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진료실

검색결과 281건 처리시간 0.027초

CT 조영검사 예약환자의 전처치 프로세스 시스템 개발을 통한 환자안전 및 검사 만족도 향상 (Improvement of Patient Safety and Inspection Satisfaction by Developing Pretreatment Process System with the Patients Who Reserved CT Enhance Examination)

  • 범희남;한재복;송종남;김욱;최남길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0권1호
    • /
    • pp.29-37
    • /
    • 2016
  • CT 조영검사 예약환자의 원활한 검사 진행과 조영검사로 인한 부작용을 줄일 수 있는 전처치 프로세스 시스템을 개발 및 적용하여 CT 조영검사 예약환자의 검사 만족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2014년 1월부터 2014년 2월까지 CT 조영검사를 예약하여 추적검사를 시행했던 2,846명의 환자들 중 예약시간에 검사를 시행하지 못하고 지연된 214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지연사유를 분석한 후 전처치 프로세스 시스템을 구상 및 개발하여 2015년 1월부터 2015년 2월까지 전처치 프로세스 시스템을 이용하여 전처치가 필요한 644명을 대상으로 SMS 전송 시행율, SMS 전송내역, 예약시간 준수율, 예약시간 지연 사유, 예약 시간보다 지연된 시간 등을 분석하였다. 2014년 1~2월 외래 CT 조영검사 예약환자는 2,846명이었고, 그 중 예약시간에 검사를 시행하지 못한 환자는 214건으로, 약 7.52%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예약시간보다 지연된 세부적인 사례는 creatinine 미확인이 98건(46%), creatinine 1.3 이상이 40건(19%), 과거조영제부작용이 34건(16%), 금식 등 전처치 미흡이 25건(11%), 메트포민제제 당뇨약 복용이 4건(2%), 기타 이유가 13건(6%)으로 나타났으며, 평균 지연시간은 creatinine 미확인이 120분, creatinine 1.3이상이 30분, 과거조영제부작용이 40분, 금식 등 전처치 미흡이 120분, 메트포민제제 당뇨약 복용이 30분, 기타 사유가 60분으로 나타났다. 2015년 1월~2 월 전처치 프로세스 시스템을 적용하여 전처치가 필요한 대상자 644명중 SMS 전송시행율은 515건(80%)으로 나타났으며, SMS 전송내역을 분석한 결과 당일 검사가 283건(44%), 진료과 방문이 185건(29%), 전처치 불필요가 47건(7%), 외래과에서 전처치 프로세스 시스템 미확인으로 SMS 전송이 안 된 건수가 129(20%)건으로 나타났다. CT 조영검사 예약시간 준수율은 전체 644건 중 560건(87%)이 예약시간 안에 검사를 시행하였으며, 예약시간보다 지연된 세부적인 사례는 creatinine 미확인이 23건(28%), creatinine 1.3이상이 11건(13%), 과거조영제부작용이 7건(8%), 금식 등 전처치 미흡이 30건(36%), 메트포민제제 당뇨약 복용이 6건(7%), 기타 이유가 7건(8%) 이었다. 예약시간보다 평균 지연된 시간은 creatinine 미확인이 90분, creatinine 1.3이상이 20분, 과거조영제부작용이 30분, 금식 등 전처치 미흡이 120분, 메트포민제제 당뇨약 복용이 30분, 기타 사유가 60분으로 나타났다. 조영제 부작용의 효율적인 관리적 측면과 CT 조영검사 예약시간에 검사가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전처치 프로세스 시스템을 적용해본 결과 적용 전에 비해 전처치 준비 시간이 줄어들고 CT실, 진료실, 채혈실, 주사처치실 등의 방문횟수 및 동선이 줄어들어 CT실을 찾는 고객들의 검사만족도와 의료서비스 향상에 기여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치과진료와 방사선촬영 중에 치과위생사의 감염관리행위에 대한 실태조사 (Actual state of dental hygienist's behavior for infection control during dental practice and radiologic examination)

