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직접메탄올 연료전지

검색결과 201건 처리시간 0.023초

왕복유동을 이용한 확산증대 효과에 대한 연구 (Enhanced diffusion by using pulsating flow)

  • 황용신;이대영;김서영;최훈;차석원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08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538-541
    • /
    • 2008
  • This study considers the feasibility of the concentration control of the feul and air by oscillating flow in the channel of Fuel Cells. Fuel Cell Stack performance is largely influenced by the fuel and air concentration. If the fuel and air concentration is lower than stoichiometry 1.25 of the fuel and 2.5 of the air, its performance deteriorates seriously because of the fuel and air starvation. In this respect the optimization of the fuel and air concentration is crucially important to maximize fuel cell stack performance. In this work, the effects of oscillating actuation are studied to control the concentration. Two important nondimensional parameters are introduced, each of which represents either the oscillating frequency or the oscillating amplitude. It is shown how these factors affect the stack performance and the efficiency of the fuel cell stack stack.

  • PDF

직접 메탄올 연료전지용 탄화수소계 고분자 전해질 막 연구개발 동향 (Research Trends on Hydrocarbon-Based Polymer Electrolyte Membranes for Direct Methanol Fuel Cell Applications)

  • 정유경;이다정;김기현
    • 멤브레인
    • /
    • 제33권6호
    • /
    • pp.325-343
    • /
    • 2023
  • 직접 메탄올 연료전지(direct methanol fuel cell, DMFC)는 연료의 개질 없이 메탄올 연료를 공급하여 수소이온과 전자 생성을 통해 전류를 생산하는 에너지 변환 장치이다. 현재 DMFC에 적용되고 있는 고분자 전해질 막(polymer electrolyte membrane, PEM)은 높은 수소이온 전도도와 물리화학적 안정성을 갖는 과불소화계 이오노머를 활용한 PEM이지만, 높은 메탄올 투과율과 분해 시 발생되는 환경 오염 물질 등의 문제로 인해 신규 소재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최근 들어, 과불소화계 이오노머에 비해 낮은 연료 투과율 및 우수한 물리화학적 안정성을 갖는 탄화수소계 고분자 기반 PEM을 DMFC에 적용하는 연구들이 보고되고 있다. 본 총설에서는 탄화수소계 고분자 기반 PEM 중 1) 친수성/소수성 영역의 뚜렷한 나노 상분리 구조를 나타내는 가지형 공중합체를 합성하여 수소이온 전도성과 메탄올의 선택도를 향상시킨 연구, 2) 제막 단계에서 가교 구조를 도입하여 메탄올 투과율을 감소시키고 치수 안정성을 향상시킨 연구, 3) 유/무기계 첨가제 및 다공성 지지체를 도입하여 성능을 개선한 복합 막 개발 연구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직접메탄올 연료전지에서 금속막을 이용한 메탄올 크로스오버 방지 (Prevention of Methanol Crossover in Direct Methanol Fuel Cells (DMFC) by a Barrier Concept)

  • J. H. Shim;I. G. Koo;W. K. Her;Lee, W. M.
    • 한국에너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에너지공학회 2003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643-647
    • /
    • 2003
  • Direct methanol fuel cells (DMFC) employing proton exchange polymer electrolyte have recently gained considerable interest because of their attractiveness as the power source for electronic devices or vehicular applications. However, it suffers from the fuel crossover and its impact on cathode operation and the consequent penalty in system energy efficiency. Efforts to circumvent the methanol crossover in DMFC have been made basically along three different strategies.(Omitted)

  • PDF

수동형 직접 메탄올 연료전지의 특성 연구 (Characterization of Passive Direct Methanol Fuel Cells)

  • 고백균;김영진;오인환;홍성안;하흥용
    • 전기화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23-27
    • /
    • 2003
  • 본 연구는 휴대용 전원으로 사용 가능성이 높은 소형 직접메탄을 연료전지의 단위전지와 모노폴라 스택의 운전특성을 살펴본 것이다. 공기와 메탄올이 외부에서 강제로 공급되지 않는 수동형(passive)의 운전조건에서 최적 메탄을 농도는 4M이었으며, 촉매 담지량도 $8mg/cm^2$에서 가장 높은 성능을 나타내었다. 상온 상압 수동형 조건에서 얻은 최대 성능은 $55mW/cm^2$이었다. 6개의 단전지로 이루어진 모노폴라 스택에서는 셀간의 성능차이는 크게 나타나지 않았으며, 출력밀도는 $37mW/cm^2$이고, 1W의 출력을 보였다. 또한, 16셀로 구성된 2.4W급 모노폴라 스택을 제작하여 모형 자동차에 장착하고 시범 운전을 성공적으로 수행하였다.

