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진시장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2초

근래 여자저고리의 패턴 변화 - 서울 광장시장과 부산 진시장을 중심으로 - (Recent Changes in Women's Jeogori Pattern - Focused on the Jeogori's in the Seoul Gwangjang Market and Busan Jin Market -)

  • 한정원;조우현
    • 복식
    • /
    • 제66권3호
    • /
    • pp.1-17
    • /
    • 2016
  • This study examined and analyzed the women's jeogoris in the Seoul Gwangjang Market and Busan Jin Market. They study explored the items to look into the current state of the Jeogori patterns, as well as investigate the flat pattern jeogoris, including its source and aspects of change. Korean women's body figure has become more westernized,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is change on the traditional jeogoris. We hope to gather valuable data, which can be used to propose a new direction for designing hanbok in the future. The study methods are as follows: First, the types of jeogori patterns were examined. Second, the current state of jeogori patterns in the Seoul Gwangjang market and Jin market in Busan were analyzed to look into how the patterns have transitioned. And lastly, the reason for the origination of the flat pattern jeogori and the type of changes will be examined. Current study results show that two pattern types are being used: the flat composition jeogori and the flat pattern jeogori. Surveys show that more than 90 percent of the jeogoris in the Seoul Gwangjang Market are of the flat composition pattern variety, while more than 90 percent of jeogoris in the Busan Jin Market are of the flat pattern variety. In 1998, western-style dress designers in Busan introduced the flat pattern jeogoris, which were used to get rid of the wrinkles caused by the extra space, into the market after the financial crisis period in Korea, as a way to revitalize the market. This new pattern was popular among tea aficionados and traditional Korean musicians. It was exposed to the public via different mediums, such as TV programs, magazines, and brochures. Busan was the first to be exposed, and then it spread to Seoul. It also seems that the reduction of production cost caused the increase of the flat pattern jeogori.

IMF이후의 신세대 진바지 소비자의 브랜드 인지도 이미지 및 추구이미지를 중심으로한 진의류 시장분석 (Analysis of jeans market under IMF circumstance focused on brand awareness brand image and consumer's seeking image of young adults)

  • 김칠순;이훈자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447-458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jeans market faced with economic difficulties to provide jean's maker with a large representative data base for jeans marketing strategy. This study surveyed jeans market and analyzed brand awareness. brand image and consumer's seeking image for 700 young adults. The 70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t the five locations(Opkujung Shinchon Munjungdong, Shinrimdong '||'&'||' Suwon) and 656 reliable ones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A. SAS statistical package including frequency table factor analysis. analysis of variance. and Duncan's multiple range test was us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 1. Brand awareness involves "brand recall" based on asking a person to name recalled first and "brand rcognition" based on asking to identify brand name from 30 given brands. The result indicated that "Levis" was dominant for brand recall and Guess was dominant for brand recognition. 2. Regarding the brand image the result showed that "Vov" was best represented for sophisticated '||'&'||' trendy brand images "Storm" for characteristics brand image "Jambangee" for reasonable price '||'&'||' comfortable brand images and "Levis" for classic '||'&'||' design/color brand images. 3. As a result of factor analysis on consumer's seeking image six factors(characteristic/gay, intelligent/sexy, feminine/sophisticated , active/functional, cute/young, simple/comfortable) were found. Several factors had a relationship with demographic variables and preferred design. 4 Many young adults favored following design details ; low waist relaxed thigh with straight leg and long length up to the end of shoes. Also they preferred basic pocket to cargo pocket and simple logo accessories to metal ones.simple logo accessories to metal ones.

  • PDF

역추진시 단동타 주위 유동특성에 대한 PIV계측 (PIV Measurements of the Flow characteristics around a single rudder in a backward state)

  • 손창배;김옥석;오우준;이창우;이경우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383-384
    • /
    • 2010
  • 선박의 제어판은 전진 또는 후진시 조종성능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본 연구에서는 단동타의 성능평가를 위하여 $Re=2.0\times10^4$ 에서 2-프레임 그레이레벨 상호상관 PIV기법을 이용하여 모텔 주위의 속도장을 계측하였다. 특히 전진시 영각 10도와 20도 사이에서 발생하는 박리영역을 후진시에 나타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단동타의 형상은 NACA0018을 사용하여 자유유동이 역 방향으로 위치하여 후진시의 효과를 알아본 결과 박리 영역은 전방과 비슷한 영각에서 발생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왜매치, Abbottina springeri(Cypriniformes: Cyprinidae)의 난발생 및 자치어 형태발달 (Morphological Development of Eggs, Larvae and Juveniles of the Abbottina springeri (Cypriniformes: Cyprinidae))

