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진단 데이터베이스

Search Result 276, Processing Time 0.045 seconds

데이터베이스 테이터의 고장진단 및 복구를 위한 전문가 시스팀

  • Lee, Gil-Haeng;U, Wang-Don;Jo, Ju-Hyeon
    • ETRI Journal
    • /
    • v.14 no.4
    • /
    • pp.148-164
    • /
    • 1992
  • 본 논문에서는 TDX-10 데이터베이스 데이터의 고장을 주기적으로 진단하고 복구할 수 있는 고장진단 전문가 시스팀을 제안하고 구현하였다. 실시간 환경 및 분산구조를 갖는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팀에서 데이터베이스의 효과적인 접근을 위해서 필요한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 즉, 디렉토리와 딕셔너리는 매우 중요하며 고장이 발생할 경우 데이터베이스 관리시스팀에 미치는 영향은 치명적이다. 따라서, 실시간 환경을 갖는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팀에서 데이터베이스 데이터에 대한 고장 진단 및 복구는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고장진단 전문가 시스팀은 데이터베이스 데이터를 운용중 변하는 부분과 변하지 않는 부분으로 분류하고 미리 주어진 고장진단 규칙에 따라 진단하는 방법이다. 데이터베이스 데이터의 고장진단 데이터, 고장진단 규칙, 고장진단 데이터 생성기, 고장진단 데이터 검증기, 그리고 고장진단기로 구성되어 있다. 고장진단 데이터는 고장진단기가 데이터베이스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진단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마스터 데이터로서 두개가 존재한다. 고장진단 데이터 생성기는 데이터베이스 데이터의 고장진단을 위한 데이터 구조를 생성하고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데이터베이스를 데이터를 중복하여 읽어들이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과정은 시스팀이 초기에 동작을 시작하거나 운용중 운용자에 의해서 릴레이션의 추가 및 삭제, 그리고 튜플의 추가등과 같은 사건이 발생할 경우에 이루어진다. 데이터베이스 검증기는 고장진단 데이터 생성기가 중복하여 생성한 데이터에 대해서 데이터베이스 데이터의 제작시의 초기 오류를 검증해냄으로써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팀의 안전한 운용을 가능하게 하며 고장진단기가 데이터베이스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진단할 데이터를 탄생시킨다. 마지막으로 고장진단기는 주기적으로 데이터베이스 데이터의 고장을 진단하여 고장이 발생한 데이터를 미리 분류한 규칙에 따라 원래의 데이터로 복구하거나 운용자에게 보고함으로써 고장에 대비하도록 한다. 그리고 데이터베이스 상의 운용자에 의한 변경을 감지하여 고장진단 데이터의 재생성을 지시한다. 본 논문에서 제시하고 구현한 데이터베이스 데이터의 고장진단 및 복구를 위한 전문가 시스팀은 실시간 환경과 고장허용 환경, 분산 구조 그리고 빈번한 접근을 갖는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팀에서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 PDF

A Diagnostic Database System for PC Maintenance and Repair (PC 유지 및 보수를 위한 진단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 Lee, Jae-Min
    •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 /
    • v.9 no.4
    • /
    • pp.717-723
    • /
    • 2008
  • Many of the domestic PC manufactures and professional PC repair shops are suffering from lack of efficient diagnostic database systems or CAD tools for diagnosis and repair of PCs.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new diagnostic database system for PC maintenance and repair is presented in this paper. We can perform accurate and rapid diagnosis for the PCs with software and hardware troubles by using proposed database system and thus the number of customers who are satisfied with service results are to be increased. Furthermore our research outputs make it possible the experts in PC repair field accumulate maintenance techniques and enhance the reliability of performance evaluated by customers.