Grafting 방법을 이용한 직접메탄올연료전지 애노드 촉매의 성능향상에 관한 연구 (An investigation on anode electrocatalysts using grafting method for improvement of DMFC performances)

  • 박정배;한국일;김하석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06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413-416
    • /
    • 2006
  • PtRu catalyst is most widely used as anode catalyst for a direct methanol fuel cell(DMFC). To promote the efficiency of the catalysts, it Is important to increase the triple phase boundary. In this study, we have tried to increase the triple phase boundaries in preparing electrocatalysts of the fuel cells, based on the process of grafting a proton-conducting agent onto the catalyst This grafted proton-conducting agent can act as an ionomer like Nafion, currently widely used ionomer. First, we have prepared the 80wt% PtRu/Ketjen Black electrocatalyst by an improved colloidal method. And, we have grafted methylsulfonate groups $(-CH_2SO_3H)$ into the catalyst as proton-conducting agents. As results of cyclic voltammety and single cell test of the membrane electrode assembly (MEA), we can conclude that the activity of the grafted electrocatalysts is superior to that of conventional ones, in performance of DMFCs. For our further study, we will investigate the optimum ratio of catalyst/grafted proton conduct Ing agent with maximum performance of a DMFC.

  • PDF

메조페이스 핏치로부터 균질한 다공성 탄소 제조 및 이를 이용한 직접 메탄올 연료전지의 촉매 담지체 특성 (Preparation of Uniform Porous Carbon from Mesophase Pitch and Its Characteristics of Catalyst Support for the Direct Methanol Fuel Cell)

  • 남기돈;김태진;김상경;이병록;백동현;유승곤;정두환
    • 공업화학
    • /
    • 제17권2호
    • /
    • pp.223-228
    • /
    • 2006
  • 직접 메탄올 연료전지에서 촉매 담지체로서 세공 크기별 균질한 다공성 탄소는 메조페이스 핏치와 졸-겔법으로 직접 합성한 구형 실리카를 이용하여 제조하였다. Tetrahydrofuran (THF)에 용해된 핏치와 메탄올에 분산된 구상의 실리카를 혼합하고 탄화한 후에 5 M NaOH로 실리카를 식각하여 다공성 탄소를 만들었다. 이 다공성탄소의 비표 면적은 사용된 구형 실리카의 입자 크기가 작을수록 증가하였으며, $14.7{\sim}87.7m^2/g$ 범위를 나타내었다. 평균 기공 직경 또한 사용된 실리카 입자크기에 따라 50~550 nm로 다양하게 나타났다. 다공성 탄소 담지체에 백금과 루테늄을 담지시키기 위해 액상환원법을 사용하였고, 60 wt% 백금-루테늄이 담지된 촉매의 전기 산화 활성 및 전극 성능 특성은 순환 전압 전류법과 단위전지 시험으로 평가하였다. 본 실험 범위 중 50 nm 실리카를 이용하여 제조한 백금-루테늄/다공성탄소의 경우(60 wt% Pt-Ru/porous carbon), 순환 전압 전류법 시험에서 0.4 V에서의 전류 밀도 값이 $123mA/cm^2$가 측정되었고, 단위전지 성능 시험에서는 최대 전력 밀도 값이 $60^{\circ}C$$80^{\circ}C$, 산소분위기에서 각각 105, $162mW/cm^2$를 나타내었다.

직접메탄올 연료전지에서 전지 성능에 대한 확산층의 영향 (Effect of Diffusion Layer for Cell Performance in DMFC)

  • 권부길;박경원;최종호;성영은
    • 한국전기화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화학회 2001년도 연료전지심포지움 2001논문집
    • /
    • pp.179-184
    • /
    • 2001
  • The diffusion layer within MEA(membrane electrode assembly) has been evaluated important factor for improvement of cell performance in DMFC. The diffusion layer in MEA structure leads to the reduction of catalyst loss in active catalysts layer as well as prevention of water-flooding in cathode. Cell performance is directly affected by interior properties of diffusion layer materials. Acetylene Black and $RuO_2$ with large pore size and low porosity compared to Vulcan XC-72R gave better performance caused by vigorous methanol diffusion and water removal. And $RuO_2$ as diffusion layer materials showed different behavior in anode and cathode compartment, that is, diffusion layers in anode and cathode side make methanol diffusion and water removal facilitate, respectivel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