  • 최화영;최용석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69-178
    • /
    • 2011
  • Objectives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ctual state of dental hygienist's behavior for infection control during dental practice and radiologic examination and to evaluate the dental hygienist's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infection control in dental office. Methods : A survey on 218 dental hygienists was carried out. The respondents to complete a questionnaire were the dental hygienists who were in dental office on Gwang-ju area or attended complementary training conducted by the Seoul Branch of Korean Dental Hygienists Association in April 2010. The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with $x^2$ test, t-test, ANOVA using SPSS program. Results : The ratios of educational experience for infection control in dental practice and radiologic examination room accounted for 87.6% and 30.3% respectively. Behavior degree of mask-wearing in the dental practice and radiologic examination room were $4.60{\pm}0.70$ and $3.77{\pm}1.09$ respectively. Behavior degree of glove-wearing in the dental practice and radiologic examination room were $4.40{\pm}0.91$ and $3.68{\pm}1.17$ respectively. In case of the relation between educational experience and behavior degree in mask-wearing or glove-wearing,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erformance of mask or glove wearing during dental practice, and mask-wearing during radiologic examination. Howev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p<0.05) in the performance of glove-wearing during radiologic examination, which revealed that behavior degree between the respondents having educational experience and the others no having it were $3.92{\pm}1.19$ and $3.58{\pm}1.14$ respectively. The surface disinfection control for radiation and protective equipments used in radiologic examination room was done by occasional needs without premeditated schedules. Conclusions :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lower behavior degree during radiologic examination compared with one during dental practice. We suggest that there are needs to raise the awareness of infection control and to improve infection control behavior, and through this study, the importance of education was verified.

소아치과 환자의 깊은 진정시 호기가스 제거 방법에 따른 호흡대역에서 Nitrous Oxide 농도 변화 (THE NITROUS OXIDE CONCENTRATION IN BREATHING ZONE ACCORDING TO SCAVENGING METHODS DURING DEEP SEDATION OF PEDIATRIC DENTAL PATIENTS)

  • 이충원;윤형배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24-131
    • /
    • 2003
  • 최근 치과영역에서 아산화질소(Nitrous Oxide)를 이용한 의식하 진정과 필은 진정의 임상 적용이 증가함에 따라 수술실 또는 진료실 환경이 아산화질소로 오염될 수 있다. 비록 낮은 농도일지라도 장기간 아산화질소에 노출 시 자연유산의 증가, 기형아 출산 증가, 말초신경염 및 운동신경 장애 등과 같은 부작용을 초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호흡시 흡입 공기의 구성성분의 변화를 줄 수 있는 구강 입구로부터 반경 12 inch 이내 영역인 호흡대역(Breathing zone)에서 아산화질소 농도는 치료자에게 영향을 주게된다. 소아 환자에게 주로 적용되는 깊은 진정시는 환자의 구호흡양에 따라서 호흡대역에서 아산화질소의 농도에 영향을 주게되므로, 깊은 진정시 구호흡의 증가 원인을 규명하기 위해 잉여가스 배출 방법을 달리하여 호흡대역에서 아산화질소 농도를 측정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깊은 진정을 시행하는 경우 호흡대역에서 아산화질소의 농도는 공급 가스량 증가에 의한 비기도 저항 증가에 따라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호흡대역에서 아산화질소 농도 증가는 구호흡 증가에 의한 것이며 구호흡은 비기도 저항과 관계가 있다 할 수 있다. 즉 비기도 저항 증가는 구호흡의 한 요인이라 할 수 있다. 음압을 사용한 호기가스 배출장치를 사용하여도 NIOSH에서 권장하는 허용치에는 미치지 못하였고 이를 위해서는 팬이나 다른 제거 장치가 함께 사용되어야 한다. 2. 구강편도의 크기는 기도 저항이 적은 경우 즉 음압을 사용하여 호기가스 제거하는 경우 구호흡에 영향을 주었다.

