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진동 및 충격의 인체 영향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4초

차량산업에서의 인체진동

  • 장한기
    • 소음진동
    • /
    • 제12권2호
    • /
    • pp.113-119
    • /
    • 2002
  • ‘인체진동(human vibration)’은 진동에 대한 인체의 반응(human response to vibration)의 줄임말로써, 환경으로서의 진동 및 충격이 인체에 미치는 물리적, 심리적 영향을 측정, 평가하는 것을 주요 연구대상으로 한다. 인체진동 분야의 주요 연구개발은 객관적인 물리량의 산출뿐만 아니라 주관적인 느낌을 수치화하는 작업을 포함하기 때문에 기계진동, 생체역학(biodynamics)과 기본적인 역학과 심리측정학(psychometrics), 심리물리학(psychophysics), 인간공학(ergonomics) 등과 같이 다양한 종류의 학문이 요구된다.(중략)

전신 피폭 진동 및 반복 충격에 의한 위함 예측 표준 방안들의 비교 분석 (Comparison and Analysis of Standardised Methods for Predicting the Hazards of Whole-body Vibration and Repeated Shocks)

  • 정완섭;박용화
    • 소음진동
    • /
    • 제10권1호
    • /
    • pp.160-167
    • /
    • 2000
  • This paper addresses issues encountered in using the ISO and national standard codes to assess the hazards of whole-body vibration and repeat shocks. Their assessment methods are given in ISO 2631-1 (1974, 1985, 1997) and BS 6841 (1987) that are now available to us. Two standard codes can yield unfortunately different assessment results even for a single measured vibration signal. Possible reasons for such different results are pointed out and, furthermore, related questions that should be re-examined in the future are raised in this paper.

  • PDF

인체 진동소음의 인체영향에 대한 국내외 기술조사 : 인체 진동 (investigation on Human Effects of Vibration and Noise Exposed on Human: I. Human Vibration)

  • 정완섭;권휴상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대회논문집 II
    • /
    • pp.691-694
    • /
    • 2001
  • The recent national contract (Ecotechnopia 21) support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puts much significance on new issues for the assessment of human effects arising from vibration and noise exposed to human. This paper focuses only on hand-arm vibration since it has been a major problem in protecting vibration exposure to human. To set up a systematic way of assessing adverse effects of hand-arm vibration, surveys were made on recent international standards and researches related to hand-arm vibration. The measurement and evaluation methods of hand-arm transmitted vibra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vibration exposure and effects on health, and the assessment methods of nerve dysfunctions are addressed in this paper. Those methods are linked into a logical way of assessing effects of hand-arm vibration on human. Finally, the current activities and achievements in this work are briefly summarised.

  • PDF

수완계 진동에 대한 인체 영향 평가 기법의 비교 분석 (Comparison and Analysis on the Assessment Methods of Human Effects of Hand-arm Vibration)

  • 정완섭;권휴상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대회논문집 II
    • /
    • pp.1361-1364
    • /
    • 2001
  • The recent national contract (Ecotechnopia 21) support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puts much significance on new issues for the assessment of human effects arising from vibration and noise exposed to human. This paper focuses only on hand-arm vibration since it has been a major problem in protecting vibration exposure to human. To set up a systematic way of assessing adverse effects of hand-arm vibration, surveys were made on recent international standards and researches related to hand-arm vibration. The measurement and evaluation methods of hand-arm transmitted vibra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vibration exposure and effects on health, and the assessment methods of nerve dysfunctions are addressed in this paper. Those methods are linked into a logical way of assessing effects of hand-arm vibration on human. Finally, the current activities and achievements in this work are briefly summarised.

  • PDF

반복 충격에 대한 인체 영향 평가의 새로운 방안 (New Approach to Evaluating the Effects of Repeated Shocks Exposed to Human)

  • 정완섭;권휴상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01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1088-1093
    • /
    • 2001
  • This paper introduces new approaches attempted to evaluate quantitatively the effects of repeated shocks exposed to human. This attempt, by the members of ISO TC 108 / CS4, has been made to add a standardised draft of ISO 2631 Part 1 which covers newly the human response to repeated shocks. It contains the review of previous work related to shocks responses to human and suggests a mathematical model to predict the three-axis lumbar spine accelerations from the measured seat accelerations. The predicted accelerations are used to evaluate the vibration dose to the spine. The evaluated dose values are shown to enable the assessment of adverse health effects.

