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직업적

Search Result 3,239,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A study on the factors to affect the career success among workers with disabilities (지체장애근로자의 직업성공 요인에 관한 연구)

  • Lee, Dal-Yob
    • 한국사회복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3.10a
    • /
    • pp.185-216
    • /
    • 2003
  • This study was aimed at investigating important factors influencing career success among regular workers. The current researcher scrutinized the degree to which variables and factors affect the career success and occupational turnover rates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At the same tune, two hypothetical path models established by the researcher were examined using linear multiple regression methods and the LISREL. After examining the differences among the factors of career success, a comparison was made between the disabled worker group and the non-disabled worker group. A questionnaire using the 5-point Likert scale was distributed to a group of 374 workers with disabilities and 463 workers without disabilities. For the data analysis purpose,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arried out. The results of this study r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factor analysis showed important categories of conceptual themes of career success. The initial conceptual factor model did not accord with the empirical one. A three-factorial model revealed categories of personal, family, and organizational factor respectively. The personal factor was composed of the self-esteem and self-efficiency. The family factor was consisted of the multi-roles stress and the number of children. Finally, the organizational factor was composed of the capacity for utilizing resources, networking, and the frequency of mentoring. In addition, the total 10 sub areas of career success were divided by two important aspects; the subjective career success and the objective career success. Second, both research participant groups seemed to be influenced by their occupational types. However, all predictive variables excluding the wage rate and the average length of work years had significant impact on job success for the disabled work group, while all the variables excluding the frequency of advice and length of working years had significant impact on job success for the non-disabled worker group. Third, the turnover rate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the age and the experience of turnover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However, the number of co-workers was the strongest predictive variable for the worker group with disabilities, but the occupation choice variable for the worker group without disabilities. For the disabled worker group, the turnover rate was differently influenced by the type of occupation, the length of working years, while multi-role stress and the average working years at the time of turnover for the worker group without disabilities. Fifth,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hypothetical path model, it showed that the first model was somewhat proper and could predict the career success on both research participant groups. In the second model, the Chi-square, the degree of freedom (($x^2=64.950$, df=61, P=0.341), and the adjusted Goodness of Fit Index (AGFI) were .964, and the Comparative Fit Index (CFI) were .997, and the Root Mean Squared Residual (RMR) was respectively. .038. The model was best fitted and could predict the career success more highly because the goodness of fit index in the whole models was within the allowed range. In conclusion, the following research implications can be suggested. First, the occupational type of research participants was one of the most important variables to predict the career success for both research participant groups. It means that people with disabilities require human development services including education. They need to improve themselves in this knowledge-based society. Furthermore, for maintaining the career success, people with disabilities should be approached by considering the subjective career success aspects including wages and the promotion opportunities than the objective career success aspects.

  • PDF

제언 - 직업환경의학의 한계

  • Song, Jae-Seok
    • 월간산업보건
    • /
    • s.365
    • /
    • pp.4-7
    • /
    • 2018
  • 직업환경의학은 유해인자의 관리와 그로 인한 건강장해의 예방이 가장 중요하다. 그러나 더욱 중요하고, 선결되어야 하는 것은 문화적인 변화이다. 내가 일하는 곳에서 노동의 가치에 대한 변화를 가져오게 하는 것에 소홀했던 것은 아닌가 다시 한 번 돌아보아야 할 시점이다.

  • PDF

A Real-Time Work Training System Using XML (XML을 이용한 실시간 직업훈련 업무 시스템)

  • 나희순;장민석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2004.04a
    • /
    • pp.477-480
    • /
    • 2004
  • 산업자원부가 전자상거래에 대하여 전자분서에 대한 법적효력 통일을 위해 법이 규정한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일반 종이 서류와 동일하게 효력을 부여함으로써 앞으로 전자 문서에 관여하여 행정부와 기업 등을 막론하고 일반인에게까지 관심사로 대두되고 있다. 이런 시점에서 직업훈련 업무 시스템을 웹 문서화함은 당연하다고 하겠다. 웹의 문서화를 위하여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HTML언어는 자체적으로 한계가 있어 최근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의 장점에 대한 인식이 확산되면서 이를 이용한 응용들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1) 기존의 직업훈련 업무 시스템은 대부분 오프라인 상으로 업무를 처리하였으며 온라인 상으로 업무를 처리하더라도 웹서버에서 DB를 연동한 클라이언트-서버 관계에서 클라이언트인 업무자가 오랜 시간을 기다려야만 했다. 본 논문에서는 XML을 이용한 실시간 직업훈련 업무 시스템을 제안함으로써 웹상에서 DB 연동 없이 데이터를 처리함으로써 직업훈련 업무 시스템의 문제점이었던 오프라인상의 업무를 웹 상에서 구현하여 업무에 효과가 있음을 보여줌으로써 XML의 장점을 확인한다.

