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진상물(進上物)

검색결과 95건 처리시간 0.027초

『여지도서(輿地圖書)』에 나타난 진상(進上) 관련 조항의 분석 (A study of Jinging(進貢) Bangmul(方物) Provisions in Yoji Doseo(輿地圖書))

  • 전상욱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4권3호
    • /
    • pp.150-163
    • /
    • 2011
  • "여지도서(輿地圖書)"는 18세기 영조(英祖) 때 전국적인 지리지를 간행하기 위한 목적으로 편찬되었다. 비록 공식적인 간행은 이루어지지 않았지만, 조선후기 각 군현의 사회상 및 경제상황에 관한 풍부한 정보를 담고 있어 일찍부터 그 자료적 가치를 주목받아 왔다. 특히 진상 관련 조항은 다른 진상 관련 자료가 진상물의 분정 상황이 도 단위까지만 파악된 것과 달리 도내 즉, 고을 단위까지 진상물이 파악되어 있어, 진상물의 전국적인 분정상황을 엿볼 수 있는 중요한 조항이다. "여지도서(輿地圖書)"의 진상 관련 조항은 진공(進貢) 조항과 방물(方物) 조항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각 조항에는 물품명 상납시기 수량 등이 기록되어 있다. 그러나 각 고을별로 기재양식은 차이가 있을 뿐 아니라 상납시기와 수량에 관한 정보가 부실하여 물품명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진상 관련 조항에 수록된 물품은 약재류 어류 조개류 해조류 과실류 젓갈류 무기류 모피류 부채류 등을 들 수 있다. 이를 진상물목(進上物目)에 따라 분류한 후 도별로 정리하여 다른 진상 관련 자료와 비교하면 "여지도서(輿地圖書)" 진상 관련 조항의 자료적 성격이 18세기 전반 각 고을에서 현물상납하는 물품이 수록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물품은 대동법 실시 이후 대부분의 공물은 경중에서 마련한 것과 달리 진상물은 현물상납이 유지된 점을 고려하면 대부분 진상물로 구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진상물의 현물상납 유지로 인해 매년 상당한 액수의 경비가 지방에서 소비됨으로써 지방 상업 발달의 배경으로 작용할 수 있었다.

18세기 전반 물선진상 관련 자료 분석 - 『진상별단등록』을 중심으로 - (Mulseon-Jinsang Related Document Analysis in First Half of the 18th Century)

  • 전상욱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7권4호
    • /
    • pp.178-191
    • /
    • 2014
  • 진상제는 지방의 특산물을 왕실에 봉진하는 제도이다. 진상물은 물품의 성격, 봉진시기, 용도에 따라 제향진상, 방물진상, 물선진상, 약재진상으로 구분된다. 이 중에서 물선진상은 전국의 산해진미를 봉진하는 것으로, 주로 식재료로 구성되었다. 그리고 물선진상은 다른 진상물과 달리 물품의 수량 경감 내지 일시적인 봉진 중지가 빈번하였다. 이는 물선진상의 경감을 통해 백성에게 물질적인 혜택을 줌으로써 자애로운 군주상을 확보하기 위한 국왕의 의도였다. 숙종 역시 재위기간 동안 빈번히 물선진상을 경감하거나 폐지하였다. 그러나 이 같은 물선진상 변경내역의 문서 보완이 미비하면서, 영조 즉위 직후 물선진상의 물종 및 수량이 불분명한 상태였다. 이에 영조는 "진상별단등록" 간행을 통해 물선진상의 물종 및 수량, 경감내역을 분명히 하였다. "진상별단등록"은 진상지역, 봉진시기, 봉진대상, 물종 및 수량, 경감내역이 기재되어 있다. 이 중에서 물선진상의 물종 및 수량은 다른 내용에 비해 중요하다. "진상별단등록"에 수록된 물선진상은 총 176종에 이르는데, 이 중에서 어류, 패류, 건어류 등 수산물이 117종으로 약 67%를 차지하고 있었다. 그리고 대부분의 물선진상이 원재료로 구성되어 있었고, 생물 이외에 말리거나 절이는 등 다양한 형태로 가공되었다. 물선진상의 지역별 분정특징을 살펴보면, 경상도, 함경도, 강원도 순으로 물선진상이 많이 수록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지역은 동해안과 접해 있다보니, 수산물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은 편이다. 경상도와 전라도는 석류, 유자 등 양남지역의 대표적인 과실류가 분정되어 있었고, 제주도는 감귤류, 각종 전복가공품 등 전국에서 유일하게 분정된 물종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다. 그리고 서울과 지리적으로 먼 곳에 위치한 도에는 건어류, 염어류 등을 집중적으로 분정하였다.