  • PDF

치과진료실 감염 예방에 관한 치과위생사의 지식 및 태도 연구 (A study on the knowledge and attitude of dental hygienists for infection control in dental clinic)

  • 정미경;이지영;강용주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0권5호
    • /
    • pp.935-945
    • /
    • 2010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knowledge of dental hygienists on infection control in dental office and their attitude toward that in a bid to provide some information on ways of enhancing the level of infection control in dental office. Methods :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20 dental hygienists who worked in dental hospitals and clinics in Busan and South Gyeongsang Province. A survey was conducted from May 17 to June 17, 2010, and the answer sheets from 183 respondents were analyzed with a SPSS WIN 12.0 program. Statistical data on frequency, percentage and mean were obtained, and t-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one-way ANOVA were utilized. Results : They got a mean of $4.59{\pm}.68$ in six categories of infection control knowledge. They had the best knowledge on dental waste disposal, followed by hand washing, post-sterilization management, instrument disinfection and sterilization, surface management of dental equipment and wearing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They got a mean of $3.99{\pm}.54$ in attitude, and they scored lowest in practice of surface management of dental equipment. Overall, they scored higher in every aspect of knowledge than in attitude(t=11.410, p=.0.000). There was the greatest gap between their knowledge and practice in surface management of dental equipment (t=13.885, p=0.000), and there was the smallest gap between their knowledge and practice in hand washing(t=5.460, p=0.000). And a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knowledge and attitude, as better knowledge of infection control led to better attitude toward that(p<.001). Finally, concerning infection control knowledge and attitude by general characteristics, the presence or absence of infection control guidelines made differences to infection control knowledge, and infection control attitud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infection control education experiences(t=6.501, p=.012)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infection control guidelines(t=22.836, p=.000). Conclusions : In order to bolster infection control in dental office, the related system should be improved to legally require dental personnels to implement infection control. Every dental office must be furnished with infection control guidelines, and sustained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for dental hygienists to carry out infection control.

부유 상태와 바이오필름 상태에서 Mutans streptococci의 Erythrosine에 대한 감수성 평가 (Susceptibility of Mutans streptococci in the Planktonic and Biofilm State to Erythrosine)

  • 공정은;서현우;이시영;박호원;이주현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135-138
    • /
    • 2019
  • 이 연구의 목적은 부유 및 바이오필름 상태의 Mutans streptococci에서 치태와 치석 착색제로 치과 진료실에서 사용하는 식용색소인 에리스로신에 대한 감수성을 조사하는 것이다. 세균은 호기성 조건에 배양하였고, 에리스로신은 $0.02-10000{\mu}g/L$의 농도로 희석하였다. 부유 상태 S. mutans의 최소 억제 농도(MIC)와 최소 살균 농도(MBC)를 측정하였다. 세균을 배양하여 바이오필름을 형성한 후, 최소 바이오필름 억제 농도(MBIC) 및 최소 바이오필름 박멸 농도(MBEC)를 측정하였다. MIC와 MBC는 $19.5{\mu}g/L$로 동일하게 측정되었으며 따라서 에리스로신은 부유 상태의 S. mutans에 대해 살균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MBIC, MBEC 값은 각각 $313{\mu}g/L$, $2500{\mu}g/L$로 측정되었다. 측정된 MIC, MBC, MBIC는 실제로 치과에서 사용되는 농도에 비해 낮은 값이며 따라서 인체에 무해한 농도에서 S. mutans를 억제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치과용 지르코니아의 광학적 성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에 대한 문헌고찰 (Review on factors affecting the optical properties of dental zirconia)

  • 박찬호;고경호;박찬진;조리라;허윤혁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7권4호
    • /
    • pp.177-185
    • /
    • 2021
  • 기존의 3 mol%의 이트라아(Y2O3)로 안정화된 정방정 지르코니아(3 mol% yttria stabilized tetragonal zirconia polycrystal, 3Y-TZP) 뿐만 아니라 이트리아 함량이 증가된 반투명 지르코니아(translucent zirconia)를 이용한 단일구조 지르코니아 보철물의 사용이 증가하면서 치과용 지르코니아의 광학적 성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트리아 함량, 보철물 두께, 소결과정, 연마 및 광택소성 그리고 치과용 시멘트 등과 같은 치과기공실 및 진료실 과정의 처리 방법에 따라 치과용 지르코니아의 광학적 효과가 다르게 나타난다. 이트리아 농도의 증가는 반투명도의 개선과 동시에 차폐효과의 감소를 유발할 수 있으며 수복물 두께가 증가할수록 반투명도는 감소하지만 지르코니아 블록의 물성에 따라 요구되는 두께가 다르므로 주의해야 한다. 고속소결 방식은 제작시간을 단축시키나 경우에 따라 보철물의 반투명도가 감소할 수 있다. 지르코니아의 표면거칠기 및 광택소성 처리에 따라 광학적 결과도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적절한 유색 시멘트의 사용은 지르코니아의 차폐효과에 도움이 되어 보다 자연스러운 보철치료가 가능하다.