  • PDF

Stream Data Processing Prototype Development for Automated Prediction of Myocardial Ischemia (심근허혈 질환 진단을 위한 스트림 데이터 처리)

  • Park, Jin Hyoung;Saeed, Khalid E.K.;Lee, Jong Bum;Lee, Heon Gyu;Ryu, Keun H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9.04a
    • /
    • pp.360-363
    • /
    • 2009
  • 실시간으로 심장 질환의 진단을 위하여 심전도 신호의 스트림 처리 및 데이터 마이닝 프로토타입을 구현하였다. 신체부착형 센서로부터 전송되는 심전도를 전처리하여 심장질환의 진단 지표를 추출하였고 실시간 진단을 위한 출현 패턴 마이닝 알고리즘을 구현 및 적용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심혈관계 질환에 대하여 실시간 자동 진단 및 예측이 가능한 생체 신호 스트림 데이터 처리 분석 프로토타입을 구현하였다.

Health Diagnosis System of Pet Dog Using ART2 Algorithm (ART2 알고리즘을 이용한 애견 진단 시스템)

  • Jung, Jae-Sung;Jun, Bong-Gi;Kim, Kwang-Bae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7.10a
    • /
    • pp.377-382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애견 질병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이 부족한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자신의 애견 건강상태를 파악 할 수 있는 진단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된 진단 시스템은 105가지 질병과 각 질병의 증상을 데이터베이스에 구축하여 입력된 증상을 통해서 애견의 질병을 도출한다. 본 논문에서는 신경망의 자율 학습 방법인 ART2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질병을 클러스터링 하고 그 결과 값인 클러스터의 출력값과 연결강도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각 질병의 증상과 관련된 질의 결과를 입력 벡터로 제시하여 학습된 질병 정보와 비교하여 애견의 건강 상태를 진단한다. 애견의 건강 상태를 진단하는데 있어서 질병과 증상의 정확한 정보는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질병과 증상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고 질병과 증상 정보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였다. 제안된 진단 시스템을 구현하여 수의학 전문의가 분석한 결과, 본 논문에서 제안한 시스템이 애견 질병의 보조 진단 시스템으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Performance Diagnosis Tool for DB Connection Pool Management (DB Connection Pool 관리를 위한 성능 진단도구의 설계 및 구현)

  • Lee, Jae-Hwan;Jung, In-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3.05c
    • /
    • pp.1507-1510
    • /
    • 2003
  • 웹 어플리케이션 개발 시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의 사용이 증가함에 따라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 접속하는 커넥션 리소스 관리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본 논문은 웹 어플리케이션 구축 시 사용하는 데이터베이스 접속 풀(Database connection Pool)의 성능을 평가하고 진단하는 도구를 제안한다. 본 도구는 성능 및 진단을 통하여 웹 어플리케이션에 가장 적합한 최적화된 DB 커넥션 풀을 최적화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아울러 제안된 도구를 사용한 효과적인 데이터베이스 접속 풀(Database Connection Pool)의 관리 결과에 대하여 기술한다.

  • PDF

항로표지 고장진단 및 예측기술 개발 연구

  • 김환;임성수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1.11a
    • /
    • pp.54-56
    • /
    • 2021
  • 다양한 소스로부터 수집되고 연동되는 데이터를 모델링하는 기술로 그래프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한 분석 기법이 각광받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항로표지에서 관측되는 상태 및 주변 정보를 모델링하고, 고장진단 및 예측에 적용할 수 있는 기계학습 기법을 소개한다.

  • PDF

Fault Detection and Diagnosis based on Fuzzy Algorithm in the Injection Molding Machine (사출 성형기 Barrel 온도의 실시간 데이터베이스화와 퍼지알고리즘 기반의 고장 검출 및 진단)

  • 배성준;김훈모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2002.12a
    • /
    • pp.463-467
    • /
    • 2002
  • In this paper, we construct the fault detection and diagnosis system based on fuzzy algorithm in the injection molding machine. Data of operating injection molding machine are acquired in database in order to raise the reliability of detection and diagnosis.

