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진동 시험

Search Result 1,706, Processing Time 0.054 seconds

위성광학탑재체 궤도시험을 위한 진동차단장치

  • Lee, Sang-Hun;Jo, Hyeok-Jin;Seo, Hui-Jun;Mun, Gwi-Won;Choe, Seok-Won
    • Bulletin of the Korean Space Science Society
    • /
    • 2009.10a
    • /
    • pp.46.4-47
    • /
    • 2009
  • 인공위성은 지상에서 설계 제작된 후에 발사체에 탑재되어 궤도에 진입되어 위성에 부여된 고유임무를 수행하게 된다. 위성체가 임무를 수행하는 우주공간은 고진공 환경과 태양 복사열에 의한 고온 환경 및 극저온이 반복되는 가혹한 환경으로 특징지어진다. 때때로 위성체는 이러한 가혹한 우주환경의 영향으로 인해 주요 부품의 기능장애가 초래되기도 하며 이는 결국 임무의 실패로 이어지도 한다. 따라서 고진공과 극저온 환경으로 일컬어지는 우주환경을 지상에서 모사하여 위성체의 안정성 및 신뢰성을 시험하기 위해서 열진공 시험장비를 이용한 열진공시험을 수행한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서는 인공위성의 탑재체인 광학카메라의 국산화 개발을 위하여 우주공간의 고진공과 극저온 상태를 모사할 수 있는 $\varphi4m\timesL10m$ 규모의 광학탑재체 전용 열진공챔버를 국산화 제작하였다. 관측 위성용 광학카메라는 초고정밀 장비로서, 이를 테스트하기 위한 광학탑재체용 진공챔버는 특히 진동환경에 매우 민감한 하여 10-7 grms 이하의 진동레벨을 허용하고 있다. 그러나 진공용기는 지진 및 외부 환경으로부터의 시스템외부진동과 진공펌프 및 기타 장비들로부터의 내부 진동환경에 항상 노출되어 있으며, 가진 주파수가 구조물 자체의 고유진동수와 일치될 경우 공진이 발생하여 시스템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외부 진동 및 챔버 자체 진동이 광학계에 전달되지 않도록 진동차단장치가 필요하다. 이 논문에서는 광학탑재체 궤도환경시험용 챔버에 대한 진동차단장치의 개발 및 활용 예를 논의하고자 한다.

  • PDF

방진고무의 진동특성 해석 및 실험 I

  • 이규섭;이상엽;유춘화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0.10a
    • /
    • pp.27-32
    • /
    • 1990
  • 본고에서는 한국공업규격에서 정하고 있는 고무의 시험방법(공진법, 비공진 법)을 따라 고무의 탄성계수와 손실계수를 측정하고, 이 시험방법에서 발생 할수 있는 시험오차(시편의 질량효과, 비선형성)를 제시함으로써 이후 고무 의 동특성 시험을 위한 procedure의 제정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 PDF

Running Bucket Vibration Test of Steam Turbines (증기 터빈 버킷의 회전 진동 시험)

  • 박종포;신언탁;김호종
    • Journal of KSNVE
    • /
    • v.8 no.2
    • /
    • pp.331-335
    • /
    • 1998
  • A design modification was made on the 9-th stage wheel dovetail of a high-intermediate pressure (HIP) turbine rotor for a fossil power plant that necessitates the use of new long-shank buckets for the row. A bucket vibration test is necessary to verify that the new 9-th stage buckets have adequate frequency margin from a nozzle passing frequency when running at speed. A finite element analysis (FEA) has been performed using a commercial S/W to approximately estimate bucket natural frequencies, and thus to help the vibration test. A row of the new buckets has assembled on the HIP rotor for the vibration tests using dynamic balancing facilities. The tests have been done during deceleration run with air excitation. The test results are compared with the calculation using our empirical formula, and show that the modified design meets the frequency-margin requirements.

  • PDF

Comparison of Standard Procedures for Human Vibration Test and Their Analysis (인체 진동시험 표준절차들에 대한 비교분석)

  • 이현남;정완섭;홍동표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2.05a
    • /
    • pp.764-767
    • /
    • 2002
  • 본 논문은 인체진동 실험을 수행하는 연구자들이 필요한 표준절차를 소개한다. 국내 연구자들의 인체실험에 관한 보건과 안전(health and safety)에 대한 인식이 부족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들을 지적한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인체시험에 관련된 자료들(ISO 13090-1:1998(E)과 ISVR Technical Memorandum)을 비교 분석하여, 인체에 기계적인 진동을 수반하는 실험에 있어서 준수해야 할 실험의 절차들을 자세히 제시한다.

