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진정

검색결과 2,131건 처리시간 0.03초

Midazolam을 이용한 진정법 시 Bispectral Index, 진정점수, 그리고 midazolam의 혈중 농도 사이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Bispectral Index, Sedation Score and Plasma Concentration, during Midazolam Sedation)

  • 박은진;박창주;염광원;김현정
    • 대한치과마취과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21-25
    • /
    • 2001
  • 연구배경: 임상적으로 진정법을 시행할 경우 뇌의 상태에 대한 접근은 매우 중요하다. 환자의 뇌에 대한 마취제의 영향을 측정하기 위해 개발된 Bispectral Index (BIS)는 환자의 진정을 방해하지 않고 객관적인 진정정도를 평가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항상 진정 깊이의 임상적인 척도와는 일치하지 않는다. 이번 연구에서는 진정법 시행시 환자의 진정 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BIS의 유용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BIS, 진정점수, 그리고 midazolam의 혈중 농도와의 관계를 연구하였다. 방법: 25명의 건강한 성인 지원자들을 대상으로 무의식을 유도하기 위하여 midazolam 0.08 mg/kg을 정맥으로 주입하였으며 환자의 의식 상태를 진정 회복 시까지 관하였다. BIS와 진정점수는 진정 전과, midazolam 투여 후 10, 20, 30분 간격으로 측정하였다. Midazolam의 혈중 농도는 주입 후 10분 경과 후에 정맥혈 채취 후 HPLC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BIS는 BISTM monitor (Aspect Medical Systems, USA)으로 측정하였으며 또한 진정 정도는 진정 점수로도 평가하였다. 결과: BIS 수치는 진정점수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r = 0.676, p < 0.05). 혈중 midazolam 농도가 감소함에 따라 혈중 농도는 진정점수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r = -0.656). Midazolam 투여 후 10분에서 BIS 수치와 midazolam의 혈중 농도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지만(r =0.467) 진정 후 수치는 진정 전 수치와 명확히 구분되었다. 결론: BIS는 환자의 수면상태의 효과적인 척도로 알려져 있으며 진정점수와도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그러나 항상 진정 깊이를 나타내는 임상적인 척도와는 일치하지 않았다. 그러므로 진정법 시행동안 BIS 만을 사용하는 것은 더욱 많은 주의가 필요하며 매 주어진 시간마다 다양한 진정 점수 측정방법으로 환자의 의식을 감시하는 것이 추천된다.

  • PDF

임상가를 위한 특집 3 - 소아치과에서 진정치료의 신경향 (Recent Trends of Sedation in Pediatric Dentistry)

  • 이기섭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47권11호
    • /
    • pp.736-749
    • /
    • 2009
  • 근래 환자의 불안을 조절하는 것이 성공적인 치료에 매우 중요하다는 인식이 확산되면서 의과, 치과, 영상의학과, 응급실 및 외래 수술센터 등에서 진정요법에 대한 필요가 현저하게 늘어났다. 응급상황이거나 아니거나 진정요법의 필요성은 점차 증가하고 있고 대한 소아치과학회는 이러한 진정요법에 대한 지침을 출간한 바 있다. 이번 개정은 진정요법에 필요한 적절한 환자감시(monitoring)의 필요에 관한 최신지견을 반영한 것이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지침에 충실하였다고 해서 특정환자의 결과를 보장하지는 못한다. 그러 나 이번에 소개하는 진정요법 protocol은 널리 받아들여지는 것으로 부작용 역시 최소화한 것이다. 소아 환자의 진정요법은 원하는 수준의 진정이나 투여 방법과는 상관없이 호흡기능 저하와 환자의 방어 반응이 소실될 수도 있다는 인식하에 작성되었다. 이번 호에서는 최근 2006년에 미국소아과학회와 미국소아치과학회가 공동으로 개정된 지침(Guideline for Monitoring and Management of Pediatric Patients During and After Sedation for Diagnostic and Therapeutic Procedures developed and endorsed by AAP a and AAPD)이 어떻게 변경되는지에 중점적으로 알아보며 새로 변경된 지침에 따라 소아치과의의 진정요 법의 진료와 교육도 영향을 미칠 것이다. 이러한 영향으로 다양한 약 투여방법(Alternative routes of d drug administration)과 다양한 약물의 선택에 대해 알아 보기로 한다.

