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직접측정방식

검색결과 415건 처리시간 0.063초

전력선 통신 채널의 간접 잡음 측정에 대한 방안 연구 (A Study for Indirect Channel Noise Measurement in Powerline Communications)

  • 손현일;오휘명;이재조;이원태;김관호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2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D
    • /
    • pp.2611-2613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전력선 통신 채널의 간접 잡음 측정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주위 환경에 의한 Noise 및 여러 통신매체에 의한 방해전파에 의해 전력선 통신 채널은 송신 측의 고출력 요구와 가능한 전력선 통신의 대역폭이 감소하는 악화된 통신환경을 보여 준다. 이러한 Noise를 측정하는 방법은 Coupling Capacitor를 이용한 직접 측정 방식과 이동 측정 장치를 이용한 간접 측정 방식이 있다. 전자는 광범위한 측정지역과 측정장비의 설치 등에서의 번잡함으로 효과적인 Noise 측정이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두 가지 방식의 Noise 측정 결과의 비교 및 검토를 통해 이동 측정 장치를 이용한 방식의 장점과 보완할 점을 검토였으며, 특히 직접 측정 방식과의 결과 값의 차이를 보상할 수 있는 상관관계 분석의 필요성을 고찰하였다.

  • PDF

직선 및 사행 하천에서의 대수법칙를 이용한 국부 소류력 산정 적용성 검토 (Applicability Evaluation of Using Logarithmic velocity law for Assessing Local Shear Stress in Straight and Meandering River Channel)

  • 김종민;김동수;손근수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5년도 학술발표회
    • /
    • pp.172-172
    • /
    • 2015
  • 하천에서 발생하는 소류력은 하상 변동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주변 구조물이나 하천의 흐름특성 등을 변화시키게 되며, 유사이송, 침식 및 퇴적, 유동해석 등에 매우 중요한 하천 계수이다. 하천에서 소류력의 직접 측정은 매우 어려워 직접 측정 대신 하천경사 및 동수반경을 기반한 단면 평균소류력 산정 공식을 일반적으로 이용한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상세한 유사이송, 세굴 등의 해석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국부적인 소류력이 필요하다. 실내 실험에서는 프레스톤게이지를 활용한 직접 측정이나, 난류측정을 통한 레이놀즈 분포를 외삽하여 단면에서 국부적인 소류력을 측정하는 방식이 사용되어 왔다. 반면, 실제 하천에서는 국부 소류력 직접측정 및 난류 산정이 거의 불가능하거나 비효율적이므로 대안으로 하천의 연직유속분포에 대수분포를 적용하여 소류력을 추정하는 간접적인 방법이 제시되어 왔다. 일부 실내실험에서 대수법칙을 통한 소류력 산정 방식은 직접 측정을 통해 검증한 바가 있으나 실제 하천은 난류의 공간 시간적 스케일이 실내 규모와 상이하여 국부 소류력에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이러한 검증결과를 현장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실제 규모 하천에서 대수법칙을 활용한 국부 소류력 산정 결과와 레이놀즈 응력의 연직분포 측정을 통해 산정한 값과 비교하여 대수법칙 활용 소류력 산정 방식의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실험은 중소규모의 하천을 재현한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안동하천실험센터 직선(A1) 및 사행(A2) 하천의 유속측정을 수행하였으며, 유속 측정에는 정밀도가 높으나 실내에서 주로 사용된 초음파지점유속계(Micro ADV)를 현장에 설치하여 사용하였다. ADV의 관측 시간은 90초이며, 직선수로에서는 횡방향으로 25 cm 간격, 수심방향으로는 5 ~ 10 cm 간격으로 측정하였고, 사행수로는 횡방향으로 50 cm 간격, 수심방향 5 ~ 10 cm 간격으로 측정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 대수법칙과 레이놀즈 분포로부터 산정된 국부 소류력은 사행과 직선 모두 상당한 이격을 보였다.

