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진동 촉각

Search Result 65, Processing Time 0.043 seconds

Development of Touch-Conversion Device of Heartbeat for Deaf Parents in Fetal Ultrasonography (청각장애 산모의 태아 초음파 심장박동 촉각 변환 시스템 개발)

  • Chu, Jihye;Choi, Daso;Choi, Yujin;Heo, Dahyeong;Lee, Ho-Seop;Seoung, Youlhu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2.11a
    • /
    • pp.997-999
    • /
    • 2022
  • 아기의 심장 박동 소리를 듣지 못하는 청각 장애 부모를 위한 태아 초음파 심장박동 촉각 변환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본 시스템은 아기의 심장박동 소리를 USB 마이크를 이용하여 소릿값을 입력받아 이에 대응하는 값을 진동 모터의 진동 출력 세기와 LED 밝기의 세기로 출력시키도록 하였다. 아기의 심장박동 느낌을 진동으로 표현해 내기 위해 진동의 샘플링 주기를 구체적인 수치로 조절하였고 산모에 따라 진동의 세기와 주변 잡음 제거를 할 수 있도록 조절하는 가변저항 2개를 연결하였다. 그 결과 태아 초음파 심장박동 촉각 변환 시스템을 성공적으로 개발하였으며 장치 체험자들로부터 총 평균 4.63점으로 높은 만족도를 얻었다. 개발 제품은 청각장애 산모들의 모성애를 충족시키고 아기의 심장박동을 느낌으로써 아기의 존재를 느낄 수 있을 것이며, 산부인과의 초음파 영상진단의 확장 신기술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Multiple Vibration Signal Feedback for Mobile Devices (모바일 기기에서의 다중 진도 신호 피드백)

  • Yoo, Yongjae;Hwang, Inwook;Seo, Jongman;Choi, Seungmoon
    • Smart Media Journal
    • /
    • v.1 no.4
    • /
    • pp.8-17
    • /
    • 2012
  • In this paper, we introduce the appoaches that aim to improve user experience in mobile device by the use of multiple vibration signal feedback, conducted by Haptics and Virtual Reality laboratory at POSTECH. We introduce current progresses of our 'Vibrotactile flow using multiple vibration actuators' and 'Real-time dual-channel haptic music player.' The 'Vibrotactile flow using multiple vibration actuators' produces vibrotactile flow sensations by using multiple actuators and that improves the information transfer on mobile devices. The 'Real-time dual-channel haptic music player' generates vibrotactile sensation by transforming auditory signal, which improves the user experience of mobile devices. These approaches can be good examples to fulfill the demands of better information transfer capability and user experience on mobile devices.

  • PDF

Touch Variation due to Vibration (미세 진동에 따른 촉감의 변화)

  • 박연규;강대임;양희선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1999.11a
    • /
    • pp.379-382
    • /
    • 1999
  • 본 논문에서는 촉각의 효과적인 제시를 위한 하나의 보조수단으로 진동의 제시를 상정하고, 이를 위한 사전작업으로 진동에 따른 촉감의 변화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진동 제시 장치를 제작하였고, 진동에 의한 촉감의 효율적인 평가를 위하여 손가락을 제외한 다른 경로로의 진동 전달 및 소음 전달을 차단하고자 하였다. 또한, 진동과 관련된 물리량으로 주파수와 진폭을 결정하였으며 이를 정량화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이 진동에 의한 촉감의 미세조정과 관련된 것임을 고려하여 주관 평가 시 진동의 제시는 각 주파수별로 진동에 의한 촉감의 변화가 발생하는 기준 진폭으로 하였다. 주관 평과 결과, 주파수가 증가할수록 더 매끄럽게 느끼며 그 감각이 분명해 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The Frequency Effect in the Somatosensory Cortex Response to Vibrotactile Stimulator in fMRI (기능적 자기공명영상에서 진동자의 자극 주파수가 감각피질의 반응에 미치는 영향)

  • Lee Hyunsook
    • Progress in Medical Physics
    • /
    • v.15 no.3
    • /
    • pp.128-133
    • /
    • 2004
  • The fMRI response of the somatosensory cortex was investigated with vibrotactile stimulation. Three different frequencies of 8, 15, or 25 Hz were applied in order to mainly focus on the hemodynamic response of Meissner corpuscles sensitive to frequencies of 5-40 Hz. A closed-system, pneumatically-driven, rubber diaphragm was fabricated that overcame many of the limitations of existing vibrotactile devices and produced robust sensory cortex activation in an fMRI experiment. Increasing frequency vs. activation area was analyzed in terms of signal percent change and number of pixels. Our preliminary results indicated that the distribution of the signal percentage change widened and more activated pixels were obtained with higher frequencies.