  • PDF

말기 암 환자에서 완화적 진정 증례 토론 (Palliative Sedation for Terminal Cancer Patient)

  • 김도연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11권2호
    • /
    • pp.106-110
    • /
    • 2008
  • 완화적 진정은 임종이 임박한 불응성 증상을 가진 환자들에게 고려될 수 있는 치료이지만 부적절한 진정으로 인한 윤리적인 문제가 쟁점이 된다. 본 증례는 수차례항암화학요법과 완화적 방사선 치료에도 불구하고 진행되는 다발성 뼈 전이를 동반한 전이성 위암을 가진 50세 남자에게 완화적 진정을 시행했던 예를 권고안에 비추어 후향적 검토하였다. 환자는 표준적인 통증경감치료에 불응성으로 판단되었고 환자의 의사결정능력 부족으로 환자보호자에게 완화적 진정에 대한 치료 목적 및 예견되는 부작용을 설명한 후 midazolam으로 완화적 진정을 시작하였다. 본 증례에 통하여 완화적 진정의 적응, 완화적 진정의 시작 전 의사 결정, 완화적 진정 시작, 완화적 진정 시작 후의 돌봄에 대한 토의를 하였고 국내실정을 반영한 권고안 마련을 제의하는 바이다.

  • PDF

경구진정 실패 후 피부 도포마취제를 사용한 정주진정으로의 전환 치료 (CONVERTING FROM ORAL SEDATION TO INTRAVENOUS SEDATION USING TOPICAL ANESTHETICS ON SKIN AFTER ORAL SEDATION FAILURE)

  • 이은희;김승오;김종수;유승훈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213-217
    • /
    • 2010
  • Chloral hydrate와 hydroxizine을 이용한 경구진정법은 적용대상의 나이와 체중에 따라 제한을 받는다. 일반적으로 경구 진정법은 36개월 미만, 체중 15 kg 미만의 환아에서 가장 좋은 진정 효과를 보인다. 그러나 36개월 이상 또는 15 kg 이상의 환아에 대해서는 경구진정법이 적절한 진정 효과를 얻는데 한계를 가지며, 얕은진정으로 인해 시술 중 잦은 움직임을 보여 쉽게 진정에 실패하게 된다. 진정 실패 시 고려 할 수 있는 대안은 추가적인 약제 투여로 인한 재진정의 유도나, 좀 더 깊은진정 법으로의 전환이 있다. 그러나 깊은진정법으로의 전환은 환아의 움직임과 동통의 감소를 위해 흡입마취제 및 마취기계가 요구되어 외래 진료실에서는 쉽게 선택되지 못한다. EMLA cream(Eutectic Mixture of Local Anesthesia)은 피부의 도포마취를 위해 널리 사용되고 있는 약제로 본 증례에서는 이를 이용하여 자극 없이 정주진정 경로를 확보하여 경구진정에서 정주진정으로의 전환에 성공하였다. 만 46개월, 체중 15 kg 남아가 다발성 우식을 주소로 단국대학교 치과대학 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하였다. 일반적인 행동조절 하에 치료 권유하였으나 보호자의 요구에 의해 경구진정 시도하였으며, 경구진정 실패를 고려하여 복용 전 EMLA cream을 사전 도포하였다. 경구 복용 90분 경과 뒤에도 진정효과를 얻지 못하여 보호자의 동의하에 아산화질소를 이용하여 얕은진정 유도 후, EMLA cream 도포 부위에 정맥로를 확보하였다. 총 시술 시간 2시간 30분으로 특별한 부작용 없이 성공적으로 시술을 완료하였다.

진정법을 이용한 치과 치료 시 소아 환자의 진정 후 반응에 대한 연구 (POSTSEDATION EVENTS IN PEDIATRIC PATIENTS SEDATED FOR DENTAL TREATMENT)