Fuzzy Decision Tree Based Self Health Diagnosis of Oriental Medicine (퍼지 의사 결정 트리 기반 한방 자가 진단)

  • Jeong, Se-hun;Ahn, Ha-jun;Kim, Gwang-bae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8.10a
    • /
    • pp.383-385
    • /
    • 2018
  • 기존의 한방 자가 진단 방법에서는 PCM 기반의 알고리즘을 적용시켰으나 고질적인 문제점 중의 하나인 증상 수가 급격하게 증가할 경우에는 진단 결과가 정확하게 도출되지 않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는데 효율적인 퍼지 의사 결정 트리 알고리즘을 적용한다. 퍼지 의사 결정 트리는 과거의 데이터를 미리 학습시킨 후에 엔트로피에 따라 경계 값을 구한 후, 사용자가 여러 증상을 입력하면 입력된 증상에 해당되는 상위 질병 5개를 도출한다. 그리고 도출된 상위 5개의 질병과 도출된 질병의 원인과 치료하기 위한 민간요법을 제공한다. 질병과 증상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는 한의사가 추천한 여러 한의학 전문 서적을 기반으로 증상과 질병의 데이터베이스를 설계한 후, 한의학 전문의의 검증을 거쳐 구현하였다. 제안된 한방 자가 진단 시스템은 과거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증상을 학습함으로써 기존의 질병 진단 시스템보다 정확하고 신속한 진단 결과를 도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

Self Health Diagnosis and Learning System of Oriental Medicine Using Fuzzy ART Algorithm (퍼지 ART 알고리즘을 이용한 한방 자가 진단 및 학습 시스템)

  • Hwang, Byong-Ju;Kim, Kwang-Bae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7.10a
    • /
    • pp.387-392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질병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이 부족한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스스로 자신의 건강 상태를 쉽게 파악하고, 조금씩 진화하는 질병 바이러스에 따른 증상의 변화를 진단할 수 있는 퍼지 ART 알고리즘을 이용한 한방 자가 진단 및 학습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된 한방 자가 진단 및 학습 시스템은 72가지 한방 질병과 각 질병에 대한 증상을 분석하여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고 구축된 데이터베이스 정보를 기반으로 퍼지 ART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사용자의 질병을 도출한다.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가 자신의 대표 증상을 제시하면 해당 증상을 포함하는 질병들을 도출한다. 도출된 질병들의 세부 증상들을 사용자가 입력 벡터로 제시하면 퍼지 ART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세부 증상에 대한 질병들을 클러스터링한 후, 세부 증상에 대한 질병의 소속 정도를 제공한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시스템을 한의학 전문의가 분석한 결과, 본 논문에서 제사한 시스템이 한방 질병의 보조 진단으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 PDF

Distinct Diagnosis of Flavivirus Using Bioinformatics Database (생물정보학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한 플라비바이러스 구별 진단 방법)

  • Choi, Jae-Won;Kim, Min Jung;Jo, Byung-Gwan;Heo, Jae-Rin;Kim, Hak 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109-110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2016년 전 세계에 공포를 안겼던 지카 바이러스(Zika virus)와 최근 아열대성 기후의 확대로 인해 향후 대유행이 예상되는 뎅기 바이러스(Dengue virus)의 구별 진단 방법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두 바이러스는 모두 플라비바이러스 속(Flavivirus genus)에 해당되며, 동일한 단백질 도메인(domain)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여러 도메인 중에서도 진단에 유리하다고 판단되는 비구조단백질 1(NS1, non-structural protein 1)을 선정하였으며, UniProt (Universal Protein Resource)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지카 바이러스와 뎅기 바이러스의 비구조단백질 1의 아미노산 서열을 상호 비교 분석 하였다. 더 나아가 IEDB (Immune Epitope Database)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비구조단백질 1의 아미노산 중, 진단에 용이한 에피토프로 예상되는 5개의 후보를 도출하였다. 최종적으로 후보군으로부터 지카 바이러스와 뎅기 바이러스를 구별하여 진단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에피토프(펩타이드)를 제안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