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진동-음향 특성

검색결과 479건 처리시간 0.019초

자동차 차실소음 해석을 위한 전용 프로그램의 개발 (Development of Special Purpose Computer Program for the Analysis of Car Interior Noise)

  • 박동철;강연준;이장무;김석현;김중희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1991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 한국해사기술연구소, 대전; 1 Jun. 1991
    • /
    • pp.57-61
    • /
    • 1991
  • 최근 차량의 고급화에 따라 차실 소음 저감에 대한 연구가 많이 수행되고 있다. 차실의 소음은 주로 엔진 또는 동력전달 장치의 진동과 도로의 요철로 생기는 차체의 진동으로부터 발생된다. 차실에서 20-200Hz의 저주파수대의 소음은 주로 차체 진동과의 연성 효과로 기인한다. 따라서 이 주파수영역에 있어서 소음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차실의 음향 모우드 해석과 차체 구조물의 진동과 차실 음향 모우드의 상호관계를 고려한 구조-음향 연성 해 석이 필요하다. 차실의 음향 모우드 해석을 위해서는 실험적 방법과 유한 요 소법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유한 요소법을 이용하여 음향 특성을 결정하 는 경우, 큰 어려움은 없으나 밀폐된 공동에서 경계면을 이루는 구조물의 진 동에 의해 음이 발생되는 경우 단순히 공간의 음향 특성만으로는 음향 응답 을 예측할 수 없게 된다. 즉, 경계면에서 반사되는 반사파는 경계면의 탄성 변위에 의해 운동 특성이 변화되어 반사되므로 입사파와 다른 특성을 가지 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구조 진동 특성과 음향 특성을 모두 고려한 연성 해 석을 수행하여야 하며, 음향 모우드와 구조 진동 모우드와의 연성에 의한 음 향 응답 특성을 결정하기 위한 수치 해석 프로그램을 개발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전.후 처리 및 사용자 편의성을 염두에 두고 차실소음해석 전용 프로그램(ACSTAP: Acoustical and structural, coupling analysis program) 을 작성하고 이를 실차에 적용하여 유용성을 보였다.

  • PDF

핸드폰 용 마이크로스피커 전산해석 (Hybrid computational analysis of microspeaker for mobile phone)

  • 박석태
    • 한국음향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음향학회 2004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논문집 제23권 2호
    • /
    • pp.495-498
    • /
    • 2004
  • 핸드폰등에 사용되고 있는 마이크로스피커를 개발하는 과정에서 마이크로스피커의 진동특성과 음향특성 을 전산해석하였다. 해석과정에서 기초 데이터를 얻기 위하여 하이브리드 방법을 이용하여 각 부품들의 제원 및 마이크로스피커 모델링을 위한 매개변수들을 규명하였다. 전산 해석 결과와 측정한 전기 임피던스 및 음향 응답특성은 잘 일치함을 보였다. 또한, 진동특성을 분석하여 각 주파수에서의 다이아프램의 변위등 진동특성을 분석하여 다이아프램등의 형상에 따른 이상 진동현상 등을 파악할 수 있었다. 전산해석 방법을 이용하면 최적 음향특성을 위한 마이크로스피커의 다이아프램 형상 및 전자기 회로 개선에 사용할 가능성을 알 수 있었다.

  • PDF

구조-음향 연성 평판 구조물의 음향전달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ound Transmission Properties of Sound-Structure Interaction Plate Structure)

