성 대조약물인 아세트아미노펜 보다 약간 더 우수하였다 (p<0.05). 아세트산-유도 writhing test에서도 피부도찰법이 가장 좋은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양성대조 약물인 아미노피린보다는 좀 더 좋은 효과를 보여주었다 (p<0.05). 그러나 hot-plate test에서는 경구투여가 가장 좋은 진통효과를 나타내었는데 고용량 (100mg/kg)에서는 양성 대조약물인 아세트아미노펜보다 유의적으로 더 효과적이었으나 저용량 (50mg/kg )에서는 이보다 다소 약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 가감소합향원의 정유향기는 피부도찰시에는 비특이적 화학자극제인 페닐퀴논이나 아세트산에 의한 통증의 완화에 보다 효과적이며, 경구투여시에는 중추신경계에 영향을 미치는 hot plate에 의한 열자극성 통증에 더 유효함을 의미한다. 결론 : 가감소합향원의 정유향기액은 향기흡입보다는 피부흡수나 경구투여방법으로 진통의 목적으로 응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내,외인성으로 유도된 Nitric Oxide가 흰쥐의 통각전달에 미치는 효과

  • 방준석;류정수;허인회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7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91-91
    • /
    • 1997
  • 흰쥐의 뒷발바닥에 carragennan(cg)을 피하투여하여 염증성 통증을 유발한 뒤, 그 통증이 최고에 달하는 3시간 뒤 Ach이나 SNP를 동일한 항법으로 투여해서 30분 후 cg유발 통증에 대하여 그 효과를 Randall-Selitto paw pressure test로 검색하였고, 체내 Nitric Oxide Synthase(NOS) 억제제인 L-NAME과 L-NOARG를 용량별로 적용하여 Ach의 진통효과를 억제하는 정도와 Methylene Blue 및 Hemoglobin을 투여해서 SUP효과 억제를 검사하였다. 그리고 척수 지주막하강내로 catheter를 삽입하여 위의 NO donor를 주입하고, NO의 중추신경계에서의 통각전도에 미치는 효과를 Tail-Flick test로 살펴보았다. 끝으로 NO가 가진 급,만성 통각관련효과를 희석한 formalin을 써서 검색하였다. 결 과: Ach과 SNP는 흰쥐에게 말초경로투여시 유의성있는 진통효과를 보였으며, NOS inhibitor와 NO scavenger로 그 효과가 역전되었다. 또한 NOS inhibitor간에는 억제효과가 용량의존성이 유사하게 나타났고, 중추신경계로의 직접투여때는 여러 생리적 조건이 직, 간접으로 관여함이 확인되었다.

  • PDF

조기 진통의 처치 (Management of Preterm Labor)

  • 박윤기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6권2호
    • /
    • pp.141-154
    • /
    • 1999
  • 최근 조기진통의 원인, 진단 및 치료에 대한 광범위한 연구와 집중적 신생아 관리로 신생아 사망률의 감소가 있었으나 조산의 빈도의 감소는 없다. 현재 사용하고 있는 조기진통의 3차적 치료인 자궁수축억제제, glucocorticoids와 항생제는 조기진통의 치료에 효과가 있으나 미숙아로 오는 신생아 이환과 사망을 상당히 줄일 수 있을 만큼의 효과는 없다. 그러므로 효과적인 조산의 이차적 관리가 중요하다. 따라서 여러 가지 조기진통 위험의 진단적 감시를 사용, 조산의 위험인자를 조기 발견하여 여러 가지 중재적 방법으로 적극적인 치료로 조기진통 예방에 노력해야 한다. 조기진통과 조산에 관련된 여러 문제들은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연구되어 할 전문 분야이며 국가적 지원으로 조산 방지를 위한 예방 프로그램의 개발도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 PDF

Medetomidine의 투여가 흰쥐의 진통과 진정효과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edetomidine on Analgesia and Sedation in Rats)

