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직접 접근 통로

Search Result 14,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Direct Pass-Through based GPU Virtualization for Biologic Applications (바이오 응용을 위한 직접 통로 기반의 GPU 가상화)

  • Choi, Dong Hoon;Jo, Heeseung;Lee, Myungho
    • KIPS Transactions on Software and Data Engineering
    • /
    • v.2 no.2
    • /
    • pp.113-118
    • /
    • 2013
  • The current GPU virtualization techniques incur large overheads when executing application programs mainly due to the fine-grain time-sharing scheduling of the GPU among multiple Virtual Machines (VMs). Besides, the current techniques lack of portability, because they include the APIs for the GPU computations in the VM monitor. In this paper, we propose a low overhead and high performance GPU virtualization approach on a heterogeneous HPC system based on the open-source Xen. Our proposed techniques are tailored to the bio applications. In our virtualization framework, we allow a VM to solely occupy a GPU once the VM is assigned a GPU instead of relying on the time-sharing the GPU. This improves the performance of the applications and the utilization of the GPUs. Our techniques also allow a direct pass-through to the GPU by using the IOMMU virtualization features embedded in the hardware for the high portability. Experimental studies using microbiology genome analysis applications show that our proposed techniques based on the direct pass-through significantly reduce the overheads compared with the previous Domain0 based approaches. Furthermore, our approach closely matches the performance for the applications to the bare machine or rather improves the performanc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Relay File for Superdistribution of the Streaming Contents (스트리밍 콘텐츠의 초유통을 위한 중계파일 설계 및 구현)

  • Kim, Tae-Min;Yang, Young-Kyu
    •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 /
    • v.12 no.7
    • /
    • pp.979-988
    • /
    • 2009
  • Illegal reproductions and subsequent copyright infringement have curtailed development of digital content industry. Many DRM systems have been developed and utilized for this purpose. However, current DRM system allow only authorized user to access the contents, and as such, redistribution to other user without getting license again entails cumbersome process. Currently, super-distribution system which can be used for redistribution of downloaded contents in more streamlined fashion is being widely conducted. But for streaming type content, it is still very difficult to redistribute with super-distribution system because the client must directly connect to streaming server to access the content. Accordingly, a new DRM streaming service structure is required to allow streamed contents to be redistributed as easily as the downloaded contents. In this paper, we proposed the relay file structure that can connect the streaming server and the user for super-distribution of the streaming contents.

  • PDF

제주도 연안 정치망 어구개량에 의한 조업시스템 개발 1. 각망어구와 개량형 정치망어구의 어획성능 비교분석

  • 김종범;김석종;김병엽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0.10a
    • /
    • pp.44-45
    • /
    • 2000
  • 제주도 연안의 정치망 어업은 대모망, 소대망, 및 각망어구를 이용하고 있는데 이 어업에 대한 면허건수는 총 63통으로 이중 각망이 93%를 차지하고 있다. 정치망어업은 지역적인 환경의 영향을 크게 받는 어업으로, 특히 지리적인 특성이 해황의 변동과 더불어 내유어군의 접근과 이동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끼친다(야재, 1971). 그리고 어장환경이 잘 갖추어진 어장이라도 정치망 어구 구조에 따라 어획이 변동한다고 한다(소지, 1972). (중략)

  • PDF

An Evaluation of Korean Accessibility Standards Supporting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실내환경에서 장애인의 접근.이동성을 지원하는 국내법규 평가)

  • 천진희;정회란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
    • v.12 no.3
    • /
    • pp.167-176
    • /
    • 1999
  • This article analyzed the recent Korean accessibility standard supporting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This is the basic study to make the interior environment more comprehensible and safer for the physically handicapped. Researcher selected the interior elements related to the mobility and accessibility for the physically handicapped. Then the '98 Korean accessibility standard code called 'Pyunui Chungjin Pup' were compared with the previous Korean building code and two other guidelines for evaluations. Result showed that 'Pyunui Chungjin Pup' addressed more obligatory items in facilities used by people with disabilities. That contributed to develope the accessible environments and to offer the independent activity in the society for the disabilities. However dimensions of 'Pyunui Chungjin Pup' showed the minimum standard. Also it did not provide the sufficient design considerations to make up the sufficient design considerations to make up the other types of disabilities including sensory limitations, or cognitive function limitations. Hereafter, the quality of accessibility guideline should be raised with further study.