겨자 가수분해물의 항균성 변화 (Changes in Antimicrobial Activity of Hydrolyzate from Mustard Seed (Brassica juncea))

  • 서권일;박석규;박정로;김홍출;최진상;심기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29-134
    • /
    • 1996
  • 겨자의 가수분해 시간에 따른 향균력을 비교하고, 각종 미생물에 대한 겨자 물 추출물의 최소 저해 농도 및 최소 저해 투여량을 측정한 결과 다음과 같았다. 겨자의 자가분해 시간에 따른 물 추출물의 향균성은 처음에 아주 약하게 나타났던 것이 12시간 방치 후 크게 증가하였다. 최대 항균활성은 24시간 방치 후 나타났으며 이후 거의 변하지 않았다. 겨자를 첨가한 물의 산도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증가하였고, 겨자의 농도가 클수록 그 정도가 크게 나타났다. $37^{\circ}C에서$ 24시간 자가분해한 겨자 물 추출물의 MID는 Bacillus subtilils가 $70\mu1/disc로$ 다른 실험 균주에 비하여 낮았으며, 젖산균이 $95\mu1/disc로서$ 높게 나타났다. MIC는 Bacillus subtilils, Staphylococcus aureus, Salmonella typhimurium 및 Vibrio parahaemolyticus 균이 $70\mu1/ml로$ 다른 실험 균주에 비하여 낮게 나타났으며, 젖산균 곰팡이에서 $90\mu1/ml로$ 높게 나타났다. 자가분해 시간에 따른 겨자물 추출물의 중류성분은 자가분해 시간이 지남에 다라 점차 증가하는 경향이었고, isothiocyanate 류의 함량은 24시간 때에 최대치를 나타내었다.

  • PDF

로봇 매니퓰레이터와 공작물의 상대운동에 의한 위치/힘의 2차원 하이브리드 제어 (Two dimensional hybrid control using the relative motion between the robot manipulator and a workpiece)

  • 진상호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제어로봇시스템학회 1997년도 한국자동제어학술회의논문집; 한국전력공사 서울연수원; 17-18 Oct. 1997
    • /
    • pp.1577-1580
    • /
    • 1997
  • A hybrid control method based on using the relative motion between a manipulator and a workpiece is described for a two-dimensional manipulator, in which it is assumed that there are no collisions between the robot manipulator and the workpiece, and that we use a computed force law which is similar to the computed torque law in the trajectory tracking problem of a robot manipulator.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hybrid control emthod is illustratec by some simulations.

  • PDF

고내구성 재료를 사용한 휨부재의 균열에 따른 염화물 침투 특성 (Characteristics of Chloride Penetration in Cracked Flexural Member using Durable Materials)

  • 진상호;김일순;김명유;양은익;이성태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8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제20권2호
    • /
    • pp.401-404
    • /
    • 2008
  • 균열은 콘크리트에 염소이온과 같은 유해한 물질의 침투경로가 되어 내구성에 심각한 열화를 야기한다. 따라서 고내구성 재료를 사용한 콘크리트 휨부재에서의 균열 발생에 따른 염소이온 침투특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고내구성 재료를 적용한 보에 하중을 가하여 휨균열을 도입시키고, 촉진 염화물 침투실험(RCPT)과 장기 염화물 침투실험을 실시하여 염화물 침투 특성을 파악하였다. 실험결과에 따르면, 고내구성 재료를 적용한 부재는 균열이 발생하여도 일반 콘크리트 부재에 비해 높은 염화물 침투 저항성을 보였다. 특히 고로슬래그 미분말을 적용한 경우, 균열 부재의 장기 염화물 침투 실험에서 탁월한 염화물 침투 저항성을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