  • 장환수;이만기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674-678
    • /
    • 2010
  • Medetomdine의 투여가 흰쥐의 진통과 진정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실험동물은 생리식염수 1 ml/kg 투여군 (group 'Saline'), butorphanol, 2.0 mg/kg 투여군 (group 'BUT'), medetomidine, 0.2, 0.4, 0.8 or 1.6 mg/kg 투여군 (각각 group 'MED0.2', 'MED0.4', 'MED0.8' and 'MED1.6') 등 6개의 실험군으로 나누어졌다. 진통효과는 $50^{\circ}C$ hot-water tail-flick latency test로 측정하였고, 진정효과는 numerical sedation score (NSS)와 정위반사 (righting reflex)로 평가하였다. MED0.2군을 제외한 모든 medetomidine 투여군들이 Saline군에 비해 유의적인 진통효과의 증가를 보였다. MED0.2군과 비교할 때 MED0.4와 MED0.8군은 유의적인 진통효과의 상승을 보였으나, MED1.6군은 유의적인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BUT군과 모든 medetomidine 투여군은 진통효과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Saline과 butorphanol의 투여는 진정효과와 정위반사의 소실을 유발하지 않았다. Medetomidine의 투여 용량의 증가는 진정효과를 증가시켰다. MED0.2군과 비교할 때 MED0.4, MED0.8과 MED1.6군의 NSS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나, MED0.4군에 비해서는 MED0.8과 MED1.6군이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정위반사의 소실 시간은 MED0.2군에 비해 MED0.8과 MED1.6군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본 실험의 결과로 볼 때, 흰쥐에서 medetomidine 0.4에서 0.8 mg/kg 이내의 용량을 복강내 투여할 때 신뢰할 수 있는 진통효과와 진정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으며, 따라서 흰쥐의 진정, 진통 및 화학적 보정 목적에 적절한 용량임을 알 수 있었다.

미추마취시 혼합 주입한 Clonidine의 진통효과 (Analgesic Effects of Epidural Clonidine)

  • 서일숙;박대팔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6권2호
    • /
    • pp.57-62
    • /
    • 1989
  • 지연성 호흡저하의 위험성이 없으며 중추신경계에 작용하는 혈압강하제인 Clonidine을 경막외강으로 주입한 강우의 진통효과를 알아보고자 미추마취를 시행할 항문질환 환자 40명을 대상으로 I군(1.33% Lidocaine 15ml)과 II군(1.33% Lidocaine 15ml+Clonidine $75{\mu}g$.)으로 나누어 수술후 진통효과를 관찰해 보았던 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Lidocaine단독 주입한 I군에서는 평균 마취시간이 2.42시간이었다. 2. Clonidine $75{\mu}g$을 혼합 주입한 II군의 경우에는 평균 진통시간이 7.32시간이었다. 3. Clonidine을 혼합 주입한 미추마취경우에 진정제 정주로 환자가 수면상태로 된 후 심한 혈압강하 및 맥박감소가 있었으나 Clonidine의 효과인지 진정효과에 인한 변화인지는 알 수 없었으며 진정제를 투여하지 않은 경우에는 혈압강하 및 맥박 감소가 초래되지 않았다. 4. 수술후 Clonidine과 관련된 특별한 증상은 관찰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항문질환 수술후 특히 외래환자의 차원에서 술후 진통을 위한 방법으로는 지연성 호흡저하 및 뇨정체등의 부작용이 없는 Clonidine의 천골강내 투여방법이 바람직한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백개자(白芥子) 피내침(皮內鍼)이 여대생의 월경곤난증(月經困難症)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Semen Sinapsis Albae Pressing on Dysmenorrhea of Women`s University Students)

  • 배정심;심형화;허성웅;윤현민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22권1호
    • /
    • pp.165-176
    • /
    • 2005
  • 본 연구는 백개자 피내침(皮內鍼)이 여대생의 윌경곤란증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기 위하여 한의학의 경락학설(經絡學說)을 기반으로 한 단일군 전 후 실험설계(one-group pretest-posttest design)를 이용하였다. 자료수집기간은 2004년 1월부터 5월까지 이었으며, 대상자는 B시에 있는 D대학의 보건진료소에 월경곤란증으로 진통제 복용을 위해 방문하는 여대생 중 진통제를 복용하지 않고 본 연구에 참여하기로 동의하고, 현재 전신적 질환 이 없고 산부인과나 한의원 진료를 받지 않으며 피임약을 복용하지 않고 임신이 아닌 5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월경곤란증에 백개자 피내침으로 류치(留置)한 결과 실험 전 총 평균 $2.11{\pm}0.66$에서 실험 후 총 평균 $0.85{\pm}0.57$로 월경곤란증이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다(t=12.777, p=0.000). 2. 백개자 자극과 진통제의 효과 비교에서 백개자 자극이 진통제보다 '진통효과 나타난 시간'은 빠르다가 78%, '진통효과'는 좋다가 84%, '진통효과의 지속시간'은 길다가 82%, '월경 불편감'은 덜하다가 86%로 나타났다. 3. 생리특성에 따른 월경곤란증의 차이는 초경시기에서 초등학교 군의 평균은 $1.90{\pm}0.62$, 중학교군의 평균은 $2.32{\pm}0.65$로 중학교 때 초경을 시작한 군에서 월경곤란증이 높게 나타났으며(t=-2.305, p=0.026), 월경곤란증의 형태에 따른 차이는 원발성의 평균은 $1.96{\pm}0.67$, 속 발성의 평균은 $2.60{\pm}0.33$으로 속발성 군에서 월경곤란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t=-3.149, P=0.003). 그 외 월경주기, 월경기간, 가족력 등은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삼음교, 음릉천, 신수혈의 백개자 피내침(皮內鍼)이 여대생의 월경곤란증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킴을 알 수 있고 시간과 비용 그리고 노력면에서 아주 효율적인 방법임이 확인 되었다.