  • PDF

Factors affecting Health care accessibility among Korean Americans living in New York City (뉴욕 거주 한국인의 의료서비스 접근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분석)

  • Kim-Roh Eunha
    •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 /
    • v.14 no.1
    • /
    • pp.61-67
    • /
    • 2000
  • 뉴욕시 정부의 이민자들에 대한 다각적인 접근과 시도에도 불구하고 의료 서비스 제공자들과 대상자간에 언어적 장벽과 문화적 차이로 인한 상호협조의 어려움은 계속되고있다. 본 연구는 뉴욕시 보건국 소속 다민족 다문화 계층의 의료수준 향상을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실시된 프로젝트 중 일부이다. 뉴욕시의 한국 이민자들이 뉴욕시에서 증가하는 추세를 감안할 때, 이들의 의료시설 이용 및 서비스 수혜에 대한 기초 조사를 실시하여 한국 이민자들의 문화적 배경과 그로 기인한 건강 신념을 알고자하는 시 정부 차원의 요구가 이 연구의 배경이다. 즉, 한국이민 사회의 독특한 특성을 뉴욕시 정부 관련 의료서비스 제공자들에게 그 이해를 높여서 한국 이민자들의 미국에서의 의료서비스 수혜의 기회를 높이고자 한 것이다. 기초 관련 연구가 전무한 한국 이민자들의 건강관련 이슈를 다루기 위해 미국 센서스와 병원 입퇴원 기록 현황에 나타난 한국인 혹은 아시안의 의료보장 실태 등을 고찰하였고, 한국이민사회의 주요 기관의 대표들과의 면담과 이민자들을 대상으로 한 직접 설문조사로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한국 이민자들은 한국어를 주요 언어$(83\%)$로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나 문화의 동화율이 낮았고, 낮은 문화 동화율은 의료 서비스 접근도를 낮추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의료 보험이 없는 것$(55\%)$이 가장 큰 요인으로 지적되었는데, 이는 미국 직장에 적응하기 어려운 이민생활로 자영업을 주로 하는 생활 양태가 비싼 사 보험(private health insurance)을 사지 못하는 요인과 관련되어있다고 본다. 따라서, 주로 이용하는 의료 서비스의 종류에도 많은 제한점이 있어서, $60\%$가 한국인 의사를 선호하며, $31\%$가 한국인 약사에게 건강관리를 의존하는 것으로 나타나 미국사회의 의료 서비스 접근도는 극히 취약한 것으로 드러났다. 의료서비스 접근을 막는 주요 장벽으로는 비싼 의료비 $(53\%)$ , 의사소통장애$(37\%)$로 나타났다. 보건의료 서비스를 위해 주로 이용하며 생활의 정보를 얻는 통로로는 한국어 신문$(69\%)$과 한국어 TV$(61\%)$, 한국어 라디오 $(57\%)$로 밝혀졌다. 결론적으로 한국 이민자들에게 좀더 나은 의료 서비스 수혜를 위해서는 문화 친밀도가 높은 의료환경 조성 및 의료 서비스 제공자들의 이해를 높이는 일 등과 함께 한국 이민자들이 의료보험을 살수 있도록 한국어로 된 의료 서비스 정보를 제공하는 등의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 PDF

A Study on Planning Open Space between Civic Buildings as an Active Place (적극적 장소로서의 도심의 건물 외부 오픈 스페이스 환경 계획에 관한 연구)

  • 김혜원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
    • v.14
    • /
    • pp.141-150
    • /
    • 1996
  • In recent years space planning for modern city has been accomplished through scientific high technique and computer supported collaborative work. Relatively human being is treated as a component of the space or whole building and according to the social structure people tend to prefer private space. The necessity of the open space as an active place is emphasized now because the interaction created between users of the space and the nature, surrounding environment can influence on improving quality of outdoor life and giving the place specific identity. In this paper three ways of analyses of components which compose the open space are studied. Especially through the process of analyses derived from differenet areas, the necessity of communication model in collaborative work is proposed.