  • PDF

전신 피폭 진동의 인체 영향 측정 및 평가 방안 (Measurement and Assessment Methods of Vibration Exposed to Whole-body and Its Effects)

  • 정완섭;박용하;은희준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00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119-124
    • /
    • 2000
  • This paper introduces the brief guidelines on general aspects of tests and experiments with human subjects. Detailed methods for measuring whole-body vibration are reviewed for those tests and experiments and compared each other. Such comparison is found to be very useful in choosing adequate methods for human related tests and experiments. Of course, it is also expected to be very meaningful to our automotive research and industrial fields that are critical to the ride quality of their products with uncomfortable acoustic noise and vibration.

  • PDF

접속부 궤도의 동적거동분석을 위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Dynamic Behavior Evaluation of Transitional Track)

  • 조성정;최정열;천대성;김만철;박용걸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07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379-1385
    • /
    • 2007
  • 철도에서 접속구간은 교량과 토공 또는 터널과 토공 사이의 노반상태가 변화하는 구간이나 궤도구조형식이 변화하는 구간을 말한다. 이들 구간에서는 궤도지지강성이 갑작스럽게 변화함으로써 레일변위가 급하게 변화하여 차량의 이상 진동 및 충격윤중이 발생한다. 열차의 진동은 차량의 주행안정성 및 승차감을 저하시키고 충격윤중은 노반의 침하 및 궤도재료의 열화, 손상을 가속시키는 결과를 초래한다. 자갈도상 궤도구조에서의 접속구간은 노반강성이 차이가 생기는 교량경계부와 터널경계부가 가장 보편적인 천이접속형태이며 특히 교량부와 토공부는 각각 일정한 고유의 탄성을 가지고 있어 서로 큰 강성차를 가진다. 교량부와 토공부의 강성차로 인해 궤도에서 발생하는 탄성변위량이 일치하지 않기 때문에 동적윤중은 하부구조의 과도한 변위를 유발시킬 수 있는 큰 충격하중을 발생시키고 이러한 과하중은 토공부의 궤도구성품의 손상을 유발하게 된다. 따라서 현재 국내에서는 접속구간 설계 시 구간별 노반 및 궤도강성차를 줄여 전체적으로 궤도지지강성 변화를 완화시키고, 토공구간의 소성침하 방지와 접속부에 부정적 영향을 주는 노반구조물의 비이상적 거동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규정을 제정하여 이를 바탕으로 설계하고 있으나 실제 운행선에서 발생하는 접속부 궤도의 동적거동을 감안한 설계지침은 아직 미약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노반강성별 접속부 궤도의 동적거동 특성을 파악하고 노반구조물과 궤도구조의 상호관계를 입증하기 위해 노반강성별 접속부 궤도의 동적응답을 측정하고 측정 및 이론식을 이용한 접속부 궤도의 탄성력 및 궤도부담력을 산출하여 운행선 접속부 궤도의 동적거동을 감안한 설계지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F-1^{(R)}$, $Helioseale^{(R)}$에 brush tip을 적용한 경우보다 많이 발생하였다(p<0.05). 3. 기포의 평균 단면적은 Teethmate $F-1^{(R)}$가 다른 군에 비해 큰 값을 보였다(p<0.05). 4. $Clinpro^{(R)}$와 적용 tip을 달리한 $Helioseal^{(R)}$의 경우 기포의 발생 빈도, 평균 개수, 평균 단면적 모두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다(p>0.05).닌, 집이나 학교와 같은 일상의 생활공간이기 때문에 단순한 주의만으로도 외상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보이지 않았다 (p>0.05). 본 실험에서 시도한 두 가지 진정요법이 비교적 높은 임상적 치료 성공률(II군 : 97.14%, III군 : 88.57%)을 보여 만족할 만한 결과를 나타낸 것으로 평가되었다.tosan film보다 큰 수증기 투과도를 보였다.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y tissue layer thinning은 3 군모두에서 관찰되었고 항암 3 일군이 가장 심하게 나타났다. 이상의 실험결과를 보면 술전 항암제투여가 초기에 시행한 경우에는 조직의 치유에 초기 5 일정도까지는 영향을 미치나 7 일이 지나면 정상범주로 회복함을 알수 있었고 실험결과 항암제 투여후 3 일째 피판 형성한 군에서 피판치유가 늦어진 것으로 관찰되어 인체에서 항암 투여후 수술시기는 인체면역계가 회복하는 시기를 3주이상 경과후 적어도 4주째 수술시기를 정하는 것이 유리하리라 생각되었다.한 복합레진은 개발의 초기단계이며, 물성의 증가를 위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또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