  • 구정은;백광우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209-216
    • /
    • 2009
  • Chloral Hydrate와 hydroxyzine을 경구 복용한 후 midazolam을 협점막하로 추가 투여한 진정법은 진정 심도를 깊게 해주고 안정적인 진정 상태를 유지해 준다고 보고된다. 진정 중 나타나는 반응에 대한 연구는 활발하나 퇴원 기준에 따라 환자를 귀가시킨 후 나타나는 반응에 대한 연구는 아직 부족하다. 이 연구에서는 진정법을 이용하여 치과 치료를 받은 소아 환자의 진정 후 행동 반응 및 부작용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이화여자대학교 목동병원 소아치과에 2005년 4월부터 2007년 12월까지 내원하여 진정법으로 치료받은 환아를 대상으로 귀가 후 24시간 이내에 전화를 이용하여 설문 조사하였다. 조사 항목은 진정 후수면 유무, 진정 후 수면 시간, 진정 후 수면 행동, 수면에서 회복 후 행동, 진정 후 구토 유무이다. 귀가 후 227명(57.8%)이 잠을 잤고 21명(6.3%)이 비정상적인 수면 행동을 보였다. 104명(31.0%)이 수면에서 회복 후 비정상적인 행동을 하였고, 10명(3.0%)이 구토 반응을 보였다. Midazolam 용량이 많으면 진정 후 잠을 잘 가능성이 크고(p<0.05), 괴로워 하면서 자거나 자다깨다를 반복할 수 있으며(p=0.055) 수면 시간도 길어질 수 있다(p=0.054). 이번 조사에서는 진정 후 수면이 많았고, 비정상적인 행동 및 구토 반응도 있었으나 우려할 만한 응급상황은 나타나지 않았다. Midazolam의 협점막하 병용 투여는 안전한 진정법으로 보이며 장기적 연구, 전향적 연구 등이 필요할 것이다.

  • PDF

충남장애인구강진료센터에서 시행된 전신마취 및 진정법에 관한 실태조사 (A SURVEY OF GENERAL ANESTHESIA, SEVOFLURANE SEDATION AND INTRAVENOUS SEDATION IN CHUNGNAM DENTAL CLINIC FOR THE DISABLED)

  • 김승오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28-39
    • /
    • 2013
  • 전신마취 및 진정법은 소아 및 장애인에게 성공적 치과치료를 위해서 필수불가결하다. 이 연구의 목적은 충남장애인구강진료센터에 치과치료를 위해 시행된 전신마취와 진정법의 실태를 평가하기 위함이다. 2011년 1월부터 2012년 9월까지 전신마취, 세보플루란진정 및 정주진정을 받은 소아와 장애인 426명을 대상으로 조사분석하였으며 389명이 전신마취, 20명이 세보플루란진정 그리고 17명이 정주진정하에서 치과진료를 받았다. 전신마취의 비율이 두 진정법에 비해 높았다. 세보플루란진정은 소아환자의 외상처럼 짧고 간단한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되었다. 정주진정은 공포와 불안을 가진 치과적장애환자에게 선택되었다. 세보플루란과 정주진정은 점차적으로 전신마취의 사용을 줄이고 치과적장애환자를 위한 유용한 방법이었다.

Chloral hydrate, hydroxyzine 및 N2O/O2 의식하 진정의 효과와 부작용 (The Effectiveness and Side Effects of Conscious Sedation using Chloral hydrate, Hydroxyzine, and Nitrous oxide)

  • 김경민;이제식;김현정;남순현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109-119
    • /
    • 2020
  • 이 후향적 연구는 chloral hydrate, hydroxyzine 및 N2O/O2 조합을 이용한 진정 치료를 시행한 149명 환아의 188회 진정 치료의 효과와 부작용에 대해 알아보고, 효과와 부작용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소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진정 치료의 효과는 Houpt 분류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excellent와 good의 경우 효과적으로 분류하였다. 진정 치료 시간을 15분 간격으로 나누어 효과와 부작용을 분석한 결과, 치료 시간이 증가할수록 효과는 감소하고 부작용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60분 동안의 진정 치료 효과는 57.4% 이었으며, 전체 부작용 발생률은 18.1%이었다. 진정 치료의 효과는 Body mass index(BMI)가 증가할수록 증가하였으며, 술식 시작 시 진정이 되어있는 경우 진정 치료 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부작용은 나이가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진정 치료가 2회로 나누어 시행되었을 때, 진정 치료의 횟수는 효과와 부작용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진정 치료 시간을 무리하게 연장하는 것은 효과 감소와 부작용 증가를 불러일으킬 수 있으므로 진정 치료를 2회에 나누어 시행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BMI, 술식 시작 시 진정 여부 및 나이와 같은 진정 효과를 감소시키고 부작용을 증가시키는 요소에 대한 충분한 고려가 선행된 후 진정 치료를 시행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세보플루란 깊은 진정의 응급과 비응급적 사용에 관한 실태조사 (A Survey of Non-Emergency and Emergency Deep Sedation using Sevoflurane Inhalation for Pediatric or Disabled Patients)