  • PDF

UCC as Online Folklore : What Makes Users Generate More and Better Content? (사용자 제작 컨텐츠의 활성화를 위한 연구 : 구비문학의 이론을 중심으로)

  • Jung, Seung-Ki;Lee, Ki-Ho;Lee, In-Seong;Kim, Jin-Woo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2b
    • /
    • pp.656-663
    • /
    • 2007
  • 최근 인터넷 공간에서 사용자가 직접 만들어 내는 컨텐츠, 즉 UCC (user created contents, 이하 UCC)에 대한 관심이 그 어느 때보다 증가하고 있다. UCC란 기존의 온라인 컨텐츠 제공업자와 달리 일반 사용자에 의해 만들어져 게시판과 같은 도구를 사용하여 온라인 상에 존재하였다. 그런데 UCC 가 최근 들어 더욱 관심을 받고 있는 이유에는 사용자들이 직접 컨텐츠를 만들어 개제하는 것이 용이하도록 변화된 환경의 조성 및 컨텐츠 제작을 쉽게 할 수 있는 저작도구가 지속적으로 만들어지고 확산되었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사용자 측면에서는 다른 사람들과 소통하는 통로가 확대되었고, 사업자 측면에서는 보다 컨텐츠를 풍부하게 확보할 수 있는 환경이 열린 것이다. 본 연구는 구비문학의 이론을 통하여 UCC의 활성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탐색적으로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비 문학은 텍스트를 향유하는 사람들 사이에서 공유되는 이야기로서 그 생산 환경의 매커니즘과 텍스트의 발전 양상이 UCC와 매우 유사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자료의 분석과 이론적 모형의 수립 과정 전반에 있어 구비 문학의 이론과 접근 방법을 사용하였다. UCC가 매우 활발하게 생산되는 주제를 선정하여, 그 주제에 해당하는 커뮤니티의 특성, 사용자들 간의 관계, 사용자 정책 등 차이가 있는 세 온라인 커뮤니티를 선정하였다. 선정된 온라인 커뮤니티의 게시판의 포스트와 댓글을 프로그램을 통하여 수집하고 분석하였으며, 그 분석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사용자를 선정하여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심층 인터뷰 데이터는 근거이론은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UCC 확산이라는 새로운 인터넷 패러다임 속에서 이를 구비 문학의 이론으로 분석했다는 점에서 학문적 의의가 있다. 또한 성격이 다른 세 개의 사이트에서의 UCC를 비교함으로써 UCC를 기반으로 한 사이트 설계의 가이드 라인이 될 수 있는 실용적 의의를 가진다.