  • 박재민;유동재;조성장;한경호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167-176
    • /
    • 2021
  • 본 연구는 왜매치의 초기생활사를 밝히기 위해 충청남도 당진시 서원천에서 성어를 채집하여 인공수정을 통해 수행하였다. 왜매치 암컷의 산란량은 1,225~2,100개(1,662±437개, n=10) 정도였다. 난의 형태는 원형으로 크기는 1.05~1.13(1.08±0.02, n=30) mm였다. 수정란은 수온 22℃에서 부화까지 72~80시간이 소요되었다. 부화 직후의 난황자어는 전장 2.10~2.23 (2.16±0.04, n =10) mm로 입과 항문은 열려 있지 않았고 난황을 가지고 있었다. 부화 후 5일째는 전장 3.29~3.45 (3.36±0.04, n=10) mm로 난황을 모두 흡수하였고 먹이를 섭취하면서 전기자어로 이행하였다. 부화 후 15일째는 전장 4.97~5.30 (5.13±0.12, n=10) mm로 척추 끝부분이 상단으로 휘어지기 시작하면서 중기자어로 이행하였다. 부화 후 25일째는 전장 8.97~9.60 (9.44±0.16, n=10) mm로 꼬리지느러미 말단 끝부분이 45°로 완전히 휘어지면서 후기자어로 이행하였다. 부화 후 35일째는 전장 12.0~13.5 (12.7±0.53, n=10) mm로 각 부위별 지느러미 기조 수(등지느러미 iii 7개, 뒷지느러미 iii 6개, 배지느러미 i 7개)가 정수로 도달하면서 치어기로 이행하였다.

항공관측 결과를 활용한 당진시 대형사업장에서의 황산화물 배출량 평가 (Estimation of SO2 emissions in large point sources at Dangjin City using airborne measurements)

  • 김용표;김세웅;김종호;이태형
    • 한국입자에어로졸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107-117
    • /
    • 2020
  • 충청남도 대형사업장에서의 대기오염물질 배출이 미세먼지 농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논란이 많다. 2019년 봄과 가을에 항공관측을 수행하여 충청남도 대형사업장 상공에서 대기오염물질 농도를 측정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황산화물(SO2) 배출량을 산정하였다(하향식 배출량). 이를 사업장에서 제시한 배출량 자료(상향식 배출량)와 비교한 결과, 항공관측에 바탕을 둔 배출량이 더 많았다. 항공관측에 바탕을 둔 배출량은 석탄화력발전소는 1502.1 kg/hr, 제철소는 2805.5 kg/hr였다. 이는 사업장에서 밝힌 2019년 연평균 배출량보다 각각 2.5배와 2.0배 큰 값이다. 이와 같은 차이가 나는 원인을 규명하기 위해서는 관측에 바탕을 둔 하향식 배출량과 활동도에 바탕을 둔 기존의 상향식 배출량을 산정함에 있어서 보다 면밀한 검토와 개선이 필요하다. 하향식 배출량의 개선을 위해서는 관측 불확도를 줄이는 것이 중요하다. 불확도를 높이는 요소의 하나는 지상에서 항공기가 운행될 수 있는 최저 고도까지 관측을 하지 않은 것이다. 이러한 불확도를 줄이는 방법은 지상에서 관측을 수행하며, 더 나아가서는 지상과 항공기 관측 최저 고도 사이에서 드론 등의 방법을 통해 관측을 수행하는 것이다. 바람장 역시 관측 및 외삽과 내삽을 이용하여 평면 분포를 구하면 평면에 대한 적분을 이용하여 평면 전체의 플럭스를 구할 수 있어 불확도를 줄일 수 있을 것이다. 상향식 배출량의 정확도 개선을 위해서는 측정이 이루어지고 있는 굴뚝의 배출량 자료 정확도 개선과 함께, 관측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배출구의 현황 파악이 필요하다.

