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진료협력간호사

Search Result 11,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Influence of Professionalism, Role Conflict and Work Environment in Clinical Nurses with Expanded Role on Job Enbeddedness (종합병원 진료협력간호사의 전문직업성, 역할갈등, 근무환경이 직무배태성에 미치는 영향)

  • Kang, Kyeong Hwa;Lim, Yeon Jae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 /
    • v.22 no.5
    • /
    • pp.424-436
    • /
    • 2016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professionalism, role conflict and work environment in clinical nurses with expanded role (CNE) on job embeddedness. Method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136 CNE working in general hospitals in Seoul, the wider metropolitan area and Gangwon Province. Results: Job embeddedness, work environment and professional performance of the participants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each other. Significant predictors of embeddeness were belief in public service and sense of calling in the professional subcategory and participation in hospital affairs and nurse-doctor relationship in the work environment subcategory. Conclusion: Finding from this study indicate the need to evaluate and improve the significant predictors of job embeddedness for CNE.

A Study on Role Conflict in Physician Assistant Nurses (진료협력간호사의 역할갈등에 관한 연구)

  • Kim, Se Young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 /
    • v.26 no.3
    • /
    • pp.176-187
    • /
    • 2019
  • Purpose: This study was a qualitative study done to investigate the experience of role conflict by physician assistant nurses. Methods: The basis for this study was qualitative research using the phenomenological method. Research participants were 10 physician assistant nurses. Data collection methodology was in-depth interviews. The interviews were conducted 1 to 2 times and each interview lasted within the range of 45 minutes to 2 hours. The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were carried out simultaneously and the Colaizzi (1978) methodology was adopted for data analysis. Results: The results showed 46 significant statements, 13 meaningful statements, 7 themes, and 3 clusters of themes. The 3 clusters of themes were: 'Identity conflict', 'Relationship role conflict' and 'Institutional role conflict'. Conclusion: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suggest that legal status guarantees have to be prepared in order to resolve the role conflict of physician assistant nurses.

A Study on the Present Status of Clinical Nurses with Expanded Role (진료협력간호사의 운영현황에 관한 연구)

  • Kwon, Young Dae;Sung, Young Hee;Kwon, In Gak;Hwang, Moon Sook
    •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 /
    • v.14 no.3
    • /
    • pp.99-115
    • /
    • 2008
  • Purpose: The purpose for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present state of Clinical Nurses with Expanded Role (CNERs) and provide basic data to refine the roles of CNERs. In this study, CNREs refers to nurses who perform techniques traditionally done by doctors and use titles such as clinical nursing specialist, educator with consultation, research assistant, coordinator, physician assistant and special examiner. Method: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September 1 to November 12, 2007. Data from 684 nurses from 38 hospitals who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using the SPSS 14.0 program. Results: The mean percentage of time spent was, for direct practice, 41.1%, for education and counseling, 22.8%, for consultation and coordination, 10.4%, for research, 6.8%, for administration, 8.9% and for other activities, 10.0%. The most frequently implemented CNERs, activities included consultation and education for patients and their families, counseling by telephone, history taking, physical examination, reading examination results, psychosocial assessment, managing treatment, input of prescriptions, and writing up patient records, Although not frequently performed, nurses in some fields carried out invasive procedures and prescribed medication and laboratory tests. Conclusion: Although the number of hospital CNERs are rapidly increasing, there is still confusion about the title and framework as well as standards. Furthermore, because some nurses are prescribing medication and laboratory tests as well as performing techniques not traditionally done by nurses, there is an absolute need for a legalized system and systematic education system for the safety of patients who are being cared by all CNERs.

  • PDF

Job Analysis for Role Identification of Clinical Nurses with Expanded Role - Clinical Nurse with Education and Clinical Nurse with Coordination - (진료협력간호사의 역할규명을 위한 직무분석 - 교육상담간호사와 진료코디네이터간호사 중심 -)

