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직물구성

검색결과 112건 처리시간 0.031초

섬유단면형상에 따른 직물의 광택특성 (Optical property according to the fiber cross-sectional shape)

  • 심현주;홍경아
    • 한국감성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감성과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71-172
    • /
    • 2003
  • 직물의 외관 품위는 직물의 촉각뿐만 아니라 시각적인 자극에 의해서 크게 결정된다. 견직물이나 양모직물의 광택 등 자연스러운 광학적 특성은 특히 구성 섬유의 특성이나 구성사의 구조, 직물 조직 등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데 그 중 섬유단면형태가 가장 중요한 인자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단면형상에 따른 직물의 외관 감성 특히 시각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직물의 광택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섬유 단면의 요철이 많으면 광택도가 감소하면 섬유단면이 매끈한 부분이 많은 섬유는 광택도가 증가하였다. 그러나 이섬도 혼섬단면사로 구성된 직물은 광택이 우수하면서 은은함을 부여해주었다.

  • PDF

화상 분석을 이용한 직물 구성 인자의 객관적 측정

  • 최수현;강태진;이승구
    • 한국섬유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섬유공학회 1998년도 가을 학술발표회논문집
    • /
    • pp.373-376
    • /
    • 1998
  • 직물에 있어서 경ㆍ위사의 밀도, crimp, cover factor, 직물의 두께, 무게 둥은 경ㆍ위사의 섬도, 직물의 패턴 등과 더불어 직물의 특성을 나타내는 기본적인 인자들이며 이러한 직물 구성 인자간의 관계에 대하여 Peirce의 연구[1] 이래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이러한 인자들을 실제로 측정하기 위해서는 직물을 자르거나 분해하여야 하며, 측정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측정 방법이나 기기 또는 측정자에 따라 측정치에 차이가 나는 등의 단점이 있다. (중략)

  • PDF

직물에서 구조적 요인이 쾌적성과 연관된 유체전달 특성에 미치는 영향 (Structural Factors Affecting Comfort Related Fluid Transport Characteristics in Fabric)

  • 홍철재
    • 한국감성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감성과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371-1372
    • /
    • 2003
  • 직물에서 구조적 요인이 쾌적성과 연관된 유체전달 특성들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고려된 구조변수는 직물을 구성하는 실의 구성성분 그리고 꼬임수이다. 측정한 쾌적성과 연관된 물성으로 수분 흡수성, 수분 증발성, 그리고 수분 투과성이다. 이들 물성은 고려된 구조 인자들에 의해 큰 영향을 받았다. 결과들에 대한 객관적 분석과 이해를 위해 실에서 접촉적각, 직물에서 모세관 흡수 곡선, 그리고 기공크기를 측정하였으며, 또한 기존 이론들을 수정한 모델을 도입하여 모사 설명하였다.

  • PDF

아라미드 직물의 열적 성질과 역학 성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rm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Aramid Fabrics)

  • An, Seung-Kook
    • 한국염색가공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42-47
    • /
    • 1999
  • 본 연구는 노멕스 직물과 일반 방염직물의 쾌적성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인자를 찾기 위하여 직물의 열적 성질과 역학 성질에 관하여 연구한 것이다. 사용된 직물은 재해를 일으킬 수 있는 환경에서 방호용 의복으로 사용되는 노멕스 직물이 주를 이루며, 비교를 위하여 방염직물과 쾌적성이 좋은 일반직물을 포함시켰다. 직물의 물리적 성질과 열 특성을 측정하였으며, 역학 성질을 측정하여 노멕스 직물과 다른 직물을 서로 비교 분석하였다. 노멕스 직물은 파이버 자체가 뻣뻣하기 때문에 쾌적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소프트감을 높이는 것이 중요한 요소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같은 노멕스 직물이라도 쾌적성 면에서 서로 차이를 보여주므로 직물의 구조적 성질이 직물을 구성하고 있는 파이버 성질보다 쾌적성에 더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목조불상 복장직물의 종류와 특성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Fabrics of Bokjang Objects Enshrined within Wooden Buddha Statues at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 황진영;박승원
    • 박물관보존과학
    • /
    • 제18권
    • /
    • pp.35-50
    • /
    • 2017
  • 국립중앙박물관 목조불상 조사사업 중 복장물에 직물이 포함된 4건 53점의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 첫째, 복장직물의 직조 방식을 구분하면 고려시대의 라직물 2점과 능직물 5점이 확인되었으며, 조선시대 특징이 나타나는 단직물과 사직물로 분류되었다. 특히 금동관음보살좌상(덕수801) 복장직물에서는 조선 전기와 후기 특징을 지닌 직물로 분류된 것으로 보아 15세기와 17세기에 2차례에 걸쳐 납입이 이루어졌을 가능성이 높다. 둘째, 직물 무늬의 종류는 꽃무늬와 보배무늬, 과실무늬, 동물이 함께 나타난 식물무늬와 구름무늬로 구성된 자연산수무늬로 구별되었다. 셋째, 복장직물의 수량은 적지만 구성에 따라 모든 방위에 해당될 것으로 추정할 수 있는 직물 편이 발견되었다.