  • PDF

Effect of job anxiety on life satisfaction of industry workers in the COVID-19 pandemic: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family support (코로나 팬데믹에서 서비스산업종사자들의 직업 불안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가족지지의 매개효과)

  • Kim, Jeong-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07a
    • /
    • pp.345-346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코로나19 팬데믹에서 서비스산업종사자들의 직업 불안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알아보고자 연구를 진행하였다. 거기에 가족지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2019년말에 발생한 코로나19는 세계적으로 한 번도 경험해 보지 못한 새로운 세상을 경험하고 있다. 자국의 국민을 보호하고자 국제 공항은 외국의의 출입을 철저히 봉쇄함으로써 코로나 확산을 막았고, 그로인하여 세계 경제교역은 큰 타격을 받았다. 산업관련 물동량은 점차 회복되고 있으나 여행객을 포함한 인적교류는 아직도 힘든 상황으로 호텔업, 관광업등의 서비스산업은 상당한 영향을 받아 거기에 종사하는 직원들 또한 자신의 직업에 대한 불안이 늘고 있다. 2021년 현재 대부분의 나라에서 위드코로나 정책으로 전환하면서 서비스산업이 점차 회복되고 있으나 아직도 힘든 상황을 보내고 있다. 따라서 본 고는 포스트 코로나시대에 서비스산업종사자들의 직업불안을 낮게 하고 삶의 만족을 높이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PDF

A Study for Working Quality of Apartment Guard (아파트 경비원의 직무특성에 관한 실증적 연구)

  • Han, sang-am;Kim, jung-gyu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179-180
    • /
    • 2011
  • 아파트 경비원을 대상으로 직무환경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범죄예방에 관한 업무의 증대, 범죄 대응체제강화, 노령층의 아파트 경비원에 대한 직업적 인식, 아파트 경비에 적합한 임금특례 모색의 필요성을 도출했다.

  • PDF

Health Zone_지금은 여성건강시대 - 여자라면 한 달에 한번 월경전증후군

  • Jo, Byeong-Gu
    • 건강소식
    • /
    • v.36 no.6
    • /
    • pp.24-25
    • /
    • 2012
  • 월경전증후군은 여성만이 경험할 수 있는 생리 전 불편감을 치료가 필요할 정도로 심각하게 느끼는 병을 말한다. 여성의 65%가 가벼운 우울감과 같은 생리 전 불편 증상을 호소하고, 20~40%는 월경 때마다 반복되는 치료가 필요한 정도의 다양한 증상으로 월경전증후군을 앓고 있다. 또한, 이들 중 2~9%는 사회적, 직업적으로 더욱 심각한 증상 때문에 치료를 받게 되는데 이를 월경 전 불쾌장애라고 부른다.

  • PDF

산업보건기관 탐방기 - 개인을 넘어 사회의 건강을 책임지는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직업환경의학교실

  • 대한산업보건협회
    • 월간산업보건
    • /
    • s.359
    • /
    • pp.54-57
    • /
    • 2018
  • 현대인은 대부분 시간을 보내는 노동 환경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이에 따른 정신적, 신체적 질환은 개인의 건강 문제를 넘어 삶의 질과 연결되며, 결국 사회문제로 귀결된다. 대한민국은 여전히 '산재 공화국'이라는 오명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듯 보이지만, 분명한 것은 끊임없는 성토와 연구를 통해 꾸준히 개선되고 있다는 점이다. 그 중심에서 근로자들과 함께 더 나은 사회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는 곳,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직업환경의학교실이다.

  • PDF

베트남에서의 소금

  • Phan, Dao Van
    • Journal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 /
    • v.9 no.2
    • /
    • pp.245-246
    • /
    • 1999
  • 현재 베트남에는 바다에서 직접적으로 소금을 얻어내는 방법 이외에는 다른 방법이 아직 발견되지 않고 있다. 베트남은 27개의 성과 도시를 지나는 해변이 3,000km 이상이며, 그 속에는 26개의 성이 소금을 생산한다. 소금 생산은 전통적인 직업이며, 베트남에서 가장 오래된 직업 중의 하나이다. 최근 10년 동안 매년 전국의 평균 소금 생산량은 약 650.000 톤으로, 최저 생산량은 550,000톤이며, 최고 생산량은 800,000톤에 이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