  • Sung, Young Hee;Lim, Nan Young;Park, Kwang Ok;Jung, Jung Hee;Kwon, In Gak;Kim, Ul Soon;Hwang, Moon Sook
    •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 /
    • v.15 no.2
    • /
    • pp.139-155
    • /
    • 2009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role through job analysis (duties and tasks) of nurses who work as clinical nurses with education and clinical nurse with patient coordination within the hospital. Methods: The DACUM committee was organized with 8 nurses each, clinical nurses with education and clinical nurses with coordination. The committee derived the duties and tasks of the two groups of clinical nurses from their actual work in the hospital through a DACUM workshop. Validity of the derived duties and tasks was tested by 12 nurses at each of 3 hospital. Results: For clinical nurse with education, 8 duties and 45 tasks were identified, which included patient education and consultation, patient advocacy, management of the therapeutic process, direct nursing care, activities work directed at improvement, management of health promotion events, administration work, and self-improvement. For clinical nurse with coordination, 10 duties and 54 tasks were identified, and included client consultation, client education, direct nursing care, coordination of therapeutic flow, employee education, public relations with the community, planning and operation of meetings, administration work, work directed at improvement, and self-improvement.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tribute to not only the work of the participants but also basic data for human resource management in the hospital.

New Role and Implications of Japanese Clinical Laboratory Technologists through Team Medical Care (팀 의료에서 일본 임상병리사의 새로운 역할과 시사점)

  • Bon-Kyeong KOO;Min Woo LEE;Sang Hee LEE;Byoung Ho CHOI
    • Korean Journal of Clinical Laboratory Science
    • /
    • v.55 no.3
    • /
    • pp.213-218
    • /
    • 2023
  • When it comes to 'Team Medical Care' in Japan, clinical laboratory technologists have actively engaged in various kinds of teams, such as a diabetes team, a nutrition support team, an infection control team and a medical practice support team. Overall, with continual changes in the medical environment, clinical laboratory technologists are recently being required to not only conduct phlebotomy, specimen collection, laboratory testing, and electrocardiography, but also get actively involved in 'medical practice assistance or support' in collaboration with medical doctors and nurses. Therefore, it is anticipated that resident clinical laboratory technologists in wards or emergency rooms in Korea will be better able to contribute to improving medical quality and securing medical safety by functioning as a link to the clinical laboratory, while medical doctors and nurses will have a reduced burden of work and can dedicate themselves to better patient care.

방사성옥소 치료를 위한 표준 지침서 개발과 치료병실 환경 개선 연구

  • Kim, Bong-Soo;Pyo, Seong-Jae;Kim, Chang-Ho;Jo, Yong-Gwi;Sin, Chae-Ho
    • The Korean Journal of Nuclear Medicine Technology
    • /
    • v.12 no.1
    • /
    • pp.126-129
    • /
    • 2008
  • 목적: 방사성옥소 치료 환자들은 주의 사항이나 식이요법 등을 지키는 것에 대한 어려움과 3~4일간의 격리 치료기간 동안의 막연한 불안감을 느끼는 등의 심리적, 신체적 부담감을 가지고 있다. 본 과에서는 방사성옥소 치료의 예약과 치료병실에 대한 표준지침서를 개발하여 환자들에게는 정확하고 쉬운 정보를 제공하여 막연한 불안감을 해소하고 치료 업무에 종사하는 종사자들에게는 통일된 정보를 제공하여 업무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와 치료 병실의 환경개선을 통한 환자의 심리적 안정감을 찾는데 주력하고자 본 연구를 시작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6년 9월부터 2007년 2월까지 치료병실에 입원한 환자를 대상으로 치료환자의 치료 일정, 주의사항, 저옥소 식단과 치료병실의 표준 진료 지침서를 개발하고 치료 병동의 간호사와 협력하여 치료병실의 환경을 개선하여 환자에게 적용하였다. 결과: 방사성옥소 치료의 특성상 환자는 치료가 결정되는 순간부터 치료과정에 대한 이해도 부족과 치료병실 생활에 대한 불안감을 느끼게 되므로 치료 시 사용되는 일정 및 주의사항, 저옥소 식단의 표준지침서를 개발하여 환자 치료병실 개선과 치료병실에서의 표준지침서를 개발하고 사용하였다. 결론: 치료에 따른 진료지침서와 병실 환경을 개선 후 치료에 대한 환자의 이해도 및 치료병실에서의 생활이 예전과 비교해서 많이 향상 되었고 치료의 과정을 설명하는 예약 시에도 많은 도움이 되고 있다. 이러한 치료과정의 규격화 하는 작업들은 본원뿐 아니라 치료병실이 있는 병원의 치료환경을 개선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사료된다.

