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직물 마찰음

Search Result 14, Processing Time 0.018 seconds

Subjective Evaluation of Frictional Sounds from Sportswear according to Speeds of Movements (운동 속도별 스포츠웨어용 직물의 마찰음에 대한 주관적 평가)

  • Yang, Yun-Jeong;Kim, Chun-Jeong;Jo, Gil-Su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8.10a
    • /
    • pp.25-29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스포츠웨어 착용 시 운동 속도별로 직물이 스치면서 발생하는 마찰음에 대한 음향특성과 주관적 감각 감성을 고찰하기 위하여, 3종류의 스포츠웨어용 직물 마찰음을 walking(0.63m/s), jogging(1.10m/s), running(0.98m/s)의 3가지 속도로 녹음한 후, 총음압(SPL)과 Loudness(Z), Sharpness(Z), Roughness(Z), Fluctuation Strength(Z)를 계산하였다. 이들 마찰음에 대한 주관적 평가는 9개 쌍의 형용사(시끄러운, 높은, 날카로운, 거친, 딱딱한, 탁한, 변화있는, 거슬리는, 불쾌한)에 대해 의미미분척도로 평가되었다. Jogging시 직물의 마찰음은 가장 시끄럽고 거슬리며 불쾌하게 평가되었고, running시의 직물 마찰음은 walking시나 jogging시의 마찰음보다 덜 시끄럽고 거칠기와 탁한 정도가 적으며 거슬리고 불쾌한 정도가 가장 적게 평가되었다.

  • PDF

Psychophysiological Study for the Development of Sensible Textiles (감성 의류 소재 개발을 위한 직물 마찰 소리의 심리생리학적 연구)

  • 조자영;이은주;조길수;손진훈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1.05a
    • /
    • pp.54-59
    • /
    • 2001
  • 본 연구는 청각적 감성을 만족시키는 의류소재의 개발을 위해, 직물 마찰음에 대한 인간의 감서을 생리반응측정과 심리적·주관적 평가를 통해 파악하고, 직물 마찰음이 갖는 음향특성과의 관련성을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직물 마찰음의 음향특성을 분석하고, 직물 마찰음에 대한 감각·감성 표현어(부드러움, 시끄러움, 유쾌함, 날카로움, 맑음, 거침, 높음)를 이용하여 주관적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생리적 반응으로서의 뇌파 및 혈류량, 심박변화율, 피부전도수준 등을 측정하였다. 주관적 감각·감성은 대부분 직물 소리의 크기와 관련이 깊은 것으로 나타나, loudness(Z)와 총음압 LPT가 증가할수록 시끄럽고 거칠며 딱딱하고 불쾌하며 탁하다고 지각하였다. 생리적 반응과 관련하여서는, 부드럽고 조용하며 맑다고 지각할수록 slow alpha파가 증가하였고, 유쾌하고 매끄럽다고 평가할수록 혈류량은 증가하였다. 또한, 높다고 지각하는 소리에 대한 LF/HF는 증가하였다. 마찰음의 음향특성이 생리적 반응에 미치는 영향으로서, LPT가 혈류량의 감소에, Loudness(Z)가 피부전도수준의 증가에 각각 영향을 미치며, sharpness(Z)가 높고 ΔL이 작을수록 LF/HF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Frictional Sound Characteristics of vapor Permeable Water Repellent Fabric according to Finishing Methods at Different Frictional Speeds (투습발수 가공방법에 따른 직물의 마찰 속도별 소리 특성)

