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진안군

Search Result 67,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Amenity Improvement Directions for Eup and Myun in Jinan County through a Rural Amenity Resources Analysis (진안군 농촌 어메니티 자원 분석을 통한 읍.면별 어메니티 증진 방안)

  • Park, Jae-Chul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39 no.6
    • /
    • pp.12-20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directions for the improvement of amenities for Jinan according to Eup and Myun through an analysis of survey data on rural amenity resources. This survey was performed over a period of 4 years(from 2005 to 2008). The data were collected by field survey, interview, and internet site. Analyses of descriptive statistics, regression and correlation were performe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each Eup/Myun in Jinan County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resource. Rank analysis was performed to classify the type of each region. Through this, directions for the improvement of amenities in Jinan according to Eup and Myun are presented.

A Study on the Management of Landscape for Rural Sprawling Development (농촌 난개발요소 경관관리방안에 대한 연구 - 진안군을 사례로 -)

  • Yang, Hee Seung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30 no.5
    • /
    • pp.305-316
    • /
    • 2021
  • Sprawling development factors in rural areas are adversely affecting the rural landscape and furtherthreatening the safety of localresidents. Through the case of Jinan-gun, the government intends to promote sustainable preservation and improvement of beautiful rural landscapes by studying landscape management plans for sprawling development factors and suggesting landscape and environmental improvement plans. In order to analyze the problems of the target site, opinions were collected through analysis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resident interview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n case of Jinan-gun, odorreduction management in harmful facilities was the most urgent, and this study planned the relocation of harmful facilities and eco-friendly smart livestock districts.

Yearly Variation of Return Flow at the Yangak River Basin (양악천 유역에서의 경년별 회귀율 변화)

  • Lee, Hyun-Seok;Chai, Won-Ki;Kim, Young-Sung;Chae, Hyo-S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698-698
    • /
    • 2012
  • 용담호로 유입되는 지천 중 하나인 구량천 상류에는 농업용 저수지인 양악호가 있으며, 양악호의 물은 관개수로를 통하여 약 $3.94km^2$의 몽리구역으로 공급된다. 양악호는 전라북도 장수군 계북면 양악리 토옥동계곡의 초입에 위치해 있으며, 관개수로를 통해 공급된물은 다양한 경로를 통해 양악천으로 회귀되고, 회귀수량은 양악호로부터 약 8 km 하류에 위치한 양악1교에서 관측된다. 연구 대상지역은 행정구역상 전라북도 장수군, 무주군과 진안군이 경계를 이루며, 유역의 대표적인 거주지로는 당저, 파곡, 외림 그리고 주고마을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용담댐 상류에 위치한 양악천 유역을 대상으로 관개수로를 통한 유입량, 하류하천에서의 배수량, 양악천 상류 양악호에서의 강수량, 농지에서의 경작현황 및 몽리면적 등 실측자료를 활용하여 회귀율을 분석하였다. 하류하천에서의 배수량은 홍수기 전 후로 구분하여 조사하였다. 양악천 유역내 강우자료는 계북 우량관측소 자료를 활용하였다. 양악천 유역은 유역외 용수공급을 위하여 양수장을 운영하고 있으며, 생활용수 공급 시스템은 장수군, 무주군과 진안군 등 행정구역별로 각각 다르다. 그러므로 회귀율 산정 시 양수장 운영일지 및 마을 일부의 정화조 사용량을 고려하였다. 회귀율 분석은 2008년부터 2011년까지 4년간에 걸쳐 수행되었다. 분석 결과, 2008년부터 2011년까지 농업용수 평균 회귀율을 57.63%임을 알 수 있었다. 양악천 유역에서의 각 연도별 회귀율, 관개량 및 배수량은 다음과 같다.

  • PDF

전북 진양군 양화리의 냉천약수 및 풍혈조사

  • 최무웅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9 no.10
    • /
    • pp.20-26
    • /
    • 1984
  • 본 조사는 이기동씨의 의뢰에 의해 1984년 8월 7일에 걸쳐 전라북도 진안군 성수면 좌포리 양화마을에 존재한 냉천 약수 풍혈을 조사할 기회를 갖었다. 조사대원은 최무웅교수외 학생5명 (이인규, 유건수, 허웅, 신혜성, 김동범)으로 구성되었다. 조사 방법은 실지 탐험 및 지질 지형 관측에 의했다. (중략)

  • PDF

Return Flow Analysis of Irrigation for a Paddy Field at the Downstream of the Yangak Reservoir (양악저수지하류에서의논농업용수회귀율조사)