  • PDF

A Study on Appropriate Nurse Staffing Levels in Intensive Care Units and Improvement of the Critical Care Nursing Fee Schedules (중환자실 적정 간호사 배치수준과 간호관리료 차등제 개선 연구)

  • Lee, Hyo Jin;Cho, Sung-Hyun;Shim, Mi Young;Kim, Jung Yeon;Song, Yu Gil;Kim, Jin;Kim, Young Sam
    •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 /
    • v.29 no.3
    • /
    • pp.312-326
    • /
    • 2023
  • Purpose: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the staffing level and critical care nursing fees of intensive care units at tertiary and general hospitals and to provide a professional judgment-based recommendation on staffing level and critical care nursing fee schedules. Methods: Staffing grades and critical care nursing fee schedules for the first quarter of 2017~2020 and the fourth quarter of 2020~2022 were analyzed. A survey was conducted on nursing managers and nurses about the current and appropriate staffing levels. A total of 77 nurse managers and 708 nurses working in Intensive Care Unit(ICU)s at tertiary and general hospitals participated in the study. Results: Grade 1 staffing increased from 25.6% in 2017 to 92.1% in 2022 at tertiary hospitals and from 0.8% in 2017 to 28.4% in 2022 at general hospitals. The current staffing ratios of tertiary and general hospitals were 1:2.21 and 1:2.77, respectively. The appropriate staffing ratio according to nurse managers and nurses was 1:1.00 in patients with more than a ventilator application and 1:2.00 in patients without any ventilator application in tertiary hospitals, and it was 1:1.25 in patients with more than a ventilator application and 1:2.00 in patients without any ventilator application in general hospitals, respectively. Conclusion: The appropriate staffing level was suggested from 1:1.0 to 1:2.0. The new nursing fee schedules were suggested from 1:1.0 (Grade 1) to 1:3.0 (Grade 5) and recommended to be paid based on the staffing grade, minimum number of nurses, and standard annual working days. It is expected to increase staffing levels and provide a better nursing work environment.

2010 Cleft Lip Charity Operation in Lao PDR (2010년 라오스 구순구개열 자선수술에 관한 보고)

  • Cho, Jun-Bum;Choung, Han-Sol;Park, Eun-Hyun;Hong, Eui-Hyung;Park, Hae-Jung;Seo, Ho-Sung;Park, Sung-Soo;Park, Joo-Young;Lee, Ui-Lyong;Kim, Eun-Suk;Lee, Won;Choung, Pill-Hoon
    • Korean Journal of Cleft Lip And Palate
    • /
    • v.13 no.1
    • /
    • pp.35-42
    • /
    • 2010
  • 한국얼굴기형환자 후원회 의료봉사팀은 2010년 2월 6일에서 12일까지 라오스의 수도인 Vientiane을 방문하여 구순구개열 무료수술을 무사히 마쳤다. 의료봉사팀은 총 11명으로 구성되었다. 구강악안면외과의 6명과 간호사 2명, 학생 3명이었다. 수술은 라오스 비엔찬의 Mahosot 병원에서 수술장 한개에 수술 침대를 두개 놓고, 두팀을 구성하여 수술을 진행하였다. 당시 서울대학교 치과대학 예방치학교실 백대일 교수님께서 안식년을 맞아 라오스에서 라오스인 구강건강에 관한 national survey를 수행하고 계셨는데 수술팀에게 많은 도움을 주셨다. 2월 7일 토요일 예진 때는 한국국제협력단에서 파견한 국제협력의사 박병원 선생님(내과 전문의)께서 통역으로 도와 주셨다. 총 30명의 환자가(남:여=14:16) 수술을 받았으며, 환자들의 평균 나이는 9.7세였다. 수술 종류는 cheiloplasty, palatoplasty, rhinoplasty, scar revision, lip reconstruction로 구분 지을 수 있었으며, 모든 수술은 합병증 없이 마무리되었다. 이번 자선수술을 통해 30명의 환자를 수술하였고, 라오스 의사들에게 구순구개열 진료에 대한 기술을 교육할 수 있었다. 또 라오스 치과대학과 자매결연을 맺는 등 한국-라오스 우호증진에 많은 기여를 한바 이를 보고한다.

