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직접수요모형

Search Result 77,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Calibration and Application of Direct Demand Models for Kyungbu${\cdot}$Honam Line After KTX Commissioning (고속철도 수송실적 자료를 활용한 경부${\cdot}$호남선의 철도직접수요모형의 작성과 적용)

  • Song, Sun-Ah;Yoo, Hyun-Sun;Suh, Sun-Duck
    • Proceedings of the KSR Conference
    • /
    • 2004.06a
    • /
    • pp.386-391
    • /
    • 2004
  • 일반적으로 철도수요를 추정할 때에는 매표실적에 근거한 직접수요모형(Direct Demand Model)을 많이 사용하여왔다. 고속철도가 2004년 4월 개통됨으로써 실행된 수요가 나옴에 따라 이를 이용하여 KTX와 일반철도를 고려한 직접수요모형의 작성이 가능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고속철도 운행 전${\cdot}$후의 실제수요를 이용하여 고속철도 개통 전${\cdot}$후의 직접수요모형을 추정하여보았다. 모형에 사용되는 변수로는 철도서비스, 사회경제지표 등을 사용하였다. 그 중 철도서비스, 즉 운행시간, 운행빈도, 운임 등을 집중적으로 사용하여 모형을 작성하였다. 이렇게 작성된 모형은 KTX와 일반철도, 일반철도 등급간에서 철도서비스 변수의 기여를 명시적으로 제시해준다. 개발된 모형을 이용하여 KTX 및 일반철도의 운행방향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 PDF

An Empirical Study of Light Railway Transit Ridership using Socio-economic Data Based on Block Group Level (소지역단위 사회경제지표를 활용한 경전철 역별 수요분석 방안 연구 - 실증분석 중심으로 -)

  • Lee, Kwang Sub;Eom, Jin Ki;Moon, Dae Seop;Park, Cheol;Shin, Jong Ji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 /
    • v.18 no.2
    • /
    • pp.166-174
    • /
    • 2015
  • A direct demand model requires relatively little analysis time and incurs a low cost. It is also known to be useful for the preliminary screening of promising configurations or concepts. This study reviews direct demand models of 12 existing urban railways using demographic data based on a block group level which is approximately 1/24 of a traditional zone area. However, direct demand models are limited. Therefore, a new approach is suggested. The proposed method is based on a field study and an empirical analysis. The study finds factors that affect ridership at the station level. As a case study, the proposed approach is tested using 54 light railway transit stations. The results of this empirical study demonstrate its applicability to improve the error rates of the predicted ridership at the station level.

Development of International Passenger Travel Demand Models for the ASEAN Region (아세안지역의 국가간 여객통행수요 추정모형 구축에 관한 연구)

  • Mun, Jin-Su;Park, Jun-Hwan;Jung, Ho-You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6 no.6
    • /
    • pp.7-15
    • /
    • 2008
  • Due to the limitations in the statistical data, the existing studies adopted rough methodologies with strong assumptions in the estimation of international passenger travel demand forecast in the ASEAN region. This study aims to develop international passenger travel demand models using scientific methodologies. This study proposes a direct demand model using the immigration and emigration data between countries in the region. This is because of the difficulty of estimating trip generation and trip distribution separately due to the data limitation in the region. As there does not exist the mode choice model for the region, this study estimates a mode choice model using the Stated Preference technique. The mode choice model is separated into three categories of models according to the range of distance between the origin and destination of travel; this is to reflect the different behavior in mode choice according to the travel distance. The result of model estimations suggests that the estimated models produce resonable results statistically. It is expected that the proposed models are useful for the future travel demand estimation in the ASEAN region.

A Forecast Model for Information Security Certificate (정보보호평가에 대한 수요예측모형)

  • Kim, Youn-Chong;Kim, Yong-Chul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7.11a
    • /
    • pp.57-59
    • /
    • 2007
  • 정보보호시스템 평가수요의 예측은 예측된 평가수요를 근거로 적극적인 평가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필요하다. 평가수요예측을 하기위하여 일반적으로 설문조사를 이용하지만 무응답 및 불성실한 응답으로 인하여 설문응답 자료만으로 평가수요를 예측하기에는 부족하다. 따라서 설문조사의 평가수요를 보정할 수 있는 모형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설문조사를 통하여 예측 할 수 있는 직접적인 평가수요와 통계적 모형을 이용한 간접적 평가수요를 비교하고 설문조사의 대체 방법을 제시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Regression-based Bike Direct Demand Models (회귀분석기반의 자전거 직접수요추정 모형 구축)

  • Lee, Kyu Jin;Kim, Keun Wook;Choi, Keechoo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1 no.4D
    • /
    • pp.489-496
    • /
    • 2011
  • Bike system is one of the green transportation systems and spotlighted recently. In the TOD (Transit-Oriented Development) based transportation and urban planning, bike system will be the major part as linkage modes. In this paper, bike demand estimation model was firstly established in Korea, with considering of personal and household characteristics of traveller, social and economic characteristics of city, weather conditions, and so on. The model reflects population density, the number of students except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number of vehicles, the length of bike roads, and monthly income. The adjusted $R^2$ was 0.738: the model is highly fitted. The results of this paper yield bike demand estimation in the urban planning area: further estimated results will be using to determine economic feasibility and size of bike facility. In other words, this paper is expected to provide the theoretical basis that supporting justification and investment efficiency of bike plans, which are actively progressed recently.