  • 김승오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18-26
    • /
    • 2014
  • 심한 불안이나 불수의적인 움직임으로 행동조절이 어려운 소아와 장애인의 치과치료를 위해 깊은 진정법이 고려된다. 응급 치과진료에 있어 세보플루란 흡입을 이용한 깊은 진정이 빠른 유도와 회복으로 인해 선호된다. 2013년 1월부터 2013년 10월까지 세보플루란을 이용한 깊은 진정을 받은 소아와 장애인 121명을 대상으로 조사분석하였다. 깊은 진정법을 사전 계획한 환자군과 소아외상이나 장애인의 특성 등으로 응급으로 시행한 환자군을 비응급 세보플루란진정군과 응급 세보플루란진정군으로 나누었다. 비응급 세보플루란진정을 받은 환자는 95명이었고 응급 세보플루란진정을 받은 환자는 26명이다. 두 군간에 성별, 나이, 진정법을 시행한 이유, 유도방법, 진정시간 및 치료시간, 치료내용, 진료과를 비교분석하였다. 비응급 세보플루란진정은 소아와 장애인의 행동조절에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사용되었고 응급 세보플루란진정은 외상을 입은 어린 소아환자의 짧고 간단한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되었다. 세보플루란을 이용한 깊은 진정은 점차적으로 전신마취의 사용을 줄이고 소아와 장애인 환자의 응급 치과진료에 유용한 방법이었다.

진정요법사용에 관한 설문조사 (SEDATION PRACTICES IN DENTAL OFFICE : A SURVEY OF MEMBERS OF THE KOREAN ACADEMY OF PEDIATRIC DENTISTRY)

  • 최영심;심연수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579-588
    • /
    • 1999
  • 치과에서 행해지는 진정요법이 안전하게 수행되기 위해서는 환자에 대한 모니터가 필수적이다. 우리나라에서 소아치과의사에 의해 이루어지는 진정요법에 관해 알아보고자 대한소아치과학회 회원 245명을 대상으로 1998년 10월 1일부터 1998년 12월 20일까지 진정요법의 사용여부 및 사용하는 진정요법의 빈도, 방법, 사용하는 약물, 용량 결정, 모니터 여부, 응급장비 등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설문지 응답자의 29%에서 진정요법을 이용하여 치료를 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설문지 응답자의 71%에서는 진정요법을 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2. 진정요법을 사용하는 사람 중 61%에서만 진정요법 치료시 모니터를 사용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진정요법을 사용하는 사람의 39%에서는 진정요법 치료시 모니터를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3.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 진정요법은 아산화질소-산소를 이용한 흡입진정요법이었다. 그 외에 경구 투여시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 약물은 chloral hydrate였다. 4. 진정요법을 사용하는 사람의 28%에서만 동의서를 작성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5. 진정요법을 이용하여 치료를 한다고 응답한 사람의 60%에서만 응급장비를 구비하고 있으며, 응답자의 91%에서 응급처치에 관한 교육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 PDF

소비자의 브랜드 진정성 지각과 관련된 브랜드 속성 (Brand Attributes Related to the Perceived Brand Authenticity)

  • 김상훈;박현정;이은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11호
    • /
    • pp.398-410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진정성 지각 관련 변수들을 종합적으로 제시하고, 이러한 브랜드 속성들이 실제로 진정성 지각에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였다. 제품 유형에 따라서 어떠한 속성들이 소비자의 진정성 지각 형성에 더욱 중요한 역할을 하는지도 살펴보고, 진정성 지각이 브랜드 성과와 연결되는지, 즉 소비자의 브랜드 태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고, 브랜드 속성들이 진정성 지각을 형성한 후에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인지도 추가적으로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진정성 지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브랜드 속성은 우수성, 자연성, 유행 반영성, 일관성, 지역 관련성, 윤리성의 여섯 가지 차원으로 구성되었으며, 자연성은 사적제품에서, 유행 반영성이나 지역관련성은 공적제품에서 더욱 진정성 지각을 높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진정성 지각은 브랜드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매개회귀분석 결과 진정성 지각은 우수성과 유행 반영성 차원에서 부분매개 역할을, 자연성, 일관성, 윤리성 차원에서 완전매개 역할을 함을 파악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