  • PDF

직접접지의 실험적 연구

  • 조건찬;장상현;김교복
    • 전기의세계
    • /
    • 제13권2호
    • /
    • pp.23-33
    • /
    • 1964
  • 본 고에서는 계통이 비교적간단하고 부근에 용이하게 유도전압을 측정할 수 있는 통신선이 병행한 22kV 남양계통(수원-남양)을 선택하여 직접접지와 비접지시의 이상현상을 측정 비교하였다. 여기서 외국의 직접접지방식 채택에 대한 경향을 보면 미국은 직접접지가 압지적으로 많으며 구주 각미에서도 직접접지가 우리나라에서 보다 훨씬 많이 실시하여 장시일의 운전실적을 갖고 있다.

  • PDF

디지털 홀로그래픽 현미경 데이터를 위한 위상 영상 압축 (Phase Image Compression for Digital Holographic Microscopy)

  • 김영민;반현민;최승미;오관정;임용준;김휘용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22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1187-1190
    • /
    • 2022
  • 최근 홀로그램(Hologram)을 광학현미경(light microscopy)에 적용하여 시료의 두께를 측정하는 방식의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빛의 간섭패턴(Interference pattern)을 사용하여 시료의 두께를 측정할 수 있는 이유는 시료의 두께에 따라 빛의 위상(phase)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빛의 간섭패턴을 저장하는 홀로그램에서 위상만을 분리한 후 위상을 unwrapping 하면 물체의 두께를 측정할 수 있다. JPEG은 기존의 연구방식인 시료를 통과한 홀로그램 이미지를 직접 압축하는 object 압축방식을 사용한다. 하지만 본 논문에서는 object 압축방식과 달리 홀로그램 이미지를 직접 압축하지 않고 홀로그램 이미지에서 시료의 위상(phase)만을 분리하여 위상 도메인에서 압축하는 방식을 취하였다. 이를 통해 object 압축방식에 비해 위상 도메인 압축방식에서 모든 데이터셋에 대하여 평균적으로 0.0003~0.0142 radian의 성능향상을 이룰 수 있었다.

  • PDF

인장시편 및 응력동결된 디스크의 프린지 상수 측정에 의한 다목적 편광기 성능시험

  • 백태현;김명수;김동현;이춘태;김환;박태근
    • 한국정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밀공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요약집
    • /
    • pp.178-178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폴리카보나이트의 재료로 만들어진 인장시편과 원형시편을 다목적 광탄성 측정기를 사용하여 프린지 차수를 측정한 후 프린지 상수를 도출하였다. 특히, 새로 개발된 다목적 광탄성기를 이용하여 지랫대 형식으로 프린지 차수를 측정하였고, 시편에 직접 응력을 가하는 방식의 직접(DIRECT) 실험법으로 프린지 차수를 측정하였다. 위와 같은 방식은 나타난 결과를 가지고 프린지 상수를 서로 비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다목적 광탄성기에 대한 신뢰도를 얻을 수 있다 아울러 광탄성 4단계 위상 이동법에서는 주응력 방향, 즉 등경선이 일정한 선상에서는 연속적인 응력분포를 얻을 수 있다.(중략)

  • PDF

DC-DC 컨버터의 고속 손실측정과 분석을 위한 PC 기반 계측시스템 (A PC-based instrumental system for fast measurement and analysis of power losses in DC-DC converter)

  • 안태영;주정규
    • 전력전자학회논문지
    • /
    • 제8권6호
    • /
    • pp.569-575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스위칭 전원장치의 효율을 높은 정밀도로 측정하고 분석학 수 있는 PC 기반 가상계측 기를 구성하여 운용한 결과를 보고한 것이다. 고전압 저전류 방식에 적합한 간접 측정방식과 저전압 대전류 전원장치에 적합한 직접 측정방식의 비교를 수행하였으며, 직접 측정방식에서는 측정 편차를 최소화시키기 위해서 보상 기능을 추가하였다. 구성된 가상계측기의 성능을 검증하기 위해서 50W급 통신기용 전원장치를 대상으로 특성을 계측하였다. 그 결과 기존의 방법에 비해서 전원장치의 정상상태 특성을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으며, 반복 측정 오차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실시간 측정이 가능하며, 측정 시간도 절약할 수 있었다.