  • PDF

Tactile Transceiver for Fingertip Motion Recognition and Texture Generation (손끝 움직임 인식과 질감 표현이 가능한 촉각정보 입출력장치)

  • Youn, Sechan;Cho, Young-Ho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B
    • /
    • v.37 no.6
    • /
    • pp.545-550
    • /
    • 2013
  • We present a tactile information transceiver using a friction-tunable slider-pad. While previous tactile information devices were focused on either input or output functions, the present device offers lateral position/vertical direction detection and texture expression. In characterizing the tactile input performance, we measured the capacitance change due to the displacement of the slider-pad. The measured difference for a z-axis click was 0.146 nF/$40{\mu}m$ when the x-y axis navigation showed 0.09 nF/$750{\mu}m$ difference. In characterizing the texture expression, we measured the lateral force due to a normal load. We applied a voltage between parallel electrodes to induce electrostatic attraction in DC and AC voltages. We measured the friction under identical fingertip action conditions, and obtained friction in the range of 32-152 mN and lateral vibration in the force range of 128.1 mN at 60 V, 2 Hz. The proposed device can be applied to integrated tactile interface devices for mobile appliances.

Analysis of power consumption on mobile phones for efficient user interface (효율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계를 위한 휴대폰 전력 분석)

  • Choi, Hong-Jun;Son, Dong-Oh;Kim, Cheol-H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0.06b
    • /
    • pp.308-312
    • /
    • 2010
  • 휴대폰 시장은 전세계 보급률이 2007년에 75%정도를 차지할 만큼 거대하다. 이러한 휴대폰 시장은 개발도상국에서의 규모 확대와 선진국의 Second Phone 경향의 증가로 인해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이제 휴대폰은 더 이상 단순한 전화기를 벗어나 통합멀티미디어화 되어가는 추세이다. 휴대폰이 통합멀티미디어 제품으로 변모함에 따라 다양한 기능을 탑재한 차세대 제품을 설계해야 하는 연구자들은 여러 요인들을 고려해야 하는데 그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요인이 바로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배터리 수명이다. 휴대폰의 통합멀티미디어화는 다양한 기능과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지만 이로 인해, 배터리 수명은 줄어들었다. 전력소모가 많은 휴대폰의 기능을 제한하는 방안을 사용한다면 배터리 수명은 증가하겠으나, 이는 높아져 가는 소비자의 요구를 만족 시킬 수 없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음향적 기능과 촉각적 기능을 사용하였을 때 소모되는 전력 패턴을 분석하고자 한다. 본 논문의 실험은 벨소리(음향적 기능)의 박자별 전력 소모량과 진동(촉각적 기능)의 주기에 따른 전력 소모량, 그리고 진동벨(음향적 기능 + 촉각적 기능)은 벨소리를 포함한 진동의 길이와 주기에 따른 전력량을 측정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전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인스펙터를 사용하였고 측정 휴대폰은 삼성전자의 SCH-W550 모델을 이용해서 실험을 하였다. 실험결과, 본 논문에서 실험한 세 가지 방법 중에서 진동벨을 이용할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계에 보다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다.

  • PDF

Vibro-tactile Actuator for Smart Wear Applications Using Piezoelectric Ceramic Transducers (압전 세라믹을 이용한 스마트 웨어용 진동-촉각 액추에이터)

  • Sohn, Jung Woo;Gang, Han Gyeol;Choi, Seung Bok;Kim, Gi-Woo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 /
    • v.26 no.7
    • /
    • pp.881-887
    • /
    • 2016
  • In this study, the vibration-based tactile actuator for smart wear applications is presented by using piezoelectric ceramic transducers. The compact wireless actuation system is constructed with a high voltage piezoelectric amplifier, a microcontroller,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nd rechargeable lithium-polymer battery. For the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a hardware and an operator, the bluetooth-base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s prepared and the user interface is provided via smart phone applications. From a series of experimental user studies, it is demonstrated that the proposed vibro-tactile actuator based on piezoelectric ceramic transducers can be effectively applied to smart wear applications.

Interactive Mobile Augmented Reality System Using a Vibro-Tactile Pad (진동-촉감 패드를 이용한 상호작용형 모바일 증강현실 시스템)

  • Jin, Moon-Sub;Seo, Byung-Kuk;Park, Jong-I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1.11a
    • /
    • pp.285-287
    • /
    • 2011
  • 최근 증강현실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다양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특히, 스마트폰과 같이 고성능 모바일 장치가 대중화됨에 따라 모바일 플랫폼 기반의 증강현실 어플리케이션이 급증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 플랫폼 기반의 증강현실을 구현함에 있어 사용자에게 증강된 가상 모델과의 촉각적 상호작용을 제공하기 위한 효과적인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된 시스템은 모바일 환경을 고려하여 손 위에 올려놓을 수 있는 패드 형태의 진동-촉감 전달 장치를 비주얼 마커와 결합하고 마커를 이용해 증강된 가상의 모델의 움직임에 맞춰 촉감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따라서 본 시스템은 증강된 가상 모델에 대한 사용자의 시각적 상호작용과 동시에 촉각적 상호작용을 통해 보다 실재감 있는 증강현실을 제공한다. 본 논문에서는 안드로이드 플랫폼 기반의 모바일 증강현실 시스템에 이를 구현하고 그 유용함을 보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