  • Lee, Hyun-Seok;Chai, Won-Ki;Kim, Young-S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292-292
    • /
    • 2011
  • 전라북도 장수군 계북면 양악리 토옥동계곡의 초입에 위치한 양악호는 농업용 저수지로 관개수로를 통하여 약 $3.94\;km^2$의 몽리면적에 용수를 공급한다. 양악호는 1985년 건설공사를 시작하여 1991년에 준공되었다. 관개수로를 통해 공급된물은 다양한 경로를 통해 양악천으로 회귀되며, 회귀수량은 양악호로부터 약 8 km 하류에 위치한 양악1교에서 관측된다. 연구 대상지역은 행정구역상 전라북도 장수군, 무주군과 진안군이 경계를 이루며, 유역의 대표적인 거주지로는 당저, 파곡, 외림 그리고 주고마을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용담댐 상류에 위치한 양악천 유역을 대상으로 관개수로를 통한 유입량, 하류하천에서의 배수량, 양악천 상류 양악호에서의 강수량, 농지에서의 경작현황 및 몽리면적 등 실측자료를 활용하여 농업용수 회귀율을 분석하였다. 농지의 면적은 현장에서의 직접조사 및 위성영상을 활용한 간접조사를 통하여 수혜지역으로부터 '인삼 재배 면적'을 제외하는 방법으로 산출하였다. 관개수로를 통한 용수공급이 없는 시기의 하천유지유량은 용수의 유입이 없는 1월부터 4월초까지의 자료를 분석하여 산정하였다. 하류하천에서의 배수량은 홍수기 전 후로 구분하여 조사하였다. 양악천 유역내 강우자료는 양악호 취수탑 입구에 설치된 우량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원촌교 인근의 계북 우량관측소 자료를 검증용으로 활용하였다. 양악천 유역은 유역외 용수공급을 위하여 양수장을 운영하고 있으며, 생활용수 공급 시스템은 장수군, 무주군과 진안군 등 행정구역별로 각각 다르다. 그러므로 회귀율 산정시 양수장 운영일지 및 마을 일부의 정화조 사용량을 참고하였다. 양악천유역에서는 4월 말부터 9월 말까지 약 5개월간 용수공급이 이루어졌다. 초 여름인 6월 28일 부터 7월 03일까지의 회귀율이 43.66 %로 최저로 나타났으며, 4월 30일부터 5월 16일까지는 67.77 %로 제일 높게 분석되었다. 분석 결과 이 지역은 6월 말에서 7월 초순을 제외한 대부분의 기간에는 약 55 ~ 60 % 사이의 비교적 높은 회귀율을 보였다. 2010년 양악천 유역 전구간의 평균 회귀율은 56 %이며, 무강우시 회귀율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 PDF

An Analysis of Changes in Forest Fragmentation and Morphology in Surrounding Landscapes of Maeulsoops and Jinan-gun (진안군 마을숲 주변 산림의 파편화 및 공간 형태 변화 분석)

  • Kang, Wanmo;Koh, Insu;Park, Chan-Ryul;Lee, Dowon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26 no.6
    • /
    • pp.941-951
    • /
    • 2012
  • The changes of forest habitats and maeulsoops(village forests) in Jinan-gun, Jeollabuk-do, South Korea are examined using landscape indices and morphological pattern analysis, and their landscape-ecological implications on conserving biological diversity are presented. We used FRAGSTATS and GUIDOS software, as well as land cover maps(of 1989 and 2006) to analyze the spatial and temporal patterns of habitat composition and configuration in surrounding landscapes of 34 representative maeulsoops and Jinan-gun. The results showed decreases in the amount of core habitats and corridors and habitat connectivity at a regional scale since 1989. In addition, multi-scale habitat analysis at a focal scale revealed that the structural and functional connectivity between forest habitats surrounding maeulsoops of the year 2006 was lower than that of the year 1989. In order to reduce forest fragmentation and to enhance the connectivity among habitats, it is necessary to provide the additional habitat corridors as well as preserving existing corridors and surrounding landscapes of maeulsoops. We also suggest that a combination of landscape indices and morphological spatial pattern analysis can provide an effective tool to assess the habitat functions and configuration in a rapidly changing landscape.

An Analysis of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Distribution and Classification of Rural Amenity Resources - Centered on of Sunchang County in Jeonbuk Province - (농촌어메니티 자원분포와 유형별 자원의 특성 분석 - 전북 순창군을 대상으로-)

  • Park, Jae-Chul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37 no.4
    • /
    • pp.12-21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amenities available in Sunchang-gun, Jeonbuk province in Korea through ananalysis of survey data of rural amenity resources. This survey was performed over 4 years(from 2005 to 2008). The data were collected by field survey, interview, and Internet search. Descriptive statistics, regression and correlation analyses were performe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each Eup-Myun in Sunchang County. A regression analysis was also performed to compare provincial, national and other county data. Furthermore, a rank analysis was performed to classify the type of each region. Through this, the type of rural amenity resources was identifi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