  • PDF

Collagenase-induced Arthritis Rat Model에서 Thermal Hyperalgesia에 대한 전침(電鍼)의 진통효과(鎭痛效果) 및 기전연구: Adrenergic Mechanism에 대(對)한 연구(硏究) (The Analgesic Effect and the Mechanism of Electroacupuncture on Thermal Hyperalgesia in the Rat Model of Collagenase-induced Arthritis: Mediation by Adrenergic Receptors)

  • 서병관;박동석;백용현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28권2호
    • /
    • pp.57-67
    • /
    • 2011
  • 목적 : Collagenase-induced osteoarthritis(OA) 동물 모델에서 전침의 adrenergic mechanism을 연구하고자 한다. 방법 : Collagenase-induced arthritis(CIA)를 유발하기 위하여 5주령의 male Sprague-Dawley rat의 뒷다리 좌측 무릎 관절에 0.05ml의 4mg/ml collagenase solution을 intra-articular 주입하고, 다시 4일 후에 같은 부위에 같은 농도의 collagenase solution을 intra-articular boosting injection 시행한 뒤, gross, histopathological features 및 biomarker activity 변화를 관찰하였다. 예비실험을 통하여 CIA rat model에서 진통효과를 발휘하는 것으로 확인한, 족삼리(足三里) ($ST_{36}$)에 대한 저빈도 train pulse EA stimulation (2Hz, 0.07 mA, 0.3ms)을 침치료 방법으로 적용하였다. 전침의 진통기전을 확인하기 위하여, ${\alpha}1$-adrenergic antagonist (prazosin, 1 mg/kg, i.p.), ${\alpha}2$-adrenergic receptor antagonist (yohimbine, 2mg/kg, i.p.), ${\alpha}1$-adrenergic receptor agonist(phenylephrine, 2mg/kg, i.p.), ${\alpha}2$-adrenergic receptor agonist(clonidine, $40{\mu}g$/kg, i.p.)을 전침시행 20분 전에 복강 내로 전처치하였다. Tail flick unit(Ugo Basile Model 7360)을 이용하여 열자극에 대한 통증역치를 측정하였다. 결과 : 퇴행성관절염 징후(gross, histopathological features)와 통증역치의 변화가 최대값을 나타내는 CIA 유발 4주차에 저빈도 전침자극(train pulse, 2Hz, 0.07mA, 0.3ms)을 족삼리($ST_{36}$)에 적용하였으며, 족삼리 전침의 진통효과는 ${\alpha}2$-adrenergic receptor antagonist(yohimbine, 2mg/kg, i.p.)전처치에 의해 억제되었으나, ${\alpha}1$-adrenergic antagonist(prazosin, 1 mg/kg, i.p.)전처치에는 억제되지 않았다. 또 ${\alpha}2$-adrenergic receptor agonist(clonidine, $40{\mu}g$/kg, i.p.)의 전처치를 통하여 유의한 synergistic analgesic effect가 관찰되었으나, ${\alpha}1$-adrenergic receptor agonist(phenylephrine, 2mg/kg, i.p.)의 전처치는 전침의 진통효과에 synergistic effect를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저빈도 족삼리 전침은 CIA로 유발된 염증성 통증에 대하여 진통효과를 발휘하며, 이는 ${\alpha}2$-adrenergic receptor에 의하여 매개되는 것으로 보이며 ${\alpha}1$-adrenergic receptor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