  • 오재응;이동익;조준호;송재은;도중석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1995년도 추계학술대회논문집; 한국종합전시장, 24 Nov. 1995
    • /
    • pp.56-61
    • /
    • 1995
  • 많은 공학자들은 기계 재료의 종류 및 형태에 따른 정적, 동적 특성 연구를 수행해 왔다. 특히 산업적으로 그 활용도가 높은 평판 재료에 대한 진동 특성 연구는 많이 이루어졌다. 최근에는 진동 특성을 해석하는 방법도 부분구조합성법, 감도해석법 등의 방법으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한편 평판의 진동이 공기와 같은 매질로 상호 작용을 하며, 막힘이 없는 공간으로 음향을 방사하는 현상에 대한 연구도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평판 재료를 사용하여 기계 구조물을 제작하는 경우 많은 경우에 구조물간 결합에 의해 폐공간이 형성되고 이러한 폐공간에 의해 평판의 진동이 구조-음향 연성 현상이 발생되고, 이에 따라 평판의 진동 특성도 달라지게 된다. 이러한 구조-음향 연성에 대한 연구는 1978년 Wayne B.McDonald와 C.Kearney Barton, 1979년 R.Vaicatis에 의해 폐공간 내로의 음향 전달 현상을 연구하며 이루어졌다. 최근에 연구 동향은 이장명의 FEM과 BEM을 이용한 폐공간 내로의 음향 전달 현상을 연구하였고, V.B.Bokil에 의해 구조-음향 연성된 평판의 모드 해석 방법이 연구되었다. 한편 V.Martin에 의해 능동 소음 제어의 모델링을 좀더 정확히 하기 위해 구조 연성계를 고려한 연구도 수행되었다. 연구 결과 구조-음향 연성에 의한 평판의 고유진동수 변화를 구하였고 이 때에 경계조건을 만족하는 직교다항식을 이용한 Rayleigh-Ritz 방법을 이용하였다. 또한 이러한 해석은 실험과도 매우 잘 일치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바주카 스피커의 음향특성 (Acoustic characteristics of the BAZOOKA SPEAKER)

  • 김준태;최주영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1995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 전남대학교, 19 May 1995
    • /
    • pp.202-207
    • /
    • 1995
  • BAZOOKA SPEAKER에 대한 음향특성연구와 중저음 특성강화를 위한 설계인자 변경해석을 위하여 유한요소법과 경계요소법을 사용한 수치해석을 수행하였고, 그 해석결과의 검증과 흡음물성치 산출을 위하여 음향측정실험, 구조물의 동특성실험등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내부공간의 음향모드특성, 외부음장에서의 주파수응답특성, 방사패턴, 그리고 음압의 공간 분포특성과 구조물의 동특성을 명확히 규명하였고, 각 음향설계인자 변경에 따른 음향특성을 예측하여 중저음특성강화를 위한 방안을 수립하였다.

  • PDF

BOOMING 소음 저감을 위한 구조-음향의 연성해석과 차체구조 변경 (Structural-Acoustic Coupling Analysis and Structural Modification for the Reduction of Booming Noise)

  • 성명호;임차섭;정기섭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1994년도 추계학술대회논문집; 한국종합전시장, 18 Nov. 1994
    • /
    • pp.282-287
    • /
    • 1994
  • 본 연구에서는 연구대상 차량의 소음저감 방안을 마련하기 위하여 차체의 진동 및 차실의 음향 특성해석, 연성해석을 수행하였다. 차실 음향특성을 나타내는 음향모드는 유한요소 해석으로부터 결정하였다. 이때 해석결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음향모드를 측정, 수치해석결과와 비교하였다. 차실소음의 가진 특성을 갖는 차체의 진동특성은 모드시험을 통해서 결정하였다. 결정된 이들 모드들의 연성해석은 연성해석 전용 컴퓨터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수행하였고, 그 결과를 소음실험 결과와 비교하여 Booming 소음에 기여가 큰 차체 panel부위를 결정하였다. 기여가 큰 panel의 진동특성 변경시 소음효과를 측정하여 구조변경 방안을 검토하였다.

  • PDF

음향블럭의 흡음특성 (Absorption Characteristic of Sound Block)

  • 김연수;김옥희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1994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 영남대학교, 20 May 1994
    • /
    • pp.195-200
    • /
    • 1994
  • 과학문명의 발달은 지구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서로 달라도 환경파괴라는 대가를 치르면서 발전하여 왔다. 환경문제는 수질오염, 대기오염, 폐기물 및 소음진동이 있다. 이중에서 소음진동과 관련된 환경문제는 도시가 커지고 기계문명이 발달하면서 심각성은 더해가고 있다. 환경소음중 주거생활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교통소음, 공장소음에 대하여 일반적인 성분을 파악하였다. 조사시 소음레벨보다는 주파수 분석에 의한 특성을 중시하였으며, 주파수 분석 결과에 따라 저주파 대역 및 고주파 대역으로 분류하였다. 음향블럭은 시멘트 블럭을 가공하여 제작한 것으로 일정한 크기의 홈이 있다. 음향블럭의 음향특성은 이 홈에 따라 달라지는 것이 일반적인 특성인데 본 연구에서는 동일한 음향블럭에 대하여 설치방법 및 흡음재 사용에 따라 달라지는 음향 특성에 대하여 실험결과와 적용방법을 제시하였다.