  • PDF

Differences in Associated Factors according to the Time of Occurrence of Pressure Ulcers in Intensive Care Unit Patients (중환자실 환자의 욕창 발생 시기에 따른 관련요인의 차이)

  • Lee, Mijung;Seo, Eunjeoung;Kim, Miok;Park, Jeongok;Lee, Seonmi;Shin, Hyunkyung;Yun, Ilsim;Cho, Mina;Cho, Youngcha;Kang, Bomi;Seo, Hyunmi;Lee, Misoon;Lee, Sira;Jang, Hyejoo;Jung, Hyunsuk;Ahn, Jeong-Ah
    • Journal of Korean Critical Care Nursing
    • /
    • v.14 no.3
    • /
    • pp.26-36
    • /
    • 2021
  • Purpose : This study aimed to present the incidence of pressure ulcers and identify different associated factors according to the time of occurrence of pressure ulcers in intensive care unit (ICU) patients. Methods : The participants were 313 patients who reported pressure ulcers among 2,908 patients in ICUs at a large tertiary hospital in Gyeonggi-do. Among them, 220 patients (70.3%) had a pressure ulcer before admission, and 93 patients (29.7%) reported newly developed pressure ulcers after admission to the ICU. Data were collected between August 2018 and April 2019. Along with the time of occurrence and characteristics of pressure ulcers, diverse associated factors were gathered through electronic medical records.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s, and 𝑥2-tests. Results : Different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pressure ulcers in ICU patients according to the time of occurrence were main diagnosis, score of acute physiology and chronic health evaluation, score of Richmond agitation sedation scale, level of consciousness, administered sedatives, use of a ventilator, insertion of a feeding tube, and the duration of fasting period. Conclusion :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healthcare providers, especially ICU nurses, should try to detect early signs and symptoms of pressure ulcers, taking into account the derived factors associated with pressure ulcers in ICU patients. Practical intervention programs and strategies considering the factors associated with pressure ulcers must be developed to prevent and alleviate such ulcers in ICU patients in the future.

Development of a Comprehensive Model of Disaster Management in Korea Based on the Result of Response to Sampung Building Collapse (1995), - Disaster Law, and 98 Disaster Preparedness Plan of Seoul City - (우리나라 사고예방과 재난관리 모형 개발을 위한 연구)