  • Han, A-Reum;Yang, Yun-Jeong;Jo, Gil-Su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9.05a
    • /
    • pp.131-134
    • /
    • 2009
  • 본 연구는 가공방법이 다른 투습발수직물의 마찰 속도별 직물마찰음의 소리특성과 주관적 평가간의 관계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스포츠웨어용 투습발수직물 중 가공방법이 다른 4 종(PU 건식코팅, PU습식코팅, 시레가공, 라미네이팅)의 나일론 100% 시료를 대상으로 실험하였다. 마찰속도의 상세 설정이 가능한 직물소리 시뮬레이터 v. 4.0으로 제어가 되는 직물마찰음 발생장치를 사용하여 직물마찰음을 발생시켜 녹음하였다. 직물의 마찰 속도는 동작(walking, jogging, running)시 팔과 몸통 사이의 마찰속도를 분석하여 이 속도에 따라 직물마찰음을 발생시켰고, Sound quality system으로 7 가지(SPL, ${\triangle}L$, ${\triangle}f$, Loudness(Z), Sharpness(Z), Roughness(Z). Fluctuation Strength(Z)) 소리특성을 분석하였다. 주관적 평가는 9 개의 형용사 쌍에 대해 의미미분척도로 평가되었다. 소리특성 분석 결과, 속도별 소리특성은 가공방법에 따른 차이 없이 walking 시가 가장 덜 시끄러운 소리가 발생하였고, 가공방법에 따라서는 마찰속도에 따라 약간 차이가 있지만 라미네이팅가공을 한 시료가 가장 날카로운 소리를 발생시켰다. 주관적 평가 결과, '거슬리는'과 '불쾌한'의 감성에 대해서는 walking, jogging, running의 순서로, 시레가공, 라미네이팅, PU건식코팅, PU 습식코팅의 순서로 증가하였다.

  • PDF

Effect of Fabric Sound of Vapor Permeable Water Repellent Fabrics for Sportswear on Psychoacoustic Properties (스포츠웨어용 투습발수직물 소리가 심리음향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 Lee, Jee-Hyun;Lee, Kyu-Lin;Jin, Eun-Jung;Yang, Yoon-Jung;Cho, Gil-Soo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15 no.2
    • /
    • pp.201-208
    • /
    • 2012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psychoacoustic properties of PTFE(Poly tetra Fluoroethylene) laminated vapor permeable water repellent fabrics which are frequently used for sportswear,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fabrics' basic characteristics, mechanical properties and the psychoacoustic properties, and finally to propose the predicting model to minimize the psychoacoustic fabric sound. A total of 8 specimens' frictional sound were recorded and Zwicker's psychoacoustic parameters such as loudness(Z), sharpness(Z), roughness(Z), and fluctuation strength(Z) were calculated using the Sound Quality Program. Mechanical properties of specimens were measured by KES-FB system. Loudness(Z) of specimen D-1 was the highest, which means the rustling sound of the specimen D-1 was the most noisy.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film type was observed only in loudness(Z) for fabric sound. Based on ANOVA and post-hoc test, specimens were classified into less loud PTFE film group (groupI) and loud PTFE film group (groupII). Loudness(Z) was higher when staple yarn was used compared when filament yarn was used. According to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fabrics and loudness(Z) in groupI, the shear properties, compression properties and weight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loudness(Z). According to the regression equation predicting loudness(Z) of groupI, the layer variable was chosen. In groupII, variables explaining the loudness(Z) were yarn types and shear hysteresis(2HG5).

  • PDF

Development of Rustling Sound Generator Using Reciprocating Motion and Evaluation of Its Fabric Sound (왕복운동에 의한 직물마찰음발생장치의 개발 및 이를 이용한 직물소리 평가)

  • Kim Chun-Jeong;Cho Gil-Soo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9 no.2
    • /
    • pp.133-140
    • /
    • 2006
  • In order to investigate the sensation of the fabric sound simulating the real wear-condition, the fabric sound simulator using reciprocating friction was developed. Fabric sounds from 5 specimen were generated by the fabric sound simulator and recorded using high performance microphone. Physical sound parameters of fabrics including level pressure of total sound (LPT), level range (${\Delta}L$), and frequency differences (${\Delta}f$) were calculated. For psychological evaluation, seven adjectives for sound (softness, loudness, sharpness, clearness, roughness, highness, and pleasantness) were used as the semantic differential scale. Fabric sounds by reciprocating friction of nylon taffeta and polyester leno had the highest value of LPT and evaluated as loud, sharp, rough, and unpleasant while polyester ultra suede and silk crepe de chine haying the lower LPT and ${\Delta}f$ were perceived as soft and quite. Comparing with fabric sound by one-way friction, fabric sound by reciprocation friction was perceived as more sharp, loud, and rough. LPT was also the most important factor affecting the sensation of the fabric sound by reciprocating friction.