신라시대 섬유직물의 분석고찰 -천마총출토유물을 중심으로-

  • 육영수;김상용
    • 기술사
    • /
    • 제9권1호
    • /
    • pp.4-14
    • /
    • 1976
  • 천마총출토유물의 직물류 20여편을 화학적 및 물리적 시험분석을 통하여 그 사용섬유, 직물의 밀도, 구성계의 섬도, 조직, 염색상태등을 조사하므로서 그 직물의 신라시대 당시의 명칭 또는 품질의 정도와 염색기술등을 추정하여 문헌상의 기술자료를 확인할 수 있는 결과를 제시하였다.

  • PDF

선호감의 구성자원 모형과 관련 물성변인; 직물의 접촉특성을 중심으로 (Structural model of consumer preference and related mechanical properties of fabrics)

  • 김우정;이정순;홍경희
    • 한국감성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감성과학회 1997년도 한국감성과학회 연차학술대회논문집
    • /
    • pp.53-56
    • /
    • 1997
  • 본 연구에서는 폴리에스테르와 실크 블라우스 직물 6종을 사용하여 직물에 대한 선호 감각을 분석하고, 이러한 감각 속성들을 정향화 하기 위한 직물의 물리적 요소들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선행연구에서 추출된 감각들이 어떤 인과관계의 경로를 거쳐 최종 선호감성에 영향을 주는지 파악하기 위해 감각의 구성차원 모형을 검증하였다. 고온 다습한 환경에서 선호감각이 촉감에 영향을 받으며 촉감은 직물의 표면특성감과 습윤감이 중요한 1차적 감각이었다. 태는 유연감에 영향을 받는 복합적 감각이었으나 최종 구매시 선호감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관련 표면 불성 변인으로는 영상처리를 통한 fractal차원과 총접촉면적이 SMD, MIU 및 MMD보다 더 높은 상관을 나타내었다.

  • PDF

직물을 구성하는 실의 구조적 특성 (Structural Properties of Yarn in Fabric)

  • 전붕수
    • 한국섬유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섬유공학회 2003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396-397
    • /
    • 2003
  • 직물의 구조적 특성을 고찰하기 위하여 지금까지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며 그 결과 여러 가지직물의 기하학적 모델들이 제시되었다. 본 논문은 Peirce의 모델을 이용하여 직물내에서 직물의 이완 상태에 따라 실의 구조적인 특성을 고찰하고자 한다. Peirce의 모델로부터 실의 구조적 특성을 알기 위해사는 실의 직경을 구해야하는데 실의 직경은 실제 측정하기가 어려워 대개의 경우 다음 식과 같이 실의 번수로부터 구하게 된다. (중략)

  • PDF

철도 차량 시트 커버직물의 패턴 디자인과 쾌적성 평가 (An evaluation of the comfort and pattern design for cover fabric of train seats.)

  • 이현자;박세진;박길순;이현영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00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83-189
    • /
    • 2000
  • 시트 커버 직물은 철도차량 내부 인테리어와 실내를 구성하며, 시각적으로 커버 직물의 디자인 요소 중 패턴과 쾌적한 커버지가 철도차량에 대한 전체적인 이미지를 형성하게 된다. 본 연구는 한국인의 감성에 따른 시트 패던 디자인과 쾌적한 시트 커버 직물의 요건을 제시하고자 한다. 디자인 분석체계는 패턴 디자인의 최소단위를 Pattern Primitive(PP), 최소 반복 단위를 Repealed Pattern Unit(RPU)로 개념화하여 분류하여 파악한다. 또한 쾌적하고 안락한 시트를 위해서 착석 상태에서의 열수분 전달특성과 직물의 발수도, 일광견뢰도, 마찰견뢰도, Q-max, 공기투과도, 마찰대전압 등 물리적 특성을 비교한다.

  • PDF