  • Lee, In-Sook
    • Research in Community and Public Health Nursing
    • /
    • v.11 no.1
    • /
    • pp.289-316
    • /
    • 2000
  • 우리나라의 경우 지역사회 재난 관리계획과 훈련이 보건의료적 모형이라기 보다는 민방위 모형에 입각하기 때문에 사고 현장에서의 환자 중증도 분류, 합리적 환자배분 및 이송, 병원 응급실에서의 대처 등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으며, 지역사회가 이에 즉각적으로 반응할 수 없다. 본 연구는 삼풍 붕괴사고 시에 대응방식과 그 후의 우리나라 응급의료 체계를 분석함으로써 대형사고 예방과 재난관리를 위한 우리나라 응급의료체계의 개선방안과 간호교육에서의 준비부분을 제시하고자 한다. 1 삼풍 사고 발생시에는 이를 관장할 만한 법적 근거인 인위적 재해에 관한 재난관리법이 없었다. 따라서 현장에서는 의학적 명령체계를 확보하지 못했기 때문에 현장에서의 응급 처치는 전혀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현장에서의 중증도 분류. 응급조치와 의뢰, 병원과 현장본부 그리고 구급차간의 통신 체계 두절, 환자 운송 중 의료지시를 받을 수 있도록 인력, 장비, 통신 체계가 준비되지 못하였던 점이 주요한 문제였다. 또한 병원 응급실에서는 재난 계획이 없거나 있었더라도 이를 활성화하여 병원의 운영 체계를 변환해가지 못하였다. 2. 삼풍백화점 붕괴사고 한달 후에는 인위적 재해에 대한 재난관리법이 제정되고, 행정부 수준별로 매년 지역요구에 합당한 재난관리 계획을 세우도록 법으로 규정하였다. 재난 관리법에는 보건의료 측면에서의 현장대응, 주민 참여, 응급 의료적 대처, 정보의 배된. 교육/훈련 등이 포함되어 있어야 한다. 그러나 법적 기반이 마련된 이후에도 한국 재난 계획 내에는 응급의료 측면의 대응 영역은 부처간 역할의 명시가 미흡하며, 현장에서의 응급 대응과정을 수행할 수 있는 운영 지침이 없이 명목상 언급으로 그치고 있기 때문에 계획을 활성화시켜 지역사회에서 운영하기는 어렵다. 즉 이 내용 속에는 사고의 확인 /공고, 응급 사고 지령, 요구 평가, 사상자의 중증도 분류와 안정화, 사상자 수집, 현장 처치 생명보존과 내과 외과적 응급처치가 수반된 이송, 사고 후 정신적 스트레스 관리, 사고의 총괄적 평가 부분에 대한 인력간 부처간 역할과 업무가 분명히 제시되어 있지 못하여, 사고 발생시 가장 중요한 연계적 업무 처리나 부문간 협조를 하기 어렵다. 의료 기관과 응급실/중환자실, 시민 안전을 책임지고 있는 기관들과의 상호 협력의 연계는 부족하다. 즉 현재의 재난 대비 계획 속에는 부처별 분명한 업무 분장, 재난 상황에 따른 시나리오적 대비 계획과 이를 훈련할 틀을 확보하고 있지 못하다. 3. 지방 정부 수준의 재난 계획서에는 재난 발생시 보건의료에 관한 사항 전반을 공공 보건소가 핵심적 역할을 하며 재난 관리에 대처해야 된다고 규정하고 있다. 그러므로 보건소는 지역사회 중심의 재난 관리 계획을 구성하고 이를 운영하며, 재난 현장에서의 응급 치료 대응 과정은 구조/ 구명을 책임지고 있는 공공기관인 소방서와 지역의 응급의료병원에게 위임한다. 즉 지역사회 재난 관리 계획이 보건소 주도하에 관내 병원과 관련기관(소방서. 경찰서)이 협동하여 만들고 업무를 명확히 분담하여 연계방안을 만든다. 이는 재난관리 대처에 성공여부를 결정하는 주요 요인이다. 4 대한 적십자사의 지역사회 주민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은 연중 열리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교육주제는 건강증진 영역이며. 응급의료 관리는 전체 교육시간의 8%를 차지하며 이중 재난 준비를 위한 주민 교육 프로그램은 없다. 또한 특정 연령층이 모여있는 학교의 경우도 정규 보건교육 시간이 없기 때문에 생명구조나 응급처치를 체계적으로 배우고 연습할 기회가 없으면서 국민의 재난 준비의 기반확대가 되고 있지 못하다. 5. 병원은 재난 관리 위원회를 군성하여 병원의 진료권역 내에 있는 여러 자원을 감안한 포괄적인 재난관리계획을 세우고, 지역사회를 포함한 훈련을 해야 한다. 그러나 현재 병원은 명목상의 재난 관리 계획을 갖고 있을 뿐이다. 6. 재난관리 준비도를 평가할 때 병원응급실 치료 팀의 인력과 장비 등은 비교적 기준을 충족시키고 있었으나 병원의 재난 관리 계획은 전혀 훈련되고 있지 못하였다 그러므로 우리나라 재난 관리의 준비를 위해서는 현장의 응급의료체계, 재난 대응 계획, 이의 훈련을 통한 주민교육이 선행되어야만 개선될 수 있다. 즉 민방위 훈련 모델이 아닌 응급의료 서비스 모델에 입각한 장기적 노력과 재원의 투입이 필요하며,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대응 준비와 이의 활성화 전략 개발, 훈련과 연습. 교육에 노력을 부여해야 한다. 7. 현장의 1차 응급처치자에 대해서는 법적으로 명시하고 있는 역할이 없다. 한국에서는 응급구조사 1급과 2급에 대한 교육과 규정을 1995년 이후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에서 정하고 있다. 이 교육과정은 미국이 정하고 있는 응급구조사 과정 기준과 유사하지만 실습실이나 현장에서의 실습시간이 절대적으로 부족하다. 덧붙여 승인된 응급구조사 교육 기관의 강사는 강사로서의 자격기준을 충족할 뿐 아니라 실습강사는 대체적으로 1주일의 1/2은 응급 구조차를 탑승하여 현장 활동을 끊임없이 하고 있으며, 실습은 시나리오 유형으로 진행된다. 그러므로 우리나라의 경우 응급 구조사가 현장 기술 인력으로 역할 할 수 있도록 교과과정 내에서 실습을 강화 시켜야하며, 졸업생은 인턴쉽을 통한 현장 능력을 배양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8. 간호사의 경우 응급전문간호사의 자격을 부여받게 됨에 따라, 이를 위한 표준 교육 지침을 개발함으로써 병원 전 처치와 재난시 대응할 수 있는 역량을 보완해야 한다. 또한 현 자격 부여 프로그램 내용을 고려하여 정규자격 간호사가 현장 1차 치료자(first responder)로 역할 할 수 있도록 간호학 교과과정을 부분 보완해야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