C-FVM을 이용한 토공장비의 CO2 배출계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2 Emission Factor for Earth-Work Equipment Using C-FVM)

  • 김병수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4권3호
    • /
    • pp.999-1006
    • /
    • 2014
  • 국토해양부에서 2011년 시설물별 탄소배출량 산정가이드라인을 통해 제시한 토공장비의 $CO_2$ 배출계수는 IPCC 탄소배출계수를 활용하여 연료사용량을 기반으로 만들어졌다. 하지만 이 방식은 현장의 다양한 조건을 반영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단점을 보완한 새로운 배출계수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토공장비를 대상으로 농도-유속측정(C-FVM)을 이용한 직접측정방식으로 $CO_2$ 배출량을 산정하고, 국토해양부에서 제시한 배출계수와 비교분석 후 토공장비의 새로운 $CO_2$ 배출계수를 제시하고자 한다.

직접열확산방식을 사용하는 무선기기의 측정 방법에 대한 연구 (A Study on Measurement Method of RF Devices Using Direct Sequence Spread Spectrum)

  • 배창호;김동호;박승근
    • 전자통신동향분석
    • /
    • 제16권6호통권72호
    • /
    • pp.117-125
    • /
    • 2001
  • 본 고에서는 최근 무선데이터 통신시스템용으로 2.4GHz 대역에서 블루투스 등 새로운 통신기기가 출현함에 따라서 이러한 기기에서 사용되는 여러 확산방식 중 직접열확산방식을 중심으로 하여 국내의 기술기준에 근거한 일본, 미국, 유럽의 측정방법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이러한 검토를 통하여 다양한 측정 방법들이 갖는 특징과 차이점들을 분석하여 국내에 적용할 수 있는지를 검토하고자 한다. 그리고 점유주파수대역폭, 주파수 허용편차, 공중선전력, 불요발사 등의 세부적인 항목을 함께 다루며, 각각의 측정 항목에 관한 구체적인 방법과 절차를 살펴볼 것이다.

고정자 자속 기준 제어 기법을 이용한 선형 유도 전동기의 속도 센서리스 벡터제어 (Speed Sensorless Vector Control of a Linear Induction Motor using Stator-Flux Oriented Control Scheme)

  • 오성철
    • 전력전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전력전자학회 2000년도 전력전자학술대회 논문집
    • /
    • pp.596-599
    • /
    • 2000
  • 벡터 제어이론은 교류전동기의 토오크와 자속을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특징이 있으므로 토오크 제어를 주로 하는 견인용 전동기의 제어에 적용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수행되어 왔다 그러나 선형 유도전동기 구동에는 아직 널리 사용되지 않은 실정이다 벡터 제어이론은 일반적으로 회전자자속 기준제어(Rotor flux oriented control)을 의미하며 이를 구현하기 위한 방법은 자속을 직접 측정 혹은 연산하는 직접제어 방식과 속도를 측정하여 슬립주파수 명령을 제어하는 간접방식으로 분류된다. 최근에는 기존의 회전자자속 기준방식뿐만 아니라 고정자자속(Stator flux oriented) 공극자속(Air gap flux oriented) 기준 방식등이 제안되고 있다. 본연구에서는 자기부상열차의 추진용 선형 유도 전동기의 추진에 가장 적합하다고 생각되는 고정자자속 기준벡터제어 방식과 이를 구현하기 위한 고정자 자속을 추정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속도제어를 위한 속도 추정방식도 안내코일 등 부장치 없이 전동기 파라미터로 추정할 수 있는 기법에 대하여 논한다.

  • PDF

간접도체 방식에 의한 가공선 동적허용전류 추정 (A Study on Estimation of Dynamic Line Rating Using the Indirect Conductor Method)

  • 장태인;강지원;홍동석;이성두;이동일;민병욱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5년도 제36회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A
    • /
    • pp.583-585
    • /
    • 2005
  • 선로의 DLR을 추정하는 방식 중에서 간접도체 방식은 시험도체가 선로의 도체와 유사한 환경에 직접 노출되어 있어서 일사량, 풍속, 풍향 통 측정감도가 낮은 요소들을 직접 측정하여 사용하지 않아도 이들의 종합적인 효과를 반영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간접도체 방식에 의한 DLR 추정 알고리즘을 보이고 가열도체와 비가열도체를 사용한 실험을 통하여 추정 풍속 및 DLR 산정결과가 실측 풍속 및 기상요소로 추정한 값들과 거의 일치함을 보임으로써 DLR 산정 방식으로서 간접도체 이용의 타당성을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