  • PDF

대학 창업교육이 진로에 미치는 효과성에 대한 연구

  • An, Tae-Uk;Park, Jae-Hwan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7.04a
    • /
    • pp.60-60
    • /
    • 2017
  • 4차산업혁명 시대에 대학교육은 창의적 인재육성을 위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게 되었다. 또한 청년실업율 상승과 일자리 창출을 위한 대책으로 청년창업으로 진로를 개척할 수 있도록 대학에서부터 창업을 보다 활성화 시키지위한 정책과 지원을 확대되기 시작하였다. 대학교육의 교과 비교과 교육커리큘럼 역시 시대적 요구에 맞춰 변화하고 있으며 창의성 역량을 강조하는 창업교육이 확산되고 있다. 대학의 창업교육을 통한 문제해결능력, 의사소통능력 등 창의성역량 함양과 도전정신을 강조하며 기업가정신을 함양하는 추세이다. 이는 작금의 시대가 요구하는 창의적 인재상과 일치하며 정부와 대학에서도 창업교육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였다. 하지만 창업교육에 대한 효과성을 검증함에 있어서 창업의지, 창업성과, 청년창업 등 창업에 관련된 단편적 측면으로 연구가 많이 되고 있다. 즉, 창업교육에 대한 다양한 효과성 측면에 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와 차별적으로 창업교육을 통하여 사회에 진출을 앞두고 있는 대학생의 진로준비와 선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실증분석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2016년 8월부터 지역 거점별 5개 대학교의 창업교육을 수강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실시하여 393개의 표본으로 실증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창업교육을 통한 역량은 진로준비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은 없었다. 다만 창업교육의 협업적 의사소통능력과, 창의적 문제해결능력은 창업가정신과, 자기효능감을 통해 매개효과로 진로준비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또한 창업교육의 협업적의사소통능력, 창의적문제해결능력이 창업가정신과 자기효능감에 정(+)의 영향을 미쳤고, 창업가정신과 자기효능감은 진로준비행동에 긍정의 영향을 미치는 실증적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단순히 대학의 창업교육을 시키는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창업교육을 통하여 창업가정신과 자기효능감을 고취 함양시킴으로써 진로준비행동에 긍정의 영향을 미친다는 점과 창업가정신과 자기효능감이 중요한 요인이라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또한 향후 대학 창업교육의 효과성에 대한 측정과 평가에서 창업과 같은 실무적 성과 접근뿐만 아니라 사회진출을 위한 진로 영역 등과 같이 다각도의 효과와 올바른 방향성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 PDF

Analysis of A Gas Explosion-Related State Compensation Case (가스폭발 사고와 관련된 국가배상 사례의 분석)

  • Lee, Euipyeong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16 no.1
    • /
    • pp.44-59
    • /
    • 2020
  • This study analyzed a gas explosion accident. A gas smell from a underground coffee shop in the two-story building was reported to 119. A fire brigade was turned out, turned off the main valve of LPG gas cylinder on the roof, and checked the turning off of middle valve in the coffee shop. The fire brigade required a gas supplier and gas installer who arrived at the spot to take safety actions. Gas explosion occurred seven minutes after the fire brigade was withdrawn and two people died and 21 people were injured. A court decided that because the causes for gas explosion were not found, compensation responsibility could not be charged with the gas supplier, the gas installer, or Korea Gas Safety Corporation. In this reason, the court judged that only the fire brigade who was withdrawn without taking safety actions shall compensate victims or bereaved families. Therefore, fire brigades who turn out after a 119 report of a gas leak should take safety actions such as escaping people or preventing people's access and ventilating and be withdrawn when there is no possibility of fire or explosion.

A Case Study of FTA Utilization on the Violation of Determining the Country of Origin (FTA 원산지결정기준 위반의 유형별 사례분석 및 대응방안)

  • Yun, Jun Ung;Lee, Chun Su
    • International Commerce and Information Review
    • /
    • v.17 no.2
    • /
    • pp.201-223
    • /
    • 2015
  • Concerning post-verification which is after the application of FTA preferential tariffs, in cases such as Korea-EFTA and Korea-ASEAN, the growing trend of post-verifications was restricted and there was no active research concerning this; whereas with Korea-EU FTA which adopted indirect verification for post-verification, the demand for post-verification has been rising constantly each year; and for Korea-US FTA which has adopted direct verification, a new approach to post-verification research is needed as it began genuine post-verification regarding many national enterprises only after a year and a half since the agreement. This study will consider the counter measures that can be taken for post-verification, through case of studies on the factors influencing violation of determining the country of origin for export company regarding verification of FTA. Result of this case study regarding the determining a violation of origin, The main cause of the violation factors on the essential & general principles(goods wholly obtained, value added criteria) are lack of understanding agreement & manpower. but Violation of the parties to a transaction & the origin certification are lack of advanced preparation and effected violation of principle of good faith. Finally, In this study help countermeasures of export company through the Detailed analysis of the type & implications deriving from verification of origi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