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lliative Sedation for Terminal Cancer Patient

말기 암 환자에서 완화적 진정 증례 토론

  • Kim, Do-Yeun (Division of Hematology-Oncology,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Ilsan Hospital, Dongguk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김도연 (동국대학교 의과대학 일산병원 종양내과학교실)
  • Published : 2008.07.01

Abstract

Palliative sedation has been used in patients who undergo intractable suffering at the end of life. Its implementation, however, may be complicated due to resistance of clinicians and barrier of bioethical issues. Here, we present 50-year-old man with stomach cancer and multiple bone metastasis who was treated with palliative chemotherapy and radiotherapy. He suffered from refractory pain on the whole body even after standard analgesics and multidisplinary effort to relieve. Upon shared decision for sedation, he was given midazolam until discharge. Literature reviews reveal cases similar to the present case.

완화적 진정은 임종이 임박한 불응성 증상을 가진 환자들에게 고려될 수 있는 치료이지만 부적절한 진정으로 인한 윤리적인 문제가 쟁점이 된다. 본 증례는 수차례항암화학요법과 완화적 방사선 치료에도 불구하고 진행되는 다발성 뼈 전이를 동반한 전이성 위암을 가진 50세 남자에게 완화적 진정을 시행했던 예를 권고안에 비추어 후향적 검토하였다. 환자는 표준적인 통증경감치료에 불응성으로 판단되었고 환자의 의사결정능력 부족으로 환자보호자에게 완화적 진정에 대한 치료 목적 및 예견되는 부작용을 설명한 후 midazolam으로 완화적 진정을 시작하였다. 본 증례에 통하여 완화적 진정의 적응, 완화적 진정의 시작 전 의사 결정, 완화적 진정 시작, 완화적 진정 시작 후의 돌봄에 대한 토의를 하였고 국내실정을 반영한 권고안 마련을 제의하는 바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