Mixture Model with Survey and a Statistical Model (서비스 수요조사와 분류모형을 이용한 수요예측)

  • Kim, Youn-Jong;Kim, Yong-Chul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 /
    • v.21 no.1
    • /
    • pp.151-157
    • /
    • 2008
  • In generally, we use a method of the survey to forecast the economic demands and non-economic demands for a market trend. But we have a difficult problem to estimate the demand for the marketplace objectively because the survey with the non-response and the inadequate understanding on questionnaires did not provided the strong and uniform forecast. Here, we proposed a method compounded of survey and a statistical model to estimate the demand for the marketplace and discussed the mixture model applied to the service demand on an agency.

Development of A Direct Demand Estimation Model for Forecasting of Railroad Traffic Demand (철도수요예측을 위한 직접수요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 Kim, Hyo-Jong;Jung, Chan-Mook
    • Proceedings of the KSR Conference
    • /
    • 2010.06a
    • /
    • pp.2166-2178
    • /
    • 2010
  • The Korea Transportation Database (KTDB) is used to obtain data on the origin and destination (OD) of inter-city travel, which are currently used in railroad planning when estimating traffic demand. The KTDB employs the trip assignment method, whereby the total traffic volume researched for inter-city travel in Korea is divided into road, rail and air traffic, etc. However, as regards rail travel, the railroad stations are not identical to the existing zones or the connector has not been established because there are several stations in one zone as such, certain problems with the applicable methods have been identified. Therefore, estimates of the volume of railroad traffic using the KTDB display low reliability compared to other modes of transportation. In this study, these problems are reviewed and analyzed, and use of the aggregate model method to estimate the direct demand for rail travel is proposed in order to improve the reliability of estimation. In addition, a method of minimizing error in traffic demand estimation for the railroad field is proposed via a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ggregate model and various social-economic indicators including population, distances, numbers of industrial employees, numbers of automobiles, and the extension of roads between cities.

  • PDF

QFD based technology quality strength model research (품질기능전개를 활용한 기술개발 품질강화모형 연구)

  • Lee, Ok-Sun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1.12a
    • /
    • pp.109-111
    • /
    • 2011
  • 본 연구는 기술개발 품질강화 모형 설계목적으로 하며, 기술개발방향과 시장요구를 적절히 이해하고 외부협력을 통해 시너지효과를 창출할 수 있는 기술품질 확보방법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기술개발 품질강화모형을 위해 품질기능전개의 품질의집을 활용하였으며,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연구원을 대상으로 직접면담 및 온라인 설문조사방법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지질자원기술의 사회적 수요의 중요도, 수요대응도 및 투자요구도를 제시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a Behavioral Mode Choice Model for Road Goods Movement (형태요소를 적용한 화물수송수단 선택 모형의 개발)

  • 최창호
    • Proceedings of the KOR-KST Conference
    • /
    • 1999.03a
    • /
    • pp.95-109
    • /
    • 1999
  • 기존의 추정된 화물 수요모형은 화물의 출하특성과 관련된 설명변수를 중심으로 추정되었으며, 이에 따라 수송수단 선택 과정에서 화주가 느끼는 실제의 인식 상황을 모형내에 적절히 반영하지 못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 연구가 갖는 한계점을 극복하고자 화주가 수송수단을 선택할 때 느끼는 인식상황을 모형 내에 적용시켜 수단 선택 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우리나라의 188개 제조업체에서 화물자동차로 출하한 내수용 화물이며, 연구의 범위도 현실 운송체계 내에서 화주의 수단선택 행태를 설명하는 단기간의 예측으로 제한하였다. 모형추정결과 우리나라의 공로화물수송을 해석하기 위해서는, 출하중량까지를 고려한 다항로짓모형 형태이면서 인식 요소를 행태변수로 추가한 모형을 이용하는 것이 가장 적절하다는 결론을 내렸다. 그리고 이에 따라 주요한 설명 변수들의 탄력성과 화주의 인식 요소에 대한 특성값을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연구결과는 활용성 측면에서 직접 활용이 가능한 것과 잠재적인 변화를 예측하는데 이용되는 것으로 구분된다. 먼저 직접활용이 가능한 것은 수송수단과 관계된 변수들을 해석하여 얻는데, 수송비용과 수송시간에 대한 계수값의 크기와 부호, 그리고 탄력성은 정부의 정책부서나 운송인의 계획수립에 직접 적용된다. 다음으로 화주의 인식 요소는 잠재적인 변화를 예측하는데 이용되며 각 요소가 갖는 탄력성 및 특징은 운송인의 고객관리 기준이된다.

The Long-Run Elasticity of Electricity Demand Using Dynamic OLS (동태적 OLS를 이용한 전력수요의 장기 탄력성 연구)

  • Na, In-Gang
    • Environmental and Resource Economics Review
    • /
    • v.9 no.1
    • /
    • pp.49-69
    • /
    • 1999
  • 본 연구는 1983년부터 1996년까지의 월별 자료를 이용하여, 전력 수요의 장기 탄력성을 추정하였다. 공적분모형인 Stock-Watson(1993)의 동태적 OLS(Dynamic OLS) 모형을 이용하여, 전력수요의 장기가격탄력성과 소득탄력성을 추정하였다. 장기균형식을 이용한 결과를 살펴보면, 실질국내총생산의 장기탄력성은 0.23으로 나타났으며, 실질전력요금의 장기탄력성은 -0.12로 추정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가격과 소득이 전력수요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의미한다. 단기오차수정모형에서 오차수정항의 계수는 -0.23으로 추정되었으며, 이는 단기적으로 장기수요곡선을 이탈하였을 경우 단기적 불안정이 새로운 균형을 찾아가는 기간이 약 4.4 개월 걸리는 것을 의미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