  • PDF

위성체에 발생되는 진동현상과 지상시험

  • 김희대
    • Journal of KSNVE
    • /
    • v.7 no.5
    • /
    • pp.725-728
    • /
    • 1997
  • 본 글에서는 위성체가 겪게 되는 여러 가지 환경 중에서도 특히, 발사체가 이륙되어 천이궤도 진입시까지 위성체에 발생되는 진동 현상과, 이와 같은 발사 환경에 의해 위성체설계에 하자가 없는지를 확인하는 절차로서 지상에서 행해지는 시험의 종류와 방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 PDF

Performance Test of a Rotor Balancing Machine (회전체 밸런싱 장치의 성능 평가 시험)

  • 이영섭;이종원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2.10a
    • /
    • pp.65-70
    • /
    • 1992
  • 오래전부터 회전체 질량의 불균형에 의한 진동을 줄이기 위한 전용 밸런싱 장치와 프로그램이 개발되었다[1-5]. 그런데 밸런싱 장치는 센서로부터 측정 된 진동 신호를 이용하여 밸런싱을 함으로 밸런싱의 반복성과 정밀도 등에 따라 그 장치의 성능을 평가할 수 있으며, 국제 표준기구(ISO)에서도 장치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한 각종 시험 규격들을 제시, 권장하고 있다[6]. 본 연구 에서는 강성 회전체의 밸런싱을 위해 연구실에서 제작한 탄성 베어링 밸런 싱 장치에 대해 ISO 규격에서 제시하는 성능 평가 시험들을 기초로 회전체 밸런싱과 여러가지 시험을 수행하고 장치의 특징과 성능을 알아보고자 한다.

  • PDF

스트레인게이지를 이용한 고속화차 대차프레임의 정하중시험 및 진동가속도 측정시험

  • 홍재성;함영삼;백영남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4.05a
    • /
    • pp.114-114
    • /
    • 2004
  • 주)태양금속에서 고속화차 용접구조형 대차를 채택하여 화차론 제작하였는데 한국철도기술연구원에서는 대차의 구조강도론 검증하기 위해 구조해석을 시행한 후 스트레인게이지를 실재 대차에 장착하여 정하중 시험을 시행하였고 또한 진동가속도계를 차체 및 대차프레임에 장착하여 주행안전성과 관련된 진동성능시험을 시행하였다. 본 논문은 새로 개발된 용접구조형 대차 및 이를 장착한 화차에 대해 대차프레임의 강도 검증과 화차의 안정성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시험을 시행한 결과에 대한 내용이다.(중략)

  • PDF

상용차량 소음진동 시험평가 현황

  • 오양섭
    • Journal of KSNVE
    • /
    • v.8 no.1
    • /
    • pp.45-46
    • /
    • 1998
  • 상용차는 대부분 디젤엔진을 사용하고 있고 비교적 강건한 샤시 프레임 구조로 되어있기 때문에 소음 진동특성이 승용차와 상당히 다르며 빈번하게 발생되는 문제도 차이가 있다. 이런 차이에도 불구하고 소음 진동 시험항목은 승용차와 별반 차이가 없으므로 본고에서는 상용차량에서 중요한 몇가지 평가항목에 대해서만 상세하게 언급하고자 한다.

  • PDF

Analysis of Natural Frequency Change of Foundation Scour Imitation Pier Using FEM (유한요소해석을 이용한 기초세굴모의 교각의 고유진동수 변화분석)

  • Chang, Sung-Hee;Park, Byung-Cheol;Lim, Jong-Hyuk
    • Proceedings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Conference
    • /
    • 2010.04a
    • /
    • pp.183-186
    • /
    • 2010
  • 교각에서의 기초세굴 단계 및 상부구조물의 영향에 따른 진동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교각 시험체를 이용하여 충격진동실험과 Midas FEA ver.2.0를 이용한 유한요소해석을 수행하였다. 기초세굴 모의는 교각시험체 기초 주위의 지반을 단계별로 굴착하였으며, 상부구조물의 영향은 철근콘크리트 블록을 제작하여 교각 시험체 위에 재하하였다. 충격진동실험과 수치해석결과, 강성이 작아지거나 질량이 커질수록 1차 모드 고유진동수도 작아지는 등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대체적으로 충격진동실험으로 구한 1차모드 고유진동수는 수치해석으로 구한 값보다 작은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이는 지반의 강성변화를 수치해석 모델에서 연속적으로 반영하지 못하는 한계로 인해 발생한 오차로 판단된다. 따라서 1차 모드 고유진동수의 변화를 이용한 교각 세굴 건전성 평가를 위한 유한요소해석을 위해서는 지반물성을 보다 잘 모의할 수 있는 기법의 개발이 필요하였다.

  • PDF

대형 내진시험 구조물에 대한 강제진동시험 결과의 예측 및 예측후상관해석

  • 박형기;조양희;윤철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5.05b
    • /
    • pp.1005-1010
    • /
    • 1995
  • 지반-구조물 상호작용해석에 부분구조법의 적용성 확인과 해석법의 개선을 모색하기 위하여, 대만 Hualien지방에 건설한 대형 내진시험 구조물의 뒷채움후 강제진동시험 결과를 부분구조법으로 예측하고 예측후상관해석을 수행하였다. 모델로서는 재료시험과 지반조사 결과로 작성된 통일모델과 예측후상관해석모델을 사용하였으며, 해석은 진동 수영역과 시간영역에서 각각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로 깊이 묻힌 구조물의 경우는 구조물이 묻힌 측면지반의 영향인 수평병진과 수평축회전의 연계 임피던스함수에 대한 적절한 평가와 해석시에 반드시 고려되어야함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