  • PDF

Effect of Visual Factor on Subjective Evaluation of Frictional Fabric Sounds (직물 마찰음의 주관적 평가에 시각적 변수가 미치는 영향)

  • Han, A-Reum;Yang, Yun-Jeong;Jo, Gil-Su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9.11a
    • /
    • pp.62-65
    • /
    • 2009
  • 본 연구는 동작 속도별 마찰음의 주관적 평가에 있어서 시각적 변수의 영향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현재 유통되고 있는 79 종의 스포츠웨어용 투습발수직물 중 음향 특성으로 계층적 군집분석에 의해 나누어진 3 개의 군집에서 각각 하나씩 추출한 총 3가지 시료를 대상으로 walking, jogging, running의 속도로 마찰시켜 총 9가지의 소리에 대하여 실험하였다. 직물 소리에 대한 주관적 평가 시 시각적 변수의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두 가지 방법으로 직물 소리에 대한 주관적 반응을 평가하였다. 첫 번째는 기존의 연구에서 주로 이루어진 방법으로, 실험 진행자가 피험자에게 직물소리를 들려주면서 설문을 하게 하였다. 두 번째는 녹음된 직물의 소리와 함께 모니터를 통해 해당 자극물의 마찰 속도에 따라 인체 모델이 움직이는 동작을 보여줌으로써 청각과 시각 자극을 동시에 제시하여 주관적 평가의 자극물로 사용하였다. 주관적 평가는 8개의 형용사 쌍에 대해 의미미분척도로 평가되었고, 두 가지 방법을 비교하기 위하여 '실제 옷을 착용하고 움직일 때 발생하는 직물 소리와 유사하게 들린다.' 와 '옷을 착용하고 움직일 때 발생하는 소리라고 느껴진다.' 두 문항을 추가하여 평가하였다. 그 결과 시각 자극의 유무에 의한 감성평가 결과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지만, 피험자가 소리만으로 직물이 마찰되는 장면을 의식적으로 상상해야 하는 심리적 부담을 줄여주었고, 주관적 평가 몰입도를 향상시켰다고 사료된다.

  • PDF

Psychophysiological Responses to the Sound of fabric Friction (직물 마찰음에 대한 심리생리적 반응)

  • 조자영;이은주;손진훈;조길수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4 no.2
    • /
    • pp.79-88
    • /
    • 2001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of sound parameters with subjective sensation and physiological responses, and to figure out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subjective sensation and physiological responses. Sound parameters calculated were LPT, ΔL, Δf, loudness[Z], and sharpness[Z]. Subjective sensation was evaluated in 7 aspects(soft-hard, loud-quiet, pleasant-unpleasant, sharp-dull, clear-obscure, rough-smooth, high-low) by thirty participants. We acquired physiological responses when each fabric sound was presented to 10 participants. Physiological signals obtained in this study were electroencephalogram(EEG), pulse volume(PV), skin conductance level(SCL), and LF/HF of heart rate variability. The larger the values of loudness[Z] and LPT, the louder and the rougher the subjective sensation of the perceived fabric sound. Also, the larger the values of loudness[Z] and LPT, the harder, the duller, and the less pleasant. As LPT increased, PV decreased. Loudness[Z] increased in proportion to SCL and so did sharpness[Z] to LF/HF. As the sound perceived to be quieter and clearer, the relative power of slow alpha rose. As the sound perceived to be more pleasant and smoother, PV rose.