  • PDF

소나 음향센서의 진동유기 소음 차단 특성에 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analysis of vibration-induced noise isolation characteristics of a sonar acoustic sensor)

  • 김경섭;제엽;김호준;조요한;이정민;김동현;장우석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93-199
    • /
    • 2019
  • 본 논문에서는 선체부착형 음향센서의 플랫폼 진동유기 소음 차단 특성을 확인하기 위한 수중 진동 실험을 수행하고 결과를 분석하였다. 음향수조 환경에서 음향센서가 설치된 선체모사구조물과 가진기를 이용하여 플랫폼 진동유기 소음 조건을 구현하였고, 선체모사구조물 및 음향센서에 설치된 표준 가속도계와 음향센서의 출력신호 측정을 통해 음향센서의 진동차단율, 삽입손실 및 진동민감도와 같은 성능지수를 산출하였다. 산출된 성능지수 결과를 토대로 음향센서의 주파수별 소음 차단 특성을 분석하고 실험 기법의 유효성을 검토하였다.

진동판의 재질에 따른 마이크로스피커의 음향특성연구 (Studying Acoustical Properties of Micro-Speaker as a Function of Diaphragm Material)

  • 오세진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222-228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마이크로스피커에 사용되는 진동판의 재질에 따른 음향특성을 연구하였다. 진동판의 재료가 달라지면 영률과 밀도가 바뀌게 되고, 그로 인하여 재질에 따라서 음속과 스티프니스 값이 변하게 된다. 그 결과로써, 공명진동 수는 PEl, PPS, PET, PEN의 순서로 점차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이론적으로 예측된 결과와 정확히 일치하였다. 진동판의 재질은 저음으로부터 최저공명진동수 ($f_s$)까지 음압이 증가하는 변화율이나 최고한계공명진동수 ($f_h$)에는 영향을 주지 않았다. 그러나 임피던스 특성에서 얻어진 공명진동수가 낮은 재질의 순서대로 저음영역이 강하게 나타났다.

표면연소기의 연소진동음에 관한 연구 (1) 음향모드 (A Study on Combustion-driven Oscillation in a Surface Burner-(1) Acoustic mode)

  • 김성근;한희갑;권영필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1998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 용평리조트 타워콘도, 21-22 May 1998
    • /
    • pp.498-503
    • /
    • 1998
  • 본 연구는 밀폐형 표면연소기의 모드해석 및 주파수특성의 실험을 통해 음향모드의 발생기구 및 발생조건을 구하기 위한 것이다. 연소장치의 치수변화와 부하, 당량비 등의 변화에 따른 진동특성의 변화를 실험하고 모드해석에 의한 예측결과와 비교고찰하여 음향모드의 특성을 밝혔다.

  • PDF

구조물의 고유특성 제어를 통한 방사 소음 저감 (Reduction of Radiated Noise by Eigen-property Control)

  • 최성훈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376-382
    • /
    • 2004
  • 구조물의 의해 방사되는 음향파워는 구조물의 진동특성에 의해 결정된다. 방사소음을 저감하는 가장 간단명료한 방법으로는 구조물의 진동을 최소화하는 방법이 있다. 하지만 구조물의 진동모드 각각은 방사효율이 다르기 때문에 이를 고려하여 진동모드를 제어하면 효율적으로 방사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피드포워드 제어를 적용하여 구조물의 고유특성을 변화시켜 진동 모드의 방사효율을 저감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단순지지 빔에 대한수치모사를 통해 진동모드의 체적속도를 최소화하는 제어 변수를 결정하였고, 이러한 제어를 적용하면 저주파 영역에서 방사소음을 크게 줄일 수 있다는 것을 보여 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