웹뷰어를 이용한 기공실과 진료실 측 간의 보철물 설계 형태의 공유: 증례 보고 (Web viewer for sharing of prosthesis design between laboratory and clinic: Case report)

  • 장성원;이호진;김소연;이두형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60권3호
    • /
    • pp.276-282
    • /
    • 2022
  • 성공적인 보철 수복물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치과의사와 치과기공사 간의 긴밀한 의사소통은 중요한 요소이다. 치과기공사와 의견 교환은 주로 기공의뢰서와 사진촬영의 형태로 이루어져 왔으나 정보 전달이 제한될 수 있다고 보고되었다. 현재는 디지털 기술에 기반을 둔 보철물 제작이 일반화됨에 따라 영상 객체를 웹상에 저장하고 모바일 브라우저를 통해 손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CAD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보철물을 설계하고 웹뷰어를 통해 치과의사와 설계된 보철물을 검토하여 보철물의 설계를 개선한 증례들을 소개한다. 본 프로토콜을 통해 교합면 및 치관 형태, 대합치 치료, 치은측 치간 공극의 크기, 가공치 하방 형태 등을 개선할 수 있었다. 이러한 웹뷰어를 통한 보철물 설계를 3차원적으로 치과의사와 공유하고 토의하여 수정하는 과정은 구강내 조건의 다양성과 개별화된 요구를 반영하는 데 기여하여 기능적이고 심미적인 보철물을 제작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조립식 교합 평면 인기 장치 POP (PNUD Occlusal Plane) Bow 시스템을 이용한 3D 프린팅 CAD-CAM 의치치료 증례 (Treatment of upper and lower 3D printing CAD-CAM dentures using the POP (PNUD Occlusal Plane) Bow system, a prefabricated occlusal plane transfer device: A case report)

  • 이설화;정창모;윤미정;허중보;이소현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61권1호
    • /
    • pp.44-54
    • /
    • 2023
  • 기능적이고 심미적인 보철물을 제작하기 위해서 환자의 교합평면에 관한 정보를 정확하게 전달하는 과정은 필수적이다. 특히, 완전 무치악 환자의 경우 교합평면은 의치가 연조직을 올바르게 지지하고 안모와 심미적 조화를 이루며 제대로 된 발음을 할 수 있도록 중요한 기준을 제시하고, 안정적인 저작작용을 위한 균형 있는 교합관계를 형성하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전통적으로 환자의 악간 관계와 교합평면에 대한 정보를 진료실에서 기공실로 전달하기 위해 교합기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다양한 안궁(facebow) 시스템을 이용하였으나, CAD 상으로 이를 옮기는 과정에서는 여러 한계점이 있었다. 이 과정을 단순화하기 위하여 최근 조립식의 POP(PNUD Occlusal Plane) Bow system이 개발되었다. 본 증례에서는 완전 무치악 환자의 치료 과정에서 POP Bow system을 적용하여 환자의 교합평면 정보가 잘 반영된 CAD-CAM(Computer-aided design-computer-aided manufacturing) 치료 의치를 제작하였고, 심미적이고 기능적인 만족도를 얻을 수 있었다.