  • PDF

Physiological Signal Analyses for Designing Knitted Fabric Sound (편성물의 소리디자인을 위한 생리신호분석)

  • 김춘정;조자영;하지영;조길수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3.05a
    • /
    • pp.1-4
    • /
    • 2003
  • 본 연구는 경편성물의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구조변수인 조직, 편환의 계폐여부, 가이드바의 상호 움직임 방향에 따른 소리특성과 생리적 반응 사이의 관계를 파악함으로써 총합적 감성소재 설계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직물소리발생장치를 이용하여 7가지의 경편성물에 대한 마찰음을 녹음한 후, 이를 마찰음이 유발하는 생리반응을 측정하여 slow alpha파, fast beta파, ECG R-R, RESP, HF/LF, SCL, PV등을 분석하였다. 조직에 따라서는 LPT, Loundness(Z), Roughness(Z)와 Fluctuation strength(Z) 가장 큰 Sharkskin에서 fast beta파, ECG R-R, RESP는 증가하였으며 slow alpha파, PV, HF/LF는 감소하였다. 편환의 개폐여부에서는 폐환보다는 개환에서 Loudness(Z), Sharpness(Z), Fluctuation strength(Z)가 증가하였으며 RESP는 증가하고 HF/LF는 감소하여 개환이 더 불쾌한 감성을 유발하였다. 가이드바의 상호 움직임 방향은 counter보다는 parallel에서 slow alpha의 변화량이 감소하고 fast beta의 변화량이 증가하여 counter보다는 parallel이 더 불쾌한 감성을 유발하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편성물의 음향특성 중 ΔL, Δf 와 Roughness(Z), Fluctuation Strength(Z)가 생리반응을 예측하는 중요한 요인으로써 나타났다.

  • PDF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Properties and Sensibility Obtained from the Rustling Sounds of Silk Fabrics and Their Transformed Colors (실크 직물의 스치는 소리와 변환된 색채의 물리량과 감성간의 관계)

  • 김춘정;최계연;김수아;조길수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1.11a
    • /
    • pp.1-4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실크 직물 7종의 마찰음을 녹음한 후, 색채 변환시켜 소리와 변환색채에 e한 감성을 평가함으로써 시각과 청각을 만족시킬 수 있는 의류소재 개발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피험자 30명을 대상으로 소리와 변환색채를 차례로 제공한 후 감성을 평가하도록 하였다. 물리량은 소리의 경우 LPT, $\Delta$L, $\Delta$f, ARC를 색채의 경우 RP, GP, BP, CC를 계산하여 감성과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소리와 색채에 대한 감성차원으로는 '우아함', '활동감', '터프함'의 세요인이 도출되었다. 각 감성차원에 대한 소리와 색채 물리량과의 관계를 살펴보면, LPT와 $\Delta$L이 작을수록, 홍색비율이 크고 색채빈도수가 적을수록 우아함차원으로 평가하였으며, LPT와 $\Delta$L의 값이 클수록, 녹색비율이 크고 색채빈도수가 많을수록 활동감차원으로 평가하였다. 또한 ARC값이 작을수록, 홍색비율이 클수록 터프함차원으로 나타났다. 직물별 소리와 색채에 대한 선호도는 전통적인 수자직 직물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Properties and Sensibility of the rustling Sounds of Silk Fabrics (견직물의 마찰음에 대한 물리적 성질과 감성과의 관계)

  • 최계연;김춘정;조길수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5 no.3
    • /
    • pp.39-46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sensation and sensibility from the rusting sound of silk fabrics. The mechanical properties and sound parameters were measured after recording the rusting sounds of 7 silk fabrics. Then, their relationships were analyzed through the evaluation of subjective sensation and sensibility and found a regression model for the sensibility from the mechanical properties. The adjectives of the sensibility were grouped into four: Elegant, Active, Tough, Modern. Soft and flexible fabrics were related with LPT negatively and induced elegant sensibility. And fabrics of the smoother and less changable to shear direction were related with LPT and Δf, and positively, and occurred active sensibility. On the other hands, rough, bulky, thick, and heavy fabrics were related with ARC and Δf, and induced with tough or modern sensibilities. About the sensibilities according to each fabric, STN8 was the most elegant, STN8-S was the most active, and TWL16 and STN16-N were the toughes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