분젠 예혼합 화염을 활용한 아산화질소 처리기술에 관한 연구 (Treatment Technology of N2O by using Bunsen Premixed Flame)

  • 진시영;서재근;김희재;신승환;남동현;김성민;김대해;윤성환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53-160
    • /
    • 2021
  • 아산화질소(Nitrous oxide, N2O)는 지구온난화 물질의 하나로 이산화탄소에 비해 지구온난화효과가 310배 강하고 분해하는데 120년이 소요되기 때문에 오존층 파괴에 주범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N2O를 저감하기 위해 고온 열분해 기술을 적용하여 N2O 저감 공정에서 발생하는 NOx 배출 특성에 대해 조사하였다. 고온 유동장을 형성하기 위해 동축 분젠 예혼합 화염을 열원으로 채택하였으며 실험 변수로는 노즐출구속도, 동축류 속도 및 N2O 희석률로 설정하였다. 실험 결과, NO 생성률은 노즐출구속도 및 동축류 유량에 관계없이 N2O 희석률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N2O의 경우에는 연소 불안정성(Kelvin Helmholtz 불안정)이 억제된 안정된 예혼합 화염에서 다량으로 배출되었는데, 이는 화염 면 부근에서 감소된 N2O의 체류시간으로 인해 열분해 시간이 충분하지 않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N2O의 저감 효율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K-H 불안정성이 발생되는 노즐출구속도를 선정하여 화염 면 부근에서 발생되는 와류(toroidal vortex) 형태의 유동 구조를 형성하는 것이 N2O의 체류시간을 증가시키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발전소 폐열을 이용한 농업시설용 히트펌프시스템의 난방 성능 분석 (Heating Performance Analysis of the Heat Pump System for Agricultural Facilities using the Waste Heat of the Thermal Power Plant as Heat Source)

  • 강연구;강석원;백이;김영화;장재경;유영선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317-323
    • /
    • 2017
  • 쓰레기 소각장이나 산업체의 폐열을 농업에 활용한 사례는 몇몇 있었다. 그러나 온배수를 농업에 활용한 사례는 전무하였으며, 치어, 종패 등을 양식하는 수산업이 대부분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화력발전소의 온배수(폐열)를 열원으로 이용하는 120 RT 규모의 냉난방시스템을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안덕면 소재의 $5,280m^2$ 아열대 작물(망고) 재배온실에 설치, 10월에서 다음해 2월까지 약 5개월 동안 난방을 실시하여 난방에너지 비용 절감 효과 등 분석하였다. 난방에너지 비용 절감효과는 면세경유에 대하여 87%이였으며, 또한 발전소의 온배수를 에너지원으로 재활용함으로서 62%의 이산화탄소 배출 저감 효과를 얻었다. 본 연구를 계기로 2015년에 해수가 수열에너지 분야로 재생에너지에 포함되었다. 해수의 표층의 열을 히트펌프를 사용하여 변환시켜 얻은 에너지라는 수열에너지 분야의 기준과 범위를 볼 때, 이는 온배수가 재생에너지에 포함되었다고 말해도 과언이 아닐 것으로 사료된다. 그 이유는 온배수도 해수임에도 불구하고 온도가 일반 해수보다 $7{\sim}8^{\circ}C$ 높아, 일반 해수를 히트펌프의 열원으로 이용하는 것보다 온배수를 열원으로 이용했을 때 히트펌프의 성능이 높기 때문이다. 또한 같은 해 농식품부의 폐열 재이용 시설 지원 사업이 발표되어, 발전소 온배수뿐만 아니라 산업체와 소각장의 폐열을 농업에 활용하면 지원을 받을 수 있게 되었다. 이 사업에 의하여 2015년 당진시, 하동군, 제주시, 곡성군이 선정되었으며, 2016년 태안군, 서귀포시 등이 선정되어, 2016년 말 곡성군과 제주시가 공사를 완료, 농업에 폐열을 활용하고 있으며(제주시는 발전소, 곡성군은 산업체 폐열을 이용하고 있음), 기타 지역은 추진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