치과 진료실 감염예방 실천도의 관련요인 분석 (치과위생사를 중심으로) (Analysis on Relevant Factors in Practice of Prevention for Infections in Dental Clinics - (Focusing on Dental Hygienists))

  • 남영신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189-198
    • /
    • 2008
  • 치과위생사가 치과 진료실에서 감염예방 실천도의 관련 요인을 파악하여 치과위생사의 감염예방 실천도 제고를 위한 기초 자료로 제공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대상은 2005년 10월과 11월에 인천경기도회와 서울시회 보수교육에 참여한 치과위생사 168명으로 하였으며, 감염예방에 관한 설문조사를 자기기입방식으로 시행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일반적 특성과 실천도 분석 결과, 연령(F=3.237, p=0.024)과 근무 경력(F=3.333, p=0.021)에서 유의한 실천도 점수의 차이가 있었다. 2. 일반적 특성과 교육경험 여부는 근무처(X=19.823, p=0.001)에 따라, 지식도는 연령(F=4.895, p=0.003)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3. 감염예방 교육경험이 있는 경우가 경험이 없는 경우에 비해 감염예방 실천도 점수가 높았다(t=3.315, p=0.001). 4. 지식도와 실천도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 < 0.05). 5. 감염예방 교육경험에 따른 지식도 분석 결과, 교육경험이 있는 경우가 지식도 점수가 높게 나타났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t=1.336, p=0.183). 6. 조직관련요인과 실천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p < 0.01). 7. 감염예방 실천도의 관련요인 분석 결과에서는 조직관련요인이 높을수록 지식도가 높을수록 교육경험이 많을수록 근무경력이 많을수록 감염예방 실천도가 높게 나타났다.($R^2=0.32$). 위의 분석 결과 치과위생사의 감염예방 실천도 제고를 위해서는 학교의 교육과정에 감염 예방에 대한 내용을 다루어 치위생과 학생들의 감염예방 지식도를 높이고, 학교 졸업 후에도 근무병원 자체교육과 보수교육 등을 통한 지속적인 교육과 홍보를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해야하며, 가장 중요한 것은 치과위생사들이 스스로에게 안전한 근무 환경을 조성하도록 조직의 적극적인 노력과 관심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아동의 하악골에 발생한 복합 치아종의 외과적 처치에 관한 증례보고 (DIFFERENT WAYS OF SURGICAL MANAGEMENT FOR CHILDREN WITH CONFOUND ODONTOMA IN THE MANDIBLE)

  • 정우성;최영철;이긍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499-506
    • /
    • 1999
  • 악골에서 비교적 흔한 빈도로 발생하는 치아종은 치배조직의 과성장으로 인하여 발생한다. 세계보건기구에서는 치아종을 복잡 치아종과 복합 치아종으로 구분하고 있다. 치아종은 악골내 모든 부위에서 발생할 수 있지만 치아와 유사한 복합 치아종은 비교적 상악 전치부에 호발하고, 불규칙한 형태를 나타내는 복잡 치아종은 하악 구치부에 호발한다. 치아종의 원인은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으며 치배에 대한 국소적인 외상이나 감염이 주된 요인으로 추측되고 있고, 최근에는 유전적인 원인에 대해서도 연구되고 있으나 아직 확실히 입증되지는 않고 있다. 일반적인 증상이 없기 때문에 일상적인 방사선 검사에서 주로 발견되고 영구치의 맹출지연이나 유치의 만기잔존 등의 증상이 있을 수 있다. 치아종은 구강내의 어떤 부위에서도 발생이 가능하고 드물기는 하지만 상악동, 하악의 하연, 하악지 및 하악과두 하방에서 발견되기도 하며, 이공 부위에서 발생되는 경우도 있다. 치아종은 발육중인 치열과 악궁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발견되는 즉시 낭포 및 주위 연조직을 함께 외과적으로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환자의 연령과 치과치료에 대한 협조도, 영구치열의 발육상태, 치아종의 악골내 위치 및 동시적인 치과치료가 요구되는 가를 고려하여 외래 진료실에서 하는 경우도 있고 전신마취를 통하여 하는 경우도 있다. 본 증례는 치아종의 악골내 위치가 깊지 않고 치과치료에 대한 협조도가 양호하다고 판단되는 환아에서는 외래 진료실에서 국소마취하에 수술하여 치료하였고, 연령이 어리고 치아종의 악골내 위치가 깊어 장시간의 시술 시간이 요구되고 동시에 보존적인 치과치료가 필요한 환아에서는 전신마취하에 치료한 것을 보고한 것이다. 두 증례에서 수술 4개월 후 외과적 결손 부위에 골이 형성되